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국내 디지털 큐레이션 연구동향 분석

A Systematic Review of Trends of Domestic Digital Curation Research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24, v.24 no.2, pp.41-63
https://doi.org/10.14404/JKSARM.2024.24.2.041
박민석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협동과정 박사과정)
이지수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부교수)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대표적인 학술정보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디지털 큐레이션 분야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9년부터 2023년까지 등재된 학술논문 총 39건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여 발행연도에 따른 등재 현황과 발행지 및 학문분야, 연구 영역의 분포, 연구자 소속과 직업군 분포 및 연구 형태를 파악하였으며, 저자 키워드 69개를 대상으로 연결 중심성 분석과 응집그룹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디지털 큐레이션 분야 연구는 2015년과 2016년에 5건씩 가장 많은 연구가 등재된 후 소폭 감소하다 2019년 이후 매년 4건 이상 등재되었다. 둘째, 39건 연구 중 25건의 연구가 문헌정보학을 포함한 복합학 분야에서 수행되고, 11건의 연구가 기타인문학을 포함한 인문학 분야에서 수행되으며, 연구 영역별로는 이론 및 인프라, 정보관리 및 서비스, 기관 영역 순으로 집계되었다. 셋째, 디지털 큐레이션 연구는 대학교 소속 교수와 연구자가 주도하며, 단독연구보다 공동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넷째, 저자 키워드 분석 결과 ‘디지털 큐레이션’, ‘기관’, ‘콘텐츠’가 전체 네트워크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중심 키워드로 나타났다.

keywords
Digital Curation, Digit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atic Review, Research Trend, Keyword Analysis, 디지털 큐레이션, 디지털 정보관리,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동향, 키워드 분석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research trends in digital curation indexed in a prominent domestic academic information databas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39 academic papers published from 2009 to 2023. The review examined indexing status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 venue, academic discipline, research area distribution, research affiliation and occupation, and research types. In addition, network centrality analysis and cohesive group analysis were performed on 69 author keywords. The findings revealed several key points. First, digital curation research peaked in 2015 and 2016 with 5 publications each year, followed by a slight decrease, and then consistently produced 4 or more publications annually since 2019. Second, among the 39 studies, 25 were conducted in interdisciplinary fields, including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hile 11 were in the humanities, such as miscellaneous humanities. The most prominent research areas were theoretical and infrastructural aspects,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s, and institutional domains. Third, digital curation research was predominantly led by university-affiliated professors and researchers, with collaborative research more prevalent than solo research. Lastly, analysis of author keywords revealed that “digital curation,” “institution,” and “content” were the most influential central keywords within the overall network.

keywords
Digital Curation, Digit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atic Review, Research Trend, Keyword Analysis, 디지털 큐레이션, 디지털 정보관리,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동향, 키워드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