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598-1487
  • E-ISSN2671-7247

무형문화유산 기록정보자원 디지털화를 위한 평가요소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Factors for the Digital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cord Information Resource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9, v.19 no.3, pp.123-153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3.123
백지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조애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유신성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김택범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오효정 (전북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무형문화유산 기록정보자원을 디지털화한 결과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요소와 항목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디지털화 사례에 적용함으로써 그 유용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정보자원의 디지털화 관련 지침과 국가기록원 표준, 선행연구와 함께 국립무형유산원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디지털화 사례를 분석하여 평가영역과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후 개발된 평가요소 및 항목의 중요도를 선정하기 위해 무형문화유산 관련 기관의 실무자와 디지털화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선정된 중요도를 바탕으로 배점 체계를 설정하였다. 나아가 이를 디지털화가 완료된 무형문화유산 기록정보자원 사례에 실제 적용하여 파일럿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평가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요소 및 항목을 통해 기관에서 디지털화 시 미흡했던 부분들을 객관화․수치화하여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이는 추후 실무자들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cord information resources, Digitalization, Evaluation factors, 무형문화유산, 기록정보자원, 디지털화, 평가요소

Abstract

The study aims to develop and verify evaluation factors and items for assessing the quality when digitiz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cord information resources. To derive evaluation areas and factors, the study analyzes the digitalization cases of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and International Information and Networking Centre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Asia-Pacific region (ICHCAP) under the auspices of UNESCO, along with digitalization-related guidelines, National Archives of Korea standards, and previous studies. Afterward, to select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factors and items developed,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n working-level official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related organizations and those working on digitalization, and established an allocation system based on the selected importance. Furthermore, the study performed a pilot evaluation by applying it to a digitaliz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cord information resources and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FGI) to verify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Through the evaluation factors and item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agency can objectify the deficiencies of digitalization at a glance and use them as basic data by practitioners in the future.

keyword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cord information resources, Digitalization, Evaluation factors, 무형문화유산, 기록정보자원, 디지털화, 평가요소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