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근리디지털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예비분석으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Open Source Software)를 분석하였다. 노근리사건은 한국전쟁 중의 양민 학살 사건으로 1999년 처음 사건이 알려진 이래로 한미 양국의 서로 다른 정치적 환경에서 벌어진 진상 규명 과정과 연구 활동, 이후 사회문화적인 다양한 치유 과정을 거쳐왔다. 이에 사건의 본질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사건의 전후 내용뿐만 아니라 양국의 사회적 이해와 사회 구성원의 기억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노근리디지털아카이브는 사회적 기억의 수집을 위하여 참여형이라는 방식을 도입해 디지털아카이브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 시점에서 디지털아카이브 구축의 도구로 활용 가능한 대표적인 OSS들을 선별하여 평가․분석하였다. 평가를 위해 기존 OSS 평가 연구들을 통하여 평가 기준들을 종합하고, 또 사회적 기억을 저장하기 위한 핵심 기능과 조건들을 고려하여 참여형디지털아카이브를 위한 평가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 디지털 프로젝트에 널리 사용 중인 OSS 중 6개 시스템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각 OSS의 특성과 장단점을 통해, 사회적 기억이라는 콘텐츠를 담는 디지털아카이브에 적합한 OSS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reports the evaluation of six open-source software systems for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This is an effort to create a digital platform for the social memory of No Gun Ri, which was first recognized in 1999 as a civilian massacre. The process of how it was reported and investigated is critical to understanding this brutal incident. In addition, the course of its cultural recovery has witnessed the reconstruction of the No Gun Ri memory. Thus, it is important to embrace the social memory around the massacre in these archives. In consideration of a virtual space for memory, this study takes the form of participatory archives to provide a mechanism in which anyone can share their memories. As a way to find a digital archives system for No Gun Ri, this study analyzed open-source software based on identified functions and requirements for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Knowing the details of digital systems, this study discussed how contents for social memory can be stored and used in a digital system.
강상원. (2013). 개방형 소프트웨어의 품질평가 기준 구축. 디지털융복합연구, 11(2), 323-330.
공개 SW 포털. http://www.oss.kr/oss_intro02.
김유승. (2015). 노근리사건 도큐멘테이션 전략 수립을 위한 예비 분석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4), 173-194. http://dx.doi.org/10.14404/JKSARM.2015.15.4.173.
김화선. (2014). 노근리 사건을 서사화하는 세 가지 방식. 아동청소년문학연구, (15), 283-311.
노용석. (2015). ‘장의’에서 ‘사회적 기념’으로의 전환: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피학살자 유해 발굴의 역사와 특징. 역사와경계, (95), 207-242.
설문원. (2011). 디지털 환경에서의 로컬리티 기록화 방법론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207-230.
설문원. (2012).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2), 3-44.
설문원. (2014). 오픈소스를 활용한 사건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 사건을 사례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7-36. http://dx.doi.org/10.14404/JKSARM.2014.14.4.007.
송정숙. (2014). 오픈소스를 이용한 부산항 사진 아카이브의 구축 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3), 127-151. http://dx.doi.org/10.14404/JKSARM.2014.14.3.127.
송지훈. (2008).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특성을 고려한 소프트웨어 평가모델 (347-352). 한국인터넷정보학회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인터넷정보학회.
신창훈. (2011). Greenstone을 활용한 기관 리포지터리 구축 및 사용성 평가.
안대진. (2015). AtoM 시스템의 구축과 커스터마이징 방법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45), 5-50.
엄찬호. (2013).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에 대한 분노와 치유. 인문과학연구, (36), 585-607.
오연호. (1994). 최초증언 6. 25 참전 미군의 충북 영동 양민 300 여명 학살사건. 월간 말, 97, 36-45.
이보람. (2014). 공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기록시스템 구축가능성 연구ICA AtoM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39), 194-229.
이한세. (2006). 해외 공개소프트웨어 정책현황과 적용사례 연구: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임진희. (2015). (2013. 07-2015. 06)인간과 기억아카이브 백서 : 일상아카이브의 시작:한국국가기록원.
정구도. (2003). 노근리는 살아있다:백산서당.
정은용. (2011). 그대, 우리의 아픔을 아는가:다리미디어.
조계완. (2000). 노근리 진실 ‘ 의도적 은폐 ’. http://h21.hani.co.kr/arti/cover/cover_general/1228.html.
최병수. (1999). 6. 25 동란 초기 충북영동지구의 민간인 살상사건에 관한 연구(1) : 노근리의미국 대양민 집단살상사건을 중심으로. 충북대 인문학지, 17(1), 245-283.
최윤진. (2014). 공개 소프트웨어 OMEKA를 이용한기록 웹 전시 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42), 135-183.
현문수. (2014). 로컬리티 아카이브로서 참여형 노동 아카이브 개발 모형 설계. 기록학연구, (41), 3-38.
현문수. (2014).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실행 방안 - 부산 영도 지역 조선(造船) 노동 아카이브 구축을 위하여. 기록학연구, (42), 245-285.
Andro, M.. (2012). Digital libraries : Comparison of 10 software. Library Collections, Acquisitions, and Technical Services, 36(3-4), 79-83.
Archivematica. https://www.archivematica.org/en/.
Biswas, G.. (2010). An Evaluative Study on the Open Source Digital Library Software for Institutional Repository : Special Reference to Dspace and Greensotne Digital Library. International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 1-10.
Castagn10.nal JournalInstitutional Repository Software Comparison: DSpace, EPrints, Digital Commons, Islandora and Hydra. https://open.library.ubc.ca/collections/42591/items/1.0075768/source.
Choe, S.. (1999). War’s Hidden Chapter: Ex-GIs Tell of Killing Korean Refugees. http://www.collectiveaccess.org/about.
Cook, T.. (2013). Evidence, Memory, Identity, and Community : Four Shifting Archival Paradigms. Archival Science, 13, 95-120.
Cruz, D.. (2006). Evaluation Criteria for Free/Open Source Software Products Based on Project Analysis.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nd Practice, 11, 107-122.
Goh, D. H. -L.. (2006). A Checklist for Evaluating Open Source Digital Library Software. Online Information Review, 30(4), 360-379.
Hedstrom, M.. (2001). Digital preservation: problems and prospects. http://www.dl.slis.tsukuba.ac.jp/DLjournal/No_20/1-hedstrom/1-hedstrom.html.
Jordan, A.. (2011). Evaluating Open Source Digital Preservation Systems: A Case Study. http://e-records.chrisprom.com/evaluating-open-source-digital-preservation-systems-a-case-study-2/.
Lihitkar, S. R.. (2012). Open Source Software for Developing Digital Library : Comparitive Study.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Technology, 32(5), 393-400.
Madalli, D. P.. (2012). Digital Preservation in Open-Source Digital Library Softwar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8(3), 161-164.
Masrek, M. N.. (2012). Evaluation of Three Open Source Software in Terms of Managing Repositories of Electronic Theses and Dissertations : A Comparative Study. Journal of Basic and Applied Scientific Research, 2(11), 10843-10852.
McLellan, E.. (2011). Open-Source Software for Archives: Archivematica and ICA-AtoM, Presented at UBC Open Access Week 2011. https://open.library.ubc.ca/cIRcle/collections/ubclibraryandarchives/2689/items/1.0077849148.
Omeka. http://omeka.org/about/.
OpenDOAR. (2015). Usage of Open Access Repository Software-Worldwide. http://www.opendoar.org/onechart.php?cID=&ctID=&rtID=&clID=&lID=&potID=&rSoftWareName=&search=&groupby=r.rSoftWareName&orderby=Tally%20DESC&charttype=pie&width=600&height=300&caption=Usage%20of%20Open.
PBS Newshour. (2001). No Gun Ri: Clinton’s Statement. http://www.pbs.org/newshour/updates/asia-jan-june01-clinton_01-11/.
Pyrounakis, G.. (2014). Building Digital Collections Using Open Source Digital Repository Software : A Compara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Library Systems, 4(1), 10-24.
Raymond, E. S.. (1999). The Cathedral and the Bazaar : Musings on Linux and Open Source by an Accidental Revolutionary:O'Reilly Media.
Sinn, D.. (2009). Building Collective Memory of No Gun Ri: Creating Archives as Memory (-). Conference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IFLA).
Sinn, D.. (2007). Records and the understanding of violent events: Archival documentation, historical perception, and the No Gun Ri massacre in the Korean War. http://d-scholarship.pitt.edu/9989/.
Sinn, D.. (2009). Building Collective Memory of No Gun Ri : Creating Archives as Memory (-). Conference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신동희. (2012). Archival Memory on the Web: Web 2.0 Technologies for Collective Memory.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2), 45-68.
Spiro, L.. (2009). Archival Management Software: A Report for the Council on Library and Information Resources. Council on Library and Information Resources.
Stallman, Richard. (1985). The GNU Manifesto. http://www.gnu.org/gnu/manifesto.html.
Theimer, K.. (2011). Exploring the Participatory Archives. http://www.archivesnext.com/?p=2319.
Wheeler, D.. (2011). How to Evaluate Open Source Software/Free Software (OSS/FS) Programs. http://www.dwheeler.com/oss_fs_eval.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