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자동수집 기반 재난안전 기록정보자원 아카이브 설계 및 구축전략

Design and Construction Strategy for Disaster and Safety Record Information Resources Archives Based on Automatic Acquisition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7, v.17 no.4, pp.127-154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4.127
한희정 (전북대학교)
강주연 (전북대학교)
김용 (전북대학교)
오효정 (전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최근 전 세계적으로 대형 복합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할 뿐 아니라 매해 반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의 정리된 재난과 관련한 원시자료 및 가공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범정부 차원에서 재난안전 기록정보자원을 종합적으로 제공하여 재난안전정보의 허브(Hub)로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자동수집 기반의 재난안전 기록정보자원 아카이브 구축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재난아카이브 사례를 분석하여 재난안전 기록정보자원 아카이브 구축 시 고려할 사항들을 도출하였으며, 1) 재난안전 기록정보자원 전수조사, 2) 자동화 가능성 분석, 3) 아카이빙 대상 선별, 4) 메타데이터 자동수집에 이르는 4단계 구축전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아카이브의 구축은 산발적으로 존재하는 정보의 통합관리와 정보의 공유 및 활용을 촉진하게 될 것이다.

keywords
disaster records,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disaster and safety record-information materials, disaster archives, automatic acquisition, 재난기록, 재난안전정보, 재난안전 기록정보자원, 재난아카이브, 자동수집

Abstract

Large-scale and complex disasters have frequently occurred all over the world recently, and they are repeated every year. Accordingly, the need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raw-data and processing information in the past has increas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oposed a construction strategy for disaster and safety record information resources archives based on automatic acquisition, which can be used as a hub for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Based on local and foreign case studies, several consideration factors for building the archives are determined. Finally, this study proposed four steps for constructing the archives. These are as follows: 1) complete enumeration survey of the disaster and safety record information resources, 2) automatic acquisition possibility study, 3) selection of the resources for preservation, and 4) automatic acquisition of metadata. The construction of the archive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facilitate integrated management, sharing, and use of scattered information resources on disaster and safety.

keywords
disaster records,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disaster and safety record-information materials, disaster archives, automatic acquisition, 재난기록, 재난안전정보, 재난안전 기록정보자원, 재난아카이브, 자동수집

참고문헌

1.

김광영. (2011). 웹 자원 아카이빙을 위한 웹 크롤러 연구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1(9), 9-16.

2.

김유승. (2007). 웹 아카이빙의 법제도적 문제에 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3), 20-24.

3.

김유승. (2008). 복합적 웹 아카이빙 정책에 관한 고찰 - 프랑스국립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159-179.

4.

김태영. (2017). LOD기반의 재난안전 정보서비스 확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3), 163-188. http://dx.doi.org/10.4275/KSLIS.2017.51.3.163.

5.

김현정. (2017). 재난기록의 웹 아카이빙에 대한 연구 - OASIS 재난아카이브의 역할과 기능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2), 27-56. http://dx.doi.org/10.14404/JKSARM.2017.17.2.027.

6.

박성원. (2014). Introduction : 우리가 살면서 만날 재난과 그 대응. Future Horizon : Summer, 21, 4-7.

7.

박 태 연. (2017). 재난안전정보의 통합 관리를 위한 분류체계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3), 125-150.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7.28.3.125.

8.

서혜란. (2004). 웹 아카이빙의 성과와 미래 전망 (7-25). 한국비블리아발표논집.

9.

유호선. (2017). 소셜미디어에서의 사회재난 이슈 생존 주기 분석.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15(7), 139-147. http://dx.doi.org/10.14801/jkiit.2017.15.7.139.

10.

윤정옥. (2010). 웹 아카이브 OASIS에 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2), 5-27.

11.

이관형. (2016). 사회재난의 재난위해분석에 관한 연구 (84-92). 한국방재안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2.

이수진. (2017). 웹 아카이빙을 위한 정보자원의 자동수집 알고리즘 개발및 구현 (127-134).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하계 학술발표회.

13.

이연수. (2013). 대규모 웹 기록물의 원격수집을 위한 콘텐츠 중복 필터링 개선 연구. 기록학연구, (35), 133-160.

14.

이혁재. (2009). 정부기관 웹 기록물관리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3), 33-46.

15.

정지나. (2017).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재난안전정보와 관련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3), 67-93.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7.28.3.067.

16.

정혜지. (2016). 미국 9․11 메모리얼의 재난기록물 수집에 관한 연구.

17.

정힘찬. (2017). 재난안전정보 관리를 위한 어휘자원 현황분석 및 활용방안. 정보관리학회지, 34(2), 137-158. http://dx.doi.org/10.3743/KOSIM.2017.34.2.137.

18.

차승준. (2008). 웹기록물 아카이빙 기반기술 여구 개발 (359-368). 한국전자거래학회 심포지움 및 기타간행물.

19.

차승준. (2009). 공공기관 심층 웹기록물 아카이빙을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4(4), 181-193.

20.

최형섭. (2014). 재난의 기록: 재난보고서의 사회적 기능. Future Horizon, 21(Summer), 24-27.

21.

한국기록관리협회. (2009). 전자기록물의 이해:조은글터.

22.

한희정. (2017). 재난안전정보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온라인 기록정보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8(2), 187-213. http://dx.doi.org/10.16981/kliss.48.2.201706.187.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