연구기록의 생산 및 관리는 연구 품질 확보를 위한 필수전제조건이다. 연구품질보증 시스템은 연구노트를 포함한 연구기록의 품질 요건 강화를 기반으로 하여 효과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연구개발분야가 성장하고 전자연구노트 도입이 추진됨에 따라 연구의 품질보증을 위한 연구기록의 관리 방안 수립이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연구개발기관들이 연구품질을 확보하는 기반으로서 연구기록을 생산, 관리하는 과정에서의 현안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방안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연구기록의 품질 특성을 정리하고 국내 연구기관의 연구기록 관리현황 및 현안을 살펴본 다음 GLP(Good Laboratory Practice)를 벤치마킹하여 연구기록의 관리 요건 강화를 위한 과제를 제언하고 있다.
The research and laboratory records management is the prerequisite for quality research. Quality research assurance system can work out on the sound basis of quality research records management. It is an important task that establishing a proper research and laboratory records system for obtaining quality of research according to the rapid growth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rea in Korea and the trend of electronic laboratory note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ssues and find a direction for solutions related to the research and laboratory records management systems. For this after analysing previous studies and current status related to the research records management and GLP(Good Laboratory Practice) is benchmarked as a best practice for quality research, some suggestions for enhancement of research records management are given as a result.
교육과학기술부.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노트 관리지침.
교육과학기술부. (2010). 2010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
김상준. (2008). 연구기록물 중 연구노트의 중요성과 관리 제도화. 정보관리연구, 39(2), 45-74.
김정아. 이공계 연구실 기록관리 시론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A실험실 사례분석.
노시경. 과학기술대학의 프로젝트 연구개발기록관리분석 - KAIST를 중심으로.
대덕넷. 연구품질 보증, 시스템 차원에서 접근해야. http://www.hellodd.com/kr/dd_news/article_view.asp?mark=3425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노트 사용자 매뉴얼.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보안, 연구노트 및 연구실 안전관리.
서광식. (2006). 지식경영 기반조성을 위한 기록물관리 시스템 구축 - A연구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병원의생명연구원 전임상실험부 홈페이지. http://cri.snuh.org/animal/glp/.
식품의약품안전청. (2000). OECD 회원국 GLP 평가보고서 편람(1998, 1999). http://helpdrug.kfda.go.kr/KFDA/main.jsp?cate=list&sub_num=81&pageNo=3&state=view&idx=567.
여상아. (2007).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연구기록관리 개선방안 - K연구소를 중심으로.
염경은. (2008). 과학기술 연구기록 신뢰성보장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 - 우수연구실운영규정(GLP)을 중심으로.
유일재. (2002). 산업독성연구에서의 GLP (Good Laboratory Practice) System 도입의 필요성.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2(1), -.
최현옥. (2010). 우리나라 공과대학 연구실 연구기록의 체계적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1), 119-139.
특허청. 전자연구노트 활성화를 위한 전자연구노트 인프라 구축 및 관련 법제도 개정방안 연구.
전임상실험부 GLP연구실. http://cri.snuh.org/animal/glp/.
Department of Energy. and Development Records Schedule. N1-434-96-9, N1-434-07-01, and N1-434-08-02.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42 CFR Parts 50 & 93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Policies on Research Misconduct: Final Rule.
(2009). GLP Handbook: Good laboratory practice (GLP): quality practices for regulated non-clin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 2nd ed. http://apps.who.int/tdr/publications/training-guideline-publications/good-laboratory-practice-handbook/pdf/glp-handbook.pdf.
(2008). InterPARES2 Project Book: Part Three. http://interpares.org/ip2/display_file.cfm?doc=ip2_book_part_3_domain2_task_force.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