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 사회의 도래로 아카이브 기관은 대국민 서비스의 일환으로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여 보존과 전시에 활용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아카이브 전시에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카이브와 디지털 전시의 개념과 유형을 살펴보고, 아카이브에 디지털 전시방법을 사용할 때 그 활용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기록물관리기관의 디지털 전시사례를 조사하였다. 아카이브자료를 웹페이지를 통하여 전시했을 때 가장 큰 장점은 기록물이 가지는 본연의 정보 제공의 기능과 더불어 하이퍼링크 기술을 통한 정보의 무한 확장성을 들 수 있다. 디지털전시의 방법으로 가상현실은 평면적인 아카이브에 입체감과 현실감을 넣어 이용자의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스토리텔링은 온라인상에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의 장을 만들어 서로 상호작용을 하며 이 과정까지도 스토리에 반영되어 새로운 콘텐츠로 탄생된다. 이러한 일련의 기능들이 아카이브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여 이용자들의 정보의 공유, 참여를 가져오고, 더불어 디지털 전시를 통한 새로운 콘텐츠 자원은 문화 자원과 관광 자원으로 지역사회와 기관을 홍보하므로 아카이브 전시에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것은 그 의의가 있다.
Recentl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continues to promote the digitalization of archives (valuable records) and has therefore, affected archiving centers. This digitalization is shown to these archiving centers by taking advantages of various digital exhibitions. This study aims to consider why it is necessary to use digital exhibitions in archiving centers. In order to examine the needs of digital exhibitions, this study focuses on some ideas and important roles in digital exhibitions and research cases of online exhibitions applied with digital technology. Consequently, this study derives some values from them. Digital exhibitions held online continuously provide the following; first, a great amount of information about the archives by using hyperlink; second, the ability to recreate the attractive contents of digitalized archives by utilizing virtual reality, which makes the users greatly interested; the third and final thing online digital exhibitions provide is the storytelling it provides, which also serves as an avenue for people to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These processes of communication are also reflected in the story. In addition, they can help publicize not only the archiving center, but also the local community as it promotes cultural and tourism resources.
강인애. (2010). 가상박물관을 활용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수업사례연구. 교육방법연구, 22(1), 27-54.
김보영. (2009). 국내 뮤지엄 웹사이트 현황 분석을 통한 뮤지엄의 소통 기능 활성화 방안 연구.
김연주. (2009). 아카이브와 박물관의 전시 비교와 개선방안 - 건국 60년 기념 전시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2), 103-131.
김유승. (2010). 아카이브 2.0 구축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2), 31-52.
김윤희. (2010). 아동을 위한 RFID 방식의 전시안내 의류 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0(2), 107-121.
김주관. (2006). 문화자료와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9(2), 447-483.
김희경. (2006). 가상 전시의 설계와 구현에 관한 연구. 인문콘텐츠, (7), 51-72.
나원경. (2011). 박물관 업무의 특성을 반영한 기록정보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노시훈. (2007). 호남학 정립과 문화관광에의 활용을 위한 호남학 시청각 아카이브 구축 시론. 인문콘텐츠, (10), 305-322.
박경석. (2008). 5·18 민주화운동 기록의 정보서비스 연구.
박남진. (2006). 미술관, 박물관 가상전시디자인에 대한 관람객의 반응연구. 디자인학연구, 19(1), 181-190.
박대정. (2007). 가상 박물관의 공간 형식과 그 의의에 관한 연구 : 모던 박물관과 포스트모던 박물관을 중심으로.
박영아. (2011). 박물관의 정보기술 용이성, 상호작용, 즐거움이 방문객의 만족도 및 재방문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국립 중앙박물관을 중심으로 -. 관광학연구, 35(9), 183-202.
안은영. (2010). 실사기반의 3차원 가상현실 제작을 위한 선택적 맵핑 방식의 빌보드 구현.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13(4), 601-608.
양인호. (2010). 기록정보콘텐츠의 품질향상 방안 연구 - 한국·영국·일본의 사례비교를 중심으로 -. 기록학연구, (23), 87-139.
이민수. (2004). 박물관 환경 변화와 사이버박물관의 발전 가능성 연구.
이혁재. (2009). 정부기관 웹 기록물관리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3), 33-46.
이혜원. (2007). 기록관 전시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장연이. (2011). 소셜미디어에서의 사진저작물 스크랩에 관한 법률문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1(10), 242-256.
장은경. (2010). 디지털 전시환경의 인터렉티브 전시기법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28), 255-262.
조소연. (2009). 디지털시대의 영상 아카이브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지희승. (2009).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박물관 전시방법 연구.
진수정. (2011). 스토리텔링 기법을 통한 대학기록관의 전시 개발방안.
황동열. (2007). U-도서관/박물관의 기능변화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181-199.
Srinivasan, S. S.. (2002). Customer Loyalty in E-commerce: An Exploration of It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Journal of Retailing, 78(1), 41-50.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http://www.archives.go.kr.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http://www.law.go.kr.
국립극장 공연예술 디지털 아카이브 홈페이지. http://archive.ntok.go.kr.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홈페이지. http://museum.ntok.go.kr.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history.go.kr.
국사편찬위원회 건국기념역사관 홈페이지. http://museum.history.go.kr.
미국 국립기록청 홈페이지. http://www.archives.gov.
영국국립기록청 홈페이지. http://www.nationalarchives.gov.uk.
처칠 아카이브센터. http://www.chu.cam.ac.uk/archives/exhib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