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598-1487
  • E-ISSN2671-7247

알권리 시대, 정부3.0의 위험과 과제

A Study on Government 3.0 in the Era of the Right to Know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4, v.14 no.4, pp.37-62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4.037
김유승 (중앙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알권리제도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박근혜정부의 정부3.0이 당면한 과제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알권리와 정보공개제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알권리의 개념을 협의와 광의로 구분하여 정의한다. 또한, 18세기부터 오늘에 이르는 알권리제도의 연혁을 고전적 자유주의 기반의 알권리 시대, 청구에 의한 수동적 정보공개시대, 적극적 정보공유의 시대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알권리제도의 연장선상에서 우리나라 정부3.0의 성과와 한계를 논하고, 결론에 갈음하여 정부3.0의 위험과 과제를 공공정보의 ‘품질’, ‘수집과 활용을 통한 통제와 감시’, ‘보안’이라는 3가지 측면에서 고찰한다.

keywords
정부3.0, 알권리, 정보공개, 공공정보, 공공데이터, government 3.0, right to know, freedom of information, public information, public data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paradigm shift of the right to know and to analyze the government 3.0 policies of the Park Gun-Hae’s administration. The study analyzes the preceding researches on the rights to know and freedom of information. It also defines the concept of the right to know in both broad and narrow senses. Furthermore, the history of people’s right to know is analyzed and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stages. Then, the outcomes and limitations of government 3.0 during Park Gun-Hae’s administration are explored. As a result, the study discusses the dangers and the future tasks of government 3.0 in terms of quality, gathering, and security of public information.

keywords
정부3.0, 알권리, 정보공개, 공공정보, 공공데이터, government 3.0, right to know, freedom of information, public information, public data

참고문헌

1.

고승우. (2013). 박근혜 정부, 주요 사안에 대해 국민의 알권리 무시.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867041.

2.

구병삭. (1974). 표현의 자유와 알 권리. 사법행정, 15(1), 22-29.

3.

구병삭. (1981). 국민의 알 권리와 국정의 정보공개. 법학논집, 19, 37-79.

4.

구병삭. (1981). 국민의 알 권리와 정보공개. 사법행정, 22(7), 32-38.

5.

김미경. (2008). 굿 거버넌스와 정보공개 - 지방행정종합정보공개시스템을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1), 203-220.

6.

金培元. (1989). 알 權利에 관한 연구.

7.

김배원. (1991). 알 권리의 법적 성격에 대한 재검토. 법학연구, 32(1), 157-183.

8.

김배원. (1991). 알 권리의 한계로서의 국가안보. 법학연구, 32(1), 185-208.

9.

김배원. (1999). 미국의 정보자유법 : 1996년 개정 전자정보자유법. 미국헌법연구, 10, 189-221.

10.

김배원. (2001). 미국의 정보자유법(FOIA)30년(1966-1996). 공법학연구, 3(1), 89-115.

11.

김봉수. (2013). 정부3.0 시대, ‘정보공개율 95%’의 함정.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3070810494738241.

12.

김승태. (2009). 전자적 정보공개제도의 운영실태 평가: 정보공개시스템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2(3), 51-82.

13.

김영호. (1973). 알 권리의 법적구성이론. 법조, 22(8), 27-38.

14.

김유승. (2010). 거버먼트 2.0 기반의 정보공개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기록학연구, (25), 197-231.

15.

김유승. (2014). 기록으로의 공공데이터 관리를 위한 제도적 고찰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1), 53-73. http://dx.doi.org/10.14404/JKSARM.2014.14.1.053.

16.

김유승. (2011). 거버먼트 2.0 기반의 공공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 국내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47-66.

17.

김창조. (2006). 정보공개법상비공개사유. 법학논고, 25, 115-141.

18.

김 철. (2013). 공공기관의 정보공개 확대방안 비판: 정부3.0 혁신을 중심으로. http://ppip.nodong.org/webbs/download.php?board=pds&id=180&idx=1.

19.

김 철. (2013). 정부 1.0도 못하면서 정부 3.0 비전 선포식.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174.

20.

박성준. (2013). 지원 법률도 없고 공무원 이해 부족. ‘정부3.0’ 구호뿐.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3/11/19/20131119005807.html.

21.

방민석. (2013). ‘정부3.0’에 대한 개념적 탐색과 법정책적 과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6(3), 123-146.

22.

방송통신위원회. (2009). 클라우드 컴퓨터 활성화 종합계획. http://www.kcc.go.kr/download.do?fileSeq=26825.

23.

배병호. 미국의 정보공개제도와 언론. 2008 조사분석 워크숍.

24.

배병호. 미국의 정보공개제도와 언론. 2008 조사분석 워크숍: 정보공개제도와 언론보도.

25.

배정근. (2009). 정보공개법을 통한 알권리 실현의 한계 : 비공개조항 관련 대법원 판결 분석. 한국언론학보, 53(1), 368-390.

26.

백욱인. (2013). 빅데이터와 위험 정보사회:커뮤니케이션북스.

27.

서진완. (2012). 차세대전자정부(e-Gov)의 Locus와 Focus (-). 스마트정부추진전략 컨퍼런스. 스마트정부(Gov3.0)오픈 포럼.

28.

송효진. (2014). 정부 3.0 추진에 따른 공공데이터 개방과 지방정부의 방향성 모색: 공공데이터법에 관한 이해와 개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7(2), 1-28.

29.

심성보. (2013). '정부 3.0' 정책기조와 기록관리개선 방향.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57-68.

30.

심영섭. 북유럽 국가의 정보공개제도. 2008 조사분석 워크숍: 정보공개제도와 언론보도.

31.

안용교. (1974). 국민의 알권리에 관한 연구.

32.

안용교. (1982). 국민의 알 권리. 신문연구, (겨울), 22-42.

33.

안용교. (1982). 스권의 행성배경과 전개. 고시연구, , 23-38.

34.

안전행정부. (2014). 2013 정부3.0 백서.

35.

안전행정부. (2014). 2013년도 정보공개연차보고서. .

36.

엄기열. (2003). 알권리의 개념적 가능성과 한계: 알권리에 대한 1989년의 헌법재판소 판결 이전의학설에 관하여. 언론과 법, 2, 409-442.

37.

오영균. (2013). 지방정부 3.0 이론과 과제. 지방행정연구, 27(2), 3-25.

38.

우윤석. (2014). 정부 3.0의 이론적 배경과 해외사례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16), 21-47.

39.

유일상. (2003). 국민의 알권리와 개인의 사생활권 (1-20). 한국방송학회세미나 및 보고서.

40.

윤종수. (2010). Government2.0 in Web 2.0 Era. 거버먼트2.0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http://www.slideshare.net/iwillbe99/government-20-2932299.

41.

이동훈. (2009). 유비쿼터스사회에서의 액세스권과 알권리 해석론. 공법학연구, 10(2), 81-104.

42.

이재완. (2014). 정부운영 패러다임과 정보공개 패러다임의 상응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7(2), 147-172.

43.

이재진. (2005). 저널리즘 영역에 있어서의 알권리의 기원과 개념변화에 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5(1), 231-264.

44.

이주량. (2010). Government2.0 동향과과학기술분야의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45.

임병국. (2002). 언론 법제와 보도:나남.

46.

장 용. (1969). 언론과 인권-한․미 언론법과 판례의 비교연구:선명문화사.

47.

정윤희. (2013). 공공데이터 오류율, 전문인력 양성 시급.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31025153533.

48.

정진임. (2013). 정보공개청구에 ‘묻지마’ 일관 인수위, 정부3.0 공약은.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726.

49.

정진임. (2014). 정부3.0 시대, 2. 정보공개시스템의 개선 과제. 기록학연구, (39), 45-72.

50.

정하명. (2009). 전자정보공개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공법학연구, 10(3), 259-282.

51.

조규하. (1962). 취재의 제문제: 국민의 알권리. 신문연구, (봄), 16-31.

52.

조동원. (2013). 빅데이터와 위험 정보사회:커뮤니케이션북스.

53.

조영삼. (2009). 기록정보공개 제도 개선 추진 현황과 방안. 기록학연구, (22), 77-114.

54.

참여연대 정보공개사업단. (1999). 정보공개청구운동백서 1998.5-1999.5:참여연대.

55.

최정민. (2013). 국내 정보공개 연구 동향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173-197.

56.

최창섭. (1982). 정보공개의 요구권. 관훈저널, 37, 74-87.

57.

최창호. (2004). 미국의 정보자유법에 관한 연구. 법학논고, 20, 89-123.

58.

하승수. 정보공개청구운동 1년의 평가와 과제.

5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정부 3.0: 새로운 대한민국을 꿈꾸다. .

60.

한병구. (2000). 언론과 윤리법제:서울대학교 출판부.

61.

한상범. (1970). 표현의 자유와 알권리. 법조, 19(21), 13-24.

62.

행정안전부. (2011). 국민과 하나되는 세계 최고의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스마트 전자정부(Smart Gov)추진계획. http://blog.jinbo.net/attach/4749/1392027904.pdf.

63.

홍성찬. (1978). 국민의 알 권리에 대한 고찰. 사회과학논집, 9, 49-63.

64.

홍일표. (2009). 정보공개운동의 ‘이중적 전환’과 시민참여 : <참여연대 정보공개사업단>과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비교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22), 37-76.

65.

홍필기. (2012). 전자정부서비스의 도전 (-). 스마트추진전략 컨퍼런스. 스마트정부(Gov3.0)오프 포럼.

66.

황주성. (2013). 빅데이터와 위험 정보사회:커뮤니케이션북스.

67.

Augustyn, Maja. Transparency and access to documents in the EU: Ten years on from the adoption of regulation 1049/2001.

68.

Blasi, Vincent. (1997). The checking value in first amendment theory. American Bar Foundation Research Journal, 2(3), 521-649.

69.

EC. (1992). Declaration on the right of access to information.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35(C191), -.

70.

EC. (1993). Code of conduct concerning public access to council and commission documents.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35(L340), 41-42.

71.

EC. (2001). Regulation (EC) No 1049/2001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30 May 2001 regarding public access to european parliament, council and commission documents.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L 145, 43-48.

72.

Eggers, William. (2005). Government 2.0: Using technology to improve education, cut redtape, reduce gridlock, and enhance democracy:Rowman& Littlefield Publishers, Inc.

73.

Government 2.0 Taskforce. (2009). Engage: Getting on with Government 2.0. australian government information management office department of finance and deregulation. http://www.finance.gov.au/publications/gov20taskforcereport/index.html.

74.
75.

Johnson, Bobbie. (2010). Privacy no longer a social norm, says Facebook founder. The Guardian. http://www.theguardian.com/technology/2010/jan/11/facebook-privacy.

76.

Manninen, Juha. (2006). The World’s First Freedom of Information Act: Anders Chydenius’ Legacy Today:Anders Chydenius Foundation.

77.

Halstuck, M. (2006).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1996-2006: A retrospective on the rise of privacy protection over the public interest in knowing what the government’s up to. Communication Law and Policy, 11(4), 511-564.

78.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08). Concepts and features of Government 2.0 and 3.0. http://www.mikekujawski.ca/ftp/Government2.0and3.0.pdf.

79.

OECD. Digital broadband content: Public sector information and content.

80.

O'Reily, Tim. (2009). Do it Ourselves. Gov2.0 Summit 2009. http://www.youtube.com/watch?v=27IQu37oYks.

81.

O'Reily, Tim. (2009). Gov 2.0: It's all about the platform. TechCrunch. http://techcrunch.com/2009/09/04/gov-20-its-all-about-the-platform/.

82.

Wiggins, James Russell. (1956). Freedom or secrecy:Oxford University Press.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