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근․현대 지역사료 수집, DB 구축 및 공동 활용 -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중심으로 -

The Acquisition, Construction and Common Use of Modern and Post-modern Document DB in the NAK, NIKH, and AK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08, v.8 no.2, pp.39-60
https://doi.org/10.14404/JKSARM.2008.8.2.039
강순애 (한성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근․현대 지역사료 수집, DB 구축 및 공동 활용 방안의 네 가지 측면을 다루었다. 첫째, 한국 지역사의 개념은 향토사, 지방사, 지역사 등으로 쓰이는데 근․현대사와 관련해서는 지역사의 개념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둘째, 국가기록원은 1999년에 제정된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근․현대 지역사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현재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교육청, 대학, 기타 공공기관의 기록물을 관리하고 있다. 국사편찬위원회는 2004년부터 2010년까지 10개년 계획으로 각 지역에 산재해 있는 근․현대 지역사료를 시군별 자료수집과 더불어 주제별 자료조사도 병행하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초기에는 현대사연구소를 중심으로 근․현대사 사료를 수집하였다. 1997년부터 2005년까지는 수집된 사료는 해방기를 전후한 자료들이다. 셋째, 국가기록원의 중앙기록관리시스템 및 나라기록포털시스템,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시스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향토문화대전시스템의 특성이 기술되었다. 넷째, 세 기관 사이의 공동협의회의 구성은 국가기록물관리위원회 산하에 ‘근․현대 지역사료 협의회’를 두고, 국가기록원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각 기관과 연대해 나가며, 근․현대 사료의 디지털화된 자원의 공유를 위한 기술개발, 콘텐츠의 이용과 개선, 공공의 이용과 참여, 국제적인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려면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분담된 역할이 있어야함을 강조하였다.

keywords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Centr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and Nara Records Portal System of NAK, Korean History Database System of NIKH, Korean Provincial Culture Electronic Encyclopedia of AKS., 근․현대 지역사료, 국가기록원의 중앙기록관리시스템 및 나라기록포털시스템,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시스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향토문화대전시스템,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Centr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and Nara Records Portal System of NAK, Korean History Database System of NIKH, Korean Provincial Culture Electronic Encyclopedia of AKS.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the four aspects of the acquisition, construction and common use of modern and post-modern document DB in the NAK, NIKH, and AKS. First, The concept of Korean regional history includes provincial history, local history and regional history and as far as modern and post-modern history is concerned, the concept of regional history is on expansion. Second, National Archives of Korea has been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managing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in compliance to Public Institutes Records Management Law, enacted in 1999 and currently is in charge of handling public records of 373 central government administration offices, 514 regional government offices, Office of Education, universities and of other public agencies.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is working on a ten year project from 2004 to collect the scattered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and to classify them regionally and thematicall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as been collecting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and collection was initiated by Modern History Research. Those records that are collected from 1997 and 2005 are mainly from the liberation period. Third, characteristics of Centr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and Nara Records Portal System of NAK, Korean History Database System of NIKH and of The AKS’ Korean Provincial Culture Electronic Encyclopedia are elaborated. Fourth, establishing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Council’ as an affiliated organization of National Archives Management Committee is recommended, NAK leading the council and promoting further cooperation. In this section, an emphasis on allotted tasks of three institutes in order to achieve technology development for digitalized resource sharing, to improve on contents and to promote public and international use is placed as well.

keywords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Centr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and Nara Records Portal System of NAK, Korean History Database System of NIKH, Korean Provincial Culture Electronic Encyclopedia of AKS., 근․현대 지역사료, 국가기록원의 중앙기록관리시스템 및 나라기록포털시스템,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시스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향토문화대전시스템,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Centr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and Nara Records Portal System of NAK, Korean History Database System of NIKH, Korean Provincial Culture Electronic Encyclopedia of AKS.

참고문헌

1.

강순애. (2007). 한국 민간 소장 고문헌의 DB 구축과 공동활용 방안. 서지학연구, (38), 5-46.

2.

강순애. (2006). 한국의 지방사 디지털아카이브의 구축과 통합 및 이용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34), 5-35.

3.

고석규. (1998). 지방사연구의 새로운 모색 (13-40). 지방사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제1회역사문화학술대회. 역사문화학회.

4.

국가기록원. (2008). 국가기록물 소장기록물 가이드 Ⅰ:국가기록원.

5.

국가기록원. (2008). 국가기록물 소장기록물 가이드 Ⅱ:국가기록원.

6.

국가기록원. (2007). 중앙기록기록관리시스템 구축사업완료 보고회:국가기록원.

7.

국사편찬위원회. (2008).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시스템 구축사업 제안서:국사편찬위원회.

8.

국사편찬위원회. (2008). 2008년도 지역사 사료 수집 지원사업업무편람:국사편찬위원회.

9.

국사편찬위원회. (2005). 국사편찬위원회 요람:국사편찬위원회.

10.

김미향. (2004). 지방역사기록물 수집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1.

金炫榮. (2000). 방법으로서의 지방사: 조선시기‘사족지배체재론’을 중심으로:景仁文化社.

12.

박찬승. (2008). 근․현대 지역사 자료의 연구 이용 현황 및 기획 수집 방향 연구. 2008년도 지역사 사료 수집 지원사업업무편람, , 37-56.

13.

양정필. (2007). 근․현대 지역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역사문제연구, (17), 9-35.

14.

이해준. (2001). 한국 지역사 연구의 이론과 체계 시론.

15.

정지연. (2007). 근․현대기록물 수집활동 체계화 방안: 국사편찬위원회를 중심으로. 강원인문대논총, 18, 91-121.

16.

지수걸. (2001). 한국 근․현대 지역사 서술체계와 활용자료. 한국사론 32: 지역사 연구의 이론과 실제, , 313-336.

17.

최희진. (2005). 지방역사기록물 수집정책 연구.

18.

한국기록관리학회. (2008). 기록관리론: 증거와 기억의 과학:아세아문화사.

1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년사 편찬위원회. (199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년사: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

한국정신문화연구원․전국문화원연합회. (2001).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편찬 기초조사 연구:한국정신문화연구원.

2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문헌자료의 이해와 활용:한국학중앙연구원.

22.

국가기록원. http://www.archives.go.kr.

23.

국사편찬위원회. http://www.history.go.kr.

24.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www.aks.go.kr.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