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598-1487
  • E-ISSN2671-7247

근대 공문서 소장 현황과 협력 과제 - 박물관 · 기록관 · 도서관을 중심으로 -

Collection Status of Modern Public Records and Cooperation Issue: in the Museum, Archives, and Librarie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08, v.8 no.2, pp.75-88
https://doi.org/10.14404/JKSARM.2008.8.2.075
박성진 (국가기록원 학예연구관)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대표적인 박물관, 기록관, 도서관 등 5개 기관을 대상으로 근대 공문서 소장현황, 소장기록물의 특성, 그리고 서비스 현황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대부분의 기관이 소장 기록물 전체 목록을 작성하지 못하고 있으며, 웹서비스도 제한되고 있었다. 또한 생산출처가 동일한 기록물군이 2~3개 기관에 분산 보존되고 있는 사례도 있었다. 그 결과, 각 기관에 분산 소장되어 있는 근대 공문서를 효과적으로 정리하고 활용하기 위하여 기록관, 박물관, 도서관 등이 협력해야 할 이유를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archives, museum, libraries, modern public records, collection status, cooperation issue, archives, museum, libraries, modern public records, collection status, cooperation issue, 기록관, 박물관, 도서관, 근대 공문서, 소장현황, 협력 과제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collection status, characteristics of their collections, and service of five institutions holding modern public records such as museums, archives and libraries in Korea. Investigation found out that most of them lack total catalog of their collections and provide limited on-line service. In addition, there was a case that one record group from the same provenance is separatedly preserved at two to three institution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t is suggested that cooperation among museum, archives, and research institutes will be necessary in order to arrange and use modern public records scattered in each institution.

keywords
archives, museum, libraries, modern public records, collection status, cooperation issue, archives, museum, libraries, modern public records, collection status, cooperation issue, 기록관, 박물관, 도서관, 근대 공문서, 소장현황, 협력 과제

참고문헌

1.

강영철. (2003). 國史編纂委員會의 史料 수집과 硏究 編纂. 사학연구, 70(70), 19-32.

2.

곽건홍. (2005). 조선총독부 기록의 관리와 이용:진리탐구.

3.

국립중앙박물관. 광복이전 박물관 자료 목록집.

4.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5.

국사편찬위원회. 일제강점기 사회․사상운동자료 해제.

6.

박용만. 장서각 자료의 특성과 연구과제.

7.

서혜란. (2005). 기록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도서관과 기록관의 협력.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6(2), 25-41.

8.

안태영. (2003). (175-184).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성균관대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9.

이두영, 윤대진. (2003). 통합정보검색시스템의 인터페이스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0(3), 177-198.

10.

이상찬. (2002). 규장각 자료의 정보화 방향. 규장각, 25, 253-269.

11.

정병욱. 국편소장 경성지방법원 자료 소개.

12.

정부기록보존소. 정부기록문서색인목록집.

13.

정재훈. (2003). 규장각 소장 왕실자료의 정리 현황. 규장각, 26, 1-21.

1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소장 왕실도서 해제 1~2(일제시기)".

15.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http://www.archives.go.kr.

16.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17.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홈페이지. http://e-kyujanggak.snu.ac.kr.

18.

한국학중앙연구원 홈페이지 한국학자료원문검색. http://yoksa.aks.ac.kr.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