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598-1487
  • E-ISSN2671-7247

개항장으로서의 부산항과 기록

As an Open Port, Busan Port and Related Record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1, v.11 no.1, pp.273-298
https://doi.org/10.14404/JKSARM.2011.11.1.273
송정숙 (부산대학교)

초록

이 연구에서는 부산항이 개항장으로 거듭나면서 조선과 일본을 비롯한 국가 간에 체결한 조약과 조선과 일본이 부산항에 설치한 기관과 그 기관이 생산했거나 관련된 기록들, 그리고 부산항의 개발과정에서 생산하거나 관련된 기록들을 살펴봄으로써 개항기와 식민지 시기 부산항을 중심으로 부산에 관한 로컬리티를 재현하는 데 필요한 맥락을 분석하였다. 일본은 조선과 조약을 체결해 가면서 부산항을 중심으로 일본인의 활동범위를 확대하고 초량왜관을 전관거류지로 함에 따라 이 지역을 중심으로 일본영사관, 상업회의소 등을, 조선은 동래감리서, 개항장재판소 등을 설치하였다. 부산항의 개발과 관련해서는 조선총독부 관보 등에 당시 상황들이 잘 나타나 있으나, 관련 기록이 규장각과 국사편찬위원회와 부산시민도서관에도 상당량이 소장되어 있었다. 개항 이후 부산항의 개발과 변모에 관련된 기록들을 국내뿐 아니라 국외에 소장되어 있는 자료들을 망라적으로 수집하여 생산기관별 기록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keywords
treaty of Friendship,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the Chosun dynasty and Japan, Busan port, records on development of Busan port, records on locality, 조일수호조규(병자수호조약), 부산항, 개항장, 부산항 개발, 부산항 개발기록

Abstract

The Treaty of Friendship,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the Chosun dynasty and Japa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etc. began signing procedures from Feb. 1876. Thus, Busan port became an open port to foreign vessels in 1876. This has resulted in Busan port becoming the greatest port in Korea. This study explored records which were made by the Chosun dynasty and Japan on the opening and development of Busan port. The results are as follows ; According to making treaties between the Chosun dynasty and foreign countries, Chosun dynasty gradually opened a door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Various institutions were established in and around Busan port by Chosun and Japan. For example, maritime customs, a court of justice, police station by the Chosun side, a Japanese consulate, the Board of Trade for Japan etc by the Japan side. Records made by or related to these institutions and on the development of the Busan port during the open-port period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preserved at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the Busan Metropolitan Simin Municipal Library.

keywords
treaty of Friendship,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the Chosun dynasty and Japan, Busan port, records on development of Busan port, records on locality, 조일수호조규(병자수호조약), 부산항, 개항장, 부산항 개발, 부산항 개발기록

참고문헌

1.

강대민. (1992). 開港 以後 釜山과 日本 : 日本租界설치를 중심으로. 항도부산, 9, -.

2.

김기혁. (2008). 釜山古地圖:부산광역시.

3.

김동철. (2008). 일본과 조선의 경계와 그 너머: 초량왜관, In 부경역사연구소 역사강좌: 역사속의 부산 다문화, 일본인 마을을 중심으로 강연자료집.

4.

김동철. (2010). 조선후기 통제와 교류의 장소, 부산 왜관. 한일관계사연구, (37), 3-36.

5.

김영호. 釜山港史 年代表(1392-1945), In 부산항의 역사.

6.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1973). 일제조선침략일지:사회과학출판사.

7.

前原一喜. (1936). 朝鮮港灣之事情:조선운송주식회사.

8.

차철욱. (2004). 개항기~1916년 부산 일본인상업회의소의 구성원 변화와 활동. 지역과 역사, 0(14), 203-204.

9.

표용수. (2010). 부산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선인.

10.

홍연진. (2007). 부관연락선과 부산부 일본인, In 부관연락선과 부산:논형.

11.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12.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

13.

문화재청. http://www.cha.go.kr.

14.

부산광역시. http://www.busan.go.kr.

15.

부산일보. http://www.busan.com.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