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598-1487
  • E-ISSN2671-7247

중앙행정기관 정보공개심의회 운영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nhanced Strategies for Information Disclosure Deliberative Committee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5, v.15 no.3, pp.7-28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3.007
최정민 (서강대학교)
김유승 (중앙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정부3.0 정책 시행 이후 정보공개심의회의 운영방식을 살펴보고 심의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정보공개심의회의 운영은 정부3.0 정책 이전과 별다른 차이가 없거나 일부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첫째, 정보공개심의회의 개최가 정례화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심의회의 직권심의 기능이 추가되어야 한다. 둘째, 심의회 위원 구성에 있어 외부위원과 내부위원 비율의 제고가 요구되며, 내부 임원이 위원장을 맡는 관행도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심의회의 회의형태는 대면회의를 원칙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유사한 사안과 반복적 사안에 대해서만 서면회의를 허용하되 이때에도 일정 절차를 마련하고 이를 준수하게 한다. 넷째, 정보공개심의회를 포함한 정보공개제도를 원활히 운영할 수 있는 전담 부서와 인력 배치가 필요하다.

keywords
governance, freedom of information act, information disclosure deliberative committees,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government 3.0, 거버넌스, 정보공개법, 정보공개심의회, 정보공개제도, 정부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enhanced management strategies for information disclosure deliberative committees in the Government 3.0 era. It confirms that there has been no progress on the committees’ management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Government 3.0 policies. On the contrary, certain retrogression aspect on the committees have been discussed. The study suggests the four alternative strategies as follows: First, the committees should be held regularly and exercise their authority for referring to discussion. Second, it must be configured that outside committee members are more than internal committee members. Also, there should not be any restriction so that external members can be a chairman.ᅠThird, the committee meetings should be in the face-to-face form in principle. The documentary deliberation could only be allowed if issues are repeated and they are similar. For this type of deliberation, the procedure and schedule should be established and complied to. Fourth,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department and staffing in charge are required.

keywords
governance, freedom of information act, information disclosure deliberative committees,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government 3.0, 거버넌스, 정보공개법, 정보공개심의회, 정보공개제도, 정부3.0

참고문헌

1.

김성배. (2010). 정보공개제도와 국가비밀보호의 문제. 법학논고, (34), 87-114.

2.

김승태. (2009). 전자적 정보공개제도의 운영실태 평가: 정보공개시스템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2(3), 51-82.

3.

김유승. (2010). 거버먼트 2.0 기반의 정보공개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기록학연구, 25(25), 197-232.

4.

김유승. (2013). 대통령기록의 보호와 공개를 둘러싼 쟁점과 제도적 과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2), 7-30.

5.

김유승. (2011). 거버먼트 2.0 기반의 공공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 국내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47-66.

6.

김주환. (2005). 정책결정에 있어서 위원회의 활용 분석: 청계천 복원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4(3), 1-30.

7.

배인명. (2009). 우리나라 지방재정정보공개의 적정성에 대한 연구: 지방재정공시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2(3), 83-103.

8.

송희준. (2012). 한국과 일본의 정보공개 제도와 운영실적의 비교 연구: 중앙정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6(1), 289-312.

9.

안지현. (2006). 비공개 기록의 관리와 활용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13(13), 135-185.

10.

윤은하. (2012). 기록정보 서비스와 정보공개 -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논쟁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163-179.

11.

이원규. (2005). 행정정보 및 보존기록물 공개의 운영과제. 기록학연구, 12(12), 81-135.

12.

이재완. (2011). 정보공개청구 수용에 관한 연구 :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3(4), 1077-1104.

13.

이진영. (2003). 한국 정부기록보존소의 역사기록물 공개에 관한 검토. 한국기록관리학회지, 3(1), 129-140.

14.

장경원. (2008). EU 행정법상 정보공개제도 ― EU 옴부즈맨의 역할을 중심으로 ―. 행정법연구, (21), 75-96.

15.

전영평. (2005). 지방정부위원회 운영의 비판적 고찰-대구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17(1), 241-271.

16.

정하명. (2010). 행정정보공개대상 정보의 적정 범위: 대법원 2008. 11. 27. 선고 2005두15694판결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51(1), 49-70.

17.

조선일. (2004). 기초자치단체 인사위원회제도 운영에 관한 실증적 연구: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8(3), 139-160.

18.

조영삼. (2009). 기록정보공개 제도 개선 추진 현황과 방안. 기록학연구, (22), 77-114.

19.

참여연대 행정감시센터. 정보공개법 시행령 입법예고안에 대한 입법의견.

20.

최무현. (2008). 정부위원회 인적 특성과 정책 효과성: 대표성과 전문성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46(2), 25-51.

21.

최정민. (2014). 중앙기관과 지방기관의 정보공개심의회 운영과 정보공개 비교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3), 83-103. http://dx.doi.org/10.14404/JKSARM.2014.14.3.083.

22.

최정민. (2013). 국내 정보공개 연구 동향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173-197. http://dx.doi.org/10.14404/JKSARM.2013.13.3.173.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