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록관리 전문가를 교육 및 양성하는 주요 학문영역의 하나로서 문헌정보학의 교육과 연구의 현황을 분석하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35개 4년제 대학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과 기록관리학 분야 교과목의 변화를 검토하고 국내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의 7개 학술지에 실린 문헌정보학 교수의 기록관리학 학술논문들을 대상으로 출판 동향을 조사․분석하였다. 문헌정보학의 한 영역으로서 기록관리학의 연구동향은 새로운 학문분야, 교과목 개설의 증가, 학회의 창설과 학회지의 창간, 관련 법률의 제정과 개정, 학문의 학제적 성격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기록관리학 교과목의 개설과 융합적 연구, 그리고 타 학문 영역의 기록관리학 교육과 연구에 대한 조사 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the status analysis and formulation of directions for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s part of major study area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archivis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curricular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partment of 35 four year universities all over Korea and the changes in the curricular of records management area and reviewed and analyzed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ors’s articles of records management area which were published in 7 journals for the purpose of their publication trend. It was found out that the study trend of the record management area, as par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as influenced by the new study fields, the increase in subject opening, founding of academic societies and publication of new journal, enactment and amendment of disciplinary character of studies, etc. Based on this, the necessity for opening of new records management courses,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vestigation of records management education and researches of other study fields were proposed.
김규환. (2009).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 학회지 논문 분석을 통한 연구동향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4), 217-239.
김규환. (2009). 우리나라 기록관리학 분야의 연구영역 분석 - 논문제목의 구문 및 의미 구조를 중심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417-439.
김명옥. (1997). 문헌정보학의 교육방향에 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1(2), 121-138.
김성수. (1998). 문헌정보학의 교육목적 및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40-80).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하계학술발표회.
김판준. (2012). 프로파일링 기법을 이용한 국내 전자기록 분야 지적구조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29-50.
김희정. (2006). 국내외 기록관리학 연구영역의 시계열적 분석 및 확장성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2), 5-25.
남태우. (2009). 우리나라 기록관리학 연구 동향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2), 451-472.
노영희. (2015). 2014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조은글터.
배수라. (2013). 기록관리학과 문헌정보학의 연구동향 비교 분석.
설문원. (2012). 기록분류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3), 203-232.
윤은하. (2011). 북미 기록학의 동향과 전망 - 패러다임 변화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2), 77-94.
이소연. (2011). 국내 전자기록 연구의 동향 분석 - 회고와 전망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2), 7-31.
이수상. (2010). 공저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술지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2), 297-315.
이재윤. (2007).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 지적구조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1), 345-372.
장로사. (2009). 한국의 기록관리학 연구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 정보학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 87-100.
정연경. (2003). 미국의 기록관리학 지식 범주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3(2), 34-51.
정연경. (2005). 한국과 미국의 대학원 기록관리학 교과과정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2), 5-25.
정연경. (2010). 기록 전문직 양성 프로그램의 현황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1), 99-118.
정연경. (2011).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자들의 인용행태 분석 - 『한국기록관리학회지』(2001년-2010년)를 중심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2), 367-391.
정연경. (2012).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 학술지에 나타난 학제성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7-27.
최재희. (2011). 국내의 기록물 평가론 연구 동향 - 회고와 전망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7-22.
한국대학교육협의회. (1989). 도서관학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Couture, C. (2005). Research in Archival Science: A Status Report. Archivaria, 59, 41-67.
Cox, R. J. (1987). American Archival Literature: Expanding Horizons and Continuing Needs, 1901-1987. American Archivist, 50(1), 306-323.
Gilliland-Swetland, A. J. (1992). Archivy and the Computer: A Citation Analysis of North American Archival Periodical Literature. Archival Issues, 17(2), 95-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