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598-1487
  • E-ISSN2671-7247

디지털 기록의 상호운용을 위한 지식그래프의 평가

Evaluation of Knowledge Graph for Interoperating Digital Record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23, v.23 no.4, pp.159-178
https://doi.org/10.14404/JKSARM.2023.23.4.159
박하람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문헌정보학전공 박사과정)
김학래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수)

초록

디지털 아카이브는 지속적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는 디지털 기록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한 온라인 플랫폼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는 기능, 메타데이터, 데이터의 기술원칙과 관련된 공통 원칙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분산적으로 존재하는 디지털 기록을 연계하기 힘들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록의 상호운용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디지털 아카이브를 위한 공통 어휘를 제안하고, 공통 어휘로 구축된 디지털 아카이브의 상호운용성을 평가한다. 1997 외환위기 아카이브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지식그래프를 구축하고, RiC-O로 구축된 지식그래프와 상호운용성을 비교한다. FAIR 데이터 원칙의 평가 프레임워크는 1997 외환위기 아카이브와 지식그래프를 평가하는 데 활용된다. 구축된 지식그래프는 기록의 다양한 개체가 서로 연계되고, 기록의 이해에 도움이 되는 맥락 정보를 제공한다. 검증 결과는 공통 어휘로 구축된 지식그래프가 기존 아카이브에 비해 디지털 기록의 연계와 검색, 상호운용 관점에서 향상된 결과를 보인다.

keywords
FAIR Data Principles, Digital Archive, Knowledge Graph, DCAT, RiC-O, FAIR 데이터 원칙, 디지털 아카이브, 지식그래프, DCAT, RiC-O

Abstract

A digital archive is an online platform for preserving and utilizing digital records worthy of continued preservation. However, there are no shared standards for functionality, metadata, or data technical principles across digital archives in Korea. These issues create challenges in linking distributed digital records. This study proposes a common vocabulary for digital archives to enhance the interoperability of digital records and evaluates the interoperability of the digital archive built with the common vocabulary. We collect and analyze data from the digital archive on the Korean financial crisis of 1997 to construct a knowledge graph and compare its interoperability with the knowledge graph built with RiC-O. The archive and the knowledge graph underwent evaluation using the FAIR data principles evaluation framework. The constructed knowledge graph links various objects in the archive and provides contextual information to aid in understanding the archiv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a knowledge graph built with a common vocabulary significantly improves the linkage, search, and interoperability of digital records compared to a traditional archive.

keywords
FAIR Data Principles, Digital Archive, Knowledge Graph, DCAT, RiC-O, FAIR 데이터 원칙, 디지털 아카이브, 지식그래프, DCAT, RiC-O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