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598-1487
  • E-ISSN2671-7247

웹기록물 관리 프로세스 연구

A Study on Web Records Management Proces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23, v.23 no.4, pp.201-226
https://doi.org/10.14404/JKSARM.2023.23.4.201
김도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 전공 박사과정)
현문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강사)
배서영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 전공 석사)
박지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 전공 석사과정)
김지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수)

초록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웹기록물 관리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웹기록물 관리 업무 주체별 역할을 정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웹기록물의 개념 및 관리 환경과 17개의 국내외 사례기관 조사, 웹 아카이빙 담당자 인터뷰를 통해 웹기록물 관리 관련 환경, 정책, 제도 등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둘째,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웹기록물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자 웹기록물 전 생애주기 관리 프로세스를 설계하였다. 프로세스는 단기 및 중·장기 계획과 중·장기(추가사항) 계획으로 구분하였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공공기관의 웹기록물 관리 역량 강화를 지향하도록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웹기록물 관리 프로세스에 관한 실무 기반을 마련하고자 웹기록물 관리의 업무 주체별(처리과, 기록관, 영구기록물관리기관) 역할을 함께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는 웹기록물 관리의 실무를 반영한 프로세스를 구축하거나 웹기록물 관리 관련 정책, 제도 등의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Web records, Website, Web contents, Website administrative records, Web archiving, 웹기록물, 웹사이트, 웹콘텐츠, 웹 설계 및 관리 기록물, 웹 아카이빙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web records management process for public institutions and define the roles of agents in task execution. First, web records’ concept and management environment across 17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were examined, and web archiving professionals were interview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environment, policies, and systems related to web record management. Then, a web records life-cycle management process was formulated to create a web records management framework applicable to domestic institutions. This process was classified into short-term, medium-to-long-term, and medium-to-long-term, with additional consideration plans designed to strengthen the web records management capabilities of public institution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ird, the roles of agents in web records management, including the processing department, archivist, and permanent records management organization, are presented to establish a working foundation for the web record management process. Finally, the study’s result can be used to build a process that reflects the practice of web records management or establish policies and systems related to web records management.

keywords
Web records, Website, Web contents, Website administrative records, Web archiving, 웹기록물, 웹사이트, 웹콘텐츠, 웹 설계 및 관리 기록물, 웹 아카이빙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