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메뉴

권호 목록

주의력 결핍-과잉 활동 장애에 대한 약물 치료와 부모 훈련을 통한 행동 치료의 효과
오경자(연세대 심리학과) ; 홍강의(서울의대 정신과) ; 고려원(연세대 심리학과) ; 박난숙(연세대 심리학과) pp.1-14
초록보기
초록

주의력 결핍-과잉 운동 장애(ADHD)에 대한 중추 신경 흥분제를 통한 약물 치료의 효과와 부모 훈련을 통한 행동 치료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주의 산만한 증상을 보이는 국민학교 남아 30명을 모집하여 각 15명씩 6주간의 약물 치료와 8주간의 부모 훈련을 통한 행동 치료를 실시하고 가정과 학교에서의 행동 변화를 부모와 교사의 평가를 통하여 비교하였고 연속 수행 검사(CPT)를 통하여 지속적인 주의 집중력의 호전 여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교사와 부모의 행동 평가에서는 약물 치료 집단과 부모 훈련 집단 모두에서 전반적인 증상의 감소가 있었고 교사가 평가한 학습 태도에서도 두 집단이 모두 호전되었는데 비하여, CPT를 통해 평가된 주의 집중력에서는 약물 치료 집단에서만 치료의 효과가 뚜렷하게 보였다. ADHD치료에서의 약물 치료의 역할과 함께 부모 훈련의 임상적 유용성이 논의되었고 두 가지 치료방안을 병행함으로서 치료의 효과를 높일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treatment effect of pharmacotherapy with methylphenidate and behavioral parent training. 30 elementary school boys with attention difficulties were recruited with the cooperation of their school teachers to participate in 6-week pharmacotherapy or 8-week behavioral parent training program. Each of the 30 boys (15 for each of the two treatment groups) who met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study was assessed prior to and following the respective treatment using parent and teacher rating scales for behavioral symptoms, Continuous Performance Test (CPT) for their attention abi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pharmacotherapy and behavioral parent training were effective in reducing behavioral symptoms of hyperactivity and teacher rated academic performance, but only pharmaco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CPT measured attention. The role of pharmacotherapy and clinical utility of behavioral parent training were discussed and it was suggested that the two treatments be used together as part of multimodal intervention program to optimize therapeutic impact.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의 퇴원후 관리 치료를 위한 가족심리교육훈련의 효과
손명자(계명대학교 심리학과) pp.15-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저자가 개발한 가족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것이 환자의 치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가족교육훈련은 5회기의 가족교육과 9회기의 추수지도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14명)과 통제집단(15명)에 대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이원변량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환자의 재입원율, 환자의 증상 중 일부, 즉 SCL-90-R에서의 강박증, 전체심도지수, 표출증상심도지수, BPRS에서의 적개심, 과대감, 개념적 비조직화, 비협력성M 정서적 철수, 위생소홀, 기괴한 행동, 고양된 기분, 주의산만, 그리고 생활기능 중 일부, 즉 개인위생관리에서 유의한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가족의 심리적 고통을 경감시켜 주는 경향이 시사되었다. 따라서 저자가 개발한 가족교육훈련 프로그램은 환자의 치료에 부분적으로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e psychoeducation training program was delivered to families of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and examined its effectiveness on treatment of patients. Fourteen experimental familie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consisted of 5 sessions of education and 9 sessions of aftercare treatment in addition to traditional care, while as a control group, 15 families receiving traditional care only.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lapse rate was reduced among schizophrenic patients receiving family education program, as well as a part of symptoms and a particular living skill improved. There is a trend suggesting that families' psychological, emotional burden was reduced. And so this psychoeducation program is considered to be useful in treatment of schizophrenic patients.

폭식 행동 집단의 신체 불만족과 자아존중감 및 우울간의 관계
안소연(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오경자(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29-40
초록보기
초록

폭식 행동 집단과 정상 집단의 신체 크기 지각 및 신체 불만족과 자아존중감 및 우울을 측정하고, 신체 불만족이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및 서울 근교 대학의 여대생 934명을 대상으로 신경성 폭식증 검사, 신체상 검사, 자아존중감 척도, Beck의 우울증 척도, 다차원적 섭식 태도 검사가 포함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정상 체중 범위에 속한 응답자들이 신경성 폭식증 검사 점수를 기준으로 폭식 행동 집단과 정상 섭식 행동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연구 결과, 폭식 행동 집단은 정상 섭식 행동 집단에 비해 현재 자신의 신체를 과대지각했고, 더욱 마른 체형을 선호했으며, 따라서 신체 불만족 수준이 더 높았다. 또한, 폭식 행동 집단은 정상 섭식 행동 집단보다 더 우울했다. 신체 불만족이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 설명력이 유의하지 않았으며, 집단간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폭식 행동 집단의 신체 불만족의 특성과 신체 불만족과 자아존중감 및 우울간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1) to measure body-dissatisfaction and 2)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ody dissatisfaction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the binge eater group / normal control group. 934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dministered Bulimia Test(BULIT), the revised Shilouette Body Image Test(SBIT), Rosenberg Self-Esteem Scale(RSE),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Multidimensional Eating Disorder Inventory(EDI). Binge eaters chose significantly larger current body sizes and thinner ideal body sizes than those picked by normal controls regardless of actual body size. Consequently, they exhibited a high degree of body dissatisfaction than their counterparts. Binge eaters were also found to be more depressed. But the effect of body dissatisfaction on self-esteem and on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and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binge eaters and normal control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nature of body dissatisfaction and relations of body dissatisfaction with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binge eaters.

어머니의 우울과 아동의 부적응간의 관계 - 모-자 상호행동 관찰 연구 -
문경주(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오경자(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41-5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울한 어머니의 모-자 상호작용을 관찰하고, 어머니의 우울, 모-자 상호작용의 질, 아동의 지능 및 사회 인지 능력이 아동의 부적응 및 행동문제와 관련되는 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우울증 척도(BDI) 점수 16점 이상의 우울집단과 비교집단을 선정한 후, 어머니와 아동에 대한 평가 및 모-자 상호행동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모-자 상호행동은 일방거울이 설치된 놀이방에서 자유놀이단계 10분, 과제수행단계 20분 동안을 녹화한 후, Mash, Terdal과 Anderson(1973)의 반응유목 행렬표(Response Class Matrix)를 이용하여 평정하였고, 아동의 지능은 아동용 개인 지능검(KEDI-WISC)로, 아동의 사회 인지 능력은 대안적 해결 기술에 대한 평가(PIPS)와 다음에 무슨 일이 일어날까(WHNG)로, 아동의 행동 문제는 어머니와 교사에 의한 아동행동 조사표(CBCL)로 평정하였다. 그 결과 모-자 상호행동의 관찰에서 우울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자유놀이단계에서 아동에 대한 반응을 더 적게 하였으며, 과제수행 단계에서 칭찬 및 보상과 같은 긍정적인 반응을 더 적게 하였다. 아동의 부적응과 관련된 변인들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가 평정한 아동의 행동문제 정도는 단지 어머니의 우울과만 관련되었고, 교사가 평정한 아동의 행동문제 정도는 모-자 상호행동의 질 및 아동의 지능과 관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우울이 아동의 부적응에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아동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와 관련되어 있으며, 역기능적인 모-자 상호행동을 통해 아동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 1) if the quality of mother-child interaction of depressed mothers (n=13) and mondepressed mothers(n=13) differ and 2) if maternal depression, quality of mother-child interaction, children's IQ scores and social-cognitive capacity were related to preschool-age children's maladjustment and behavior problems. Depressed group and nondepressed group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Beck Depression Index(BDI). BDI score of Depressed group was 16 or above. Then mother and child were evaluated seperately and mother-child interaction patterns were observed. The mother-child interaction patterns in the playroom were videotaped through one-way mirror for 10 minute free play and 20 minute task performance period, and the videotaped interactions were rated according to the Response Class Matrix developed by Mash, Terdal & Anderson(1973). Children's IQs were assessed by KEDI-WISC, and their social-cognitive capacity were evaluated by Preschool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Test(PIPS) and What Happens Next Game(WH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were rated by their mother and teacher using Child Behavior Check List(CBCL). The results indicated that depressed mothers responded less toward their children during the free paly period compared with controls. During the task performance period, depressed mothers exhibited less positive behavior than controls. In the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children's behavior problems, maternal depression was associated with mother's CBCL rating, while quality of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s IQ were associated with teacher's CBCL rating. The results suggested that maternal depression was not directly related to children's behavior problems ; but rather to mothers' negative perceptions of their children, and contributed to the children's maladjustment through dysfunctional mother-child interactions.

반응성 애착장애아, 전반적 발달장애아, 언어장애아의 놀이수준 및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능력에 관한 비교 연구
이경숙(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김수연(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신의진(연세대학교 의과대학) ; 김태련(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pp.57-7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의 놀이발달 및 상호작용 유능성을 전반적 발달장애, 언어 장애 아동 집단과 비교해 보고, 유도놀이 상황을 통해 연구자가 놀이의 촉진자로서 모델링과 함께 적극적으로 놀이에 참여하였을 경우, 보다 발달된 수준의 놀이행동이 가능한 가를 알아보며,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과 유아-놀이촉진자의 상호작용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유 놀이에서의 놀이수준은 언어 장애〉반응성 애착장애〉전반적 발달장애 순으로 나타나서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들의 놀이수준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들만큼 지체되지 않았으나 언어장애 아동처럼 정상수준에 가깝지도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놀이의 촉진자가 개입된 유도놀이 과정에서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들은 자유놀이와 같은 수준의 놀이를 보인 반면 반응성 애착장애와 언어 장애 아동들은 놀이수준이 증가되었다. 3. 유아-어머니간의 상호작용은 언어 장애〉전반적 발달장애〉반응성 애착장애로 반응성 애착장애와 전반적 발달장애는 둘다 심각한 사회성 장애를 공유하지만 양육자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들이 더 문제시되며 이들은 양육자에게 상호작용의 시도를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4.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들은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보다 놀이촉진자와의 상호작용 관계에서 더 잘 반응하고 상호작용을 시도하였으며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들은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이 더 잘 이루어졌고 언어 장애 아동들은 어머니와 놀이촉진자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play development levels and interactional competence in children with Reactive Attachment,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and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Also, this study compared play levels in the free play situation with it in the elicited play situation and interactional competence in child-mother dyad with it in child-play facilitator dyad in the three groups.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in total 34, age range from 26 to 57 months. Free play, elicited play, and child-mother play situation were videotaped and the data was rated by two rators independently. Rating for play development level was based on simbolic play development levels proposed by Nicolich(1988) and one level, sensorimotor stage, was added. Rating for interactional competence was based on social interaction part in Early Social-Communication Scale developed by Seibert & Hogan(1982). The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one-way ANOVA, &#x03C7;<sup>2</sup> test, and Sign test. The result from this research read as follow : 1. Play development level in the free play situation was lined up DLD>RAD>PDD and children with RAD showed autosymbolic level which was explained by McCune-Nicolich(1988). 2. Play development levels in children with RAD and DLD were facilitated by play facilitator, however, children with PDD demonstrated the same play level in two different play situations. 3. Interactional competence in child-mother dyad was DLD〉PDD〉RAD. As we expected children with RAD showed the poorest child-mother interaction. 4. Children with RAD responsed to and initiated interaction with play facilitator more, compared with their mother. Reversely children with PDD responsed to and initiated interaction with their mother more, compared with the play facilitator. 5. For social matuarity, children with DLD were the most mature and children with PDD were the most immature in the three groups. There was ver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in scores for CARS. Though the score for CARS in children with RAD was in between children's with PDD and with DLD, the score was close to the criteria for assessing autism.

대인불안의 측정에 대한 연구
김남재(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pp.73-8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인불안 측정도구의 필요성을 생각하여, Leary(1983)의 대인관계 불안 척도(IAS)를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문항-총점간 상관은 만족할만한 수준이었으며, &#x03B1; 계수도 높게 나와서 높은 내적 합치도를 보여 주었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원 연구에 비해서 다소 낮은 편이었다. 척도의 타당도를 검토하기 위해서 다른 척도와의 관계를 알아 본 결과, IAS는 STAI-특질 척도, BDI, 그리고 SCL-90-R의 대인민감성 증상차원과 유의하게 상관되었다. 예언한 바와 같이, IAS는 이 세 척도 중에서 SCL-90-R의 대인민감성 차원과 가장 높게 상관되었다. 앞으로 대학생 집단뿐 아니라 일반인 집단에까지 표집의 범위를 넓혀서 IAS의 타당도를 알아 보는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하겠으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번안한 IAS를 대인불안의 측정도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n attempt has been made to develop a self-reported scale to measure the dispositional social anxiety. This study translated Leary's(1983) Interaction Anxiousness Scale(IAS) in Korean and explor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version IAS.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psychometically approvable. The IA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TAI-Trait scale, BDI, and the Interpersonal Sensitivity(I-S) symptom dimension of SCL-90-R. As predicted, the IAS was more highly correlated with I-S of SCL-90-R than STAI-Trait or BDI.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Korean-version IAS can be used to measure the interaction anxiousness in college students.

편집성 척도(Paranoia Scale)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이훈진(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원호택(서울대학교 심리학과) pp.83-9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편집증적 경향을 측정하는 편집성 척도(Paranoia scale)를 제작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것이다. 척도는 20개의 MMPI 문항들로 구성되었으며, 자기보고 질문지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대학생 447명과 정신과 환자 42명에게 새로 제작된 편집성 척도를 실시하였고, 대학생 187명과 환자집단에게는 MMPI-Pa척도, SCL-90-R-Par척도를 함께 실시하였다. 그 결과, 충분한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되었는데. &#x03B1;계수, 검사-재검사 신뢰도, 문항-총점간 상관, 문항간 상관, 편집성 척도와 MMPI-Pa, SCL-90-R-Par와의 상관, 환자집단에 대한 변별력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요인분석 결과는 단일 요인을 시사하였다. 검사의 유용성과 본 연구의 제한점,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aranoia scale, which was developed for measuring paranoid tendency. It was composed of 20 self-report items from MMPI. The Paranoia scale was administered to 447 college students and 42 psychiatric patients. Among them 187 college students and psychiatric pati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MMPI-Pa scale and the SCL-90-R-PAR scale as well as the Paranoia scal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ranoia scale has sufficient reliability and validity. Item-total correlations, &#x03B1;-coefficients, test-retest reliability, inter-item correlations, and all correlations between the paranoid measures were respectably high and significant. And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suggested single factor. The usefulness of the scal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한국판 공황장애 척도 개발 연구
원호택(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박현순(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권석만(서울대학교 심리학과) pp.95-1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판 공황장애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불안민감성 검사(Anxiety Sensitivity Inventory, ASI)와 두 척도가 한 벌로 쓰이는 광장공포 인지 질문지(Agoraphobic Cognition Questionnaire, ACQ) 및 신체감각 질문지 (Body Sensation Questionnaire, BSQ)를 우리말로 번역하여 정신과 외래환자 92명, 일반 정상인 60명, 그리고 대학생 209명에게 실시하여 심리측정적인 성질을 평가하였다. 한국판 불안민감성 검사(K-ASI) 및 한국판 광장공포 인지 질문지(K-ACQ)와 신체감각 질문지(K-BSQ)는 높은 공존타당도와 내적인 일관성 및 시간적 안정성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K-ASI와 K-BSQ는 임상 환자집단간에 충분한 변별타당도를 얻지 못했다. K-ASI, K-ACQ와 K-BSQ는 모두 단일요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각 척도의 요인은 '신체감각에 대한 공포'(K-ASI), '통제력 상실에 대한 공포'(K-ACQ), 그리고 '신체감각 이상에 대한 공포'(K-BSQ) 요인이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development and initi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nxiety Sensitivity Inventory (K-ASI) and the Agoraphobic Cognition Questionnaire and Body Sensation Questionnaire(K-ACQ & K-BSQ), a companion masure, were described in this study. The ASI and the ACQ and BSQ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administered to 92 psychiatric outpatients, 60 normal controls, and 209 college students to evaluate their psychometric propert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K-ASI, K-ACQ and K-BSQ have high concurrent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and temporal stability. But in the K-ASI and K-BSQ, the discriminant validities between clinical patient groups were insufficient. The K-ASI, K-ACQ and K-BSQ were found to have single factor structure. The factor was named "fear of body sensation" in K-ASI, "fear of loss of control" in K-ACQ, and "fear of abnormal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body sensation" in K-BSQ. Finally,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y are discussed.

K-WAIS 단축형의 타당도 연구
이용승(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김중술(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 교실) pp.111-11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김중술, 이용승 및 이민식(1994)이 제시한 K-WAIS의 몇가지 소검사를 통한 추정 IQ가 정신과 환자 집단에도 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K-WAIS의 11가지 소검사 중에서 두가지 소검사(어휘문제, 토막짜기)의 환산점수의 합을 구하거나, 네가지 소검사(어휘문제, 산수문제, 토막짜기, 차례맞추기)의 환산 점수의 합을 구하여 전체 IQ를 추정하게 되는데, 본 연구에 포함된 정신과 환자 집단의 경우, 각각의 추정치는 FSIQ와 .92, .97의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두번째로 두가지 소검사를 통한 추정 IQ는 FSIQ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반면에, 네가지 소검사를 통한 추정 IQ는 FSIQ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세번째로 WAIS-R 단축형 연구들에서와 유사하게, 각 추정 IQ를 7개의 지능 하위 범주(최우수, 우수, 평균상, 평균, 평균하, 경계선, 정신지체)로 나누어 FSIQ의 범주화와 비교했을 때, 두가지 소검사를 통한 추정치는 58%, 네가지 소검사를 통한 추정치는 72%의 일치율을 보였다. 이는 두가지 혹은 네가지 소검사의 추정치를 사용하여 하위 범주로 분류하거나, 정확한 IQ 수치를 산출할 때에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두가지 혹은 네가지 소검사를 통해 전체 IQ를 매우 신뢰롭게 추정할 수 있지만, 정확한 IQ가 요구될 때에는 단축형을 통한 추정 IQ를 신중하게 사용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validity of the two- and four-subset short forms of the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was investigated using a sample of 72 psychiatric patients. Both short forms correlated highly with the Full Scale IQ(.92 and .97). However, pairwise t-tests computed between FSIQ and each short form indicated that a two-subtest short form yielded a significantly higher IQ, whereas a four-subtest short form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e FSIQ. Finally, the rate of agreement with the Full Scale IQ, in terms of Wechsler's seven-category classification, was relatively low(58% and 72%) for each short form. It is concluded that the two- and four-subtest short forms should be used with caution in situations where a precise IQ measurement is required.

신판 MMPI 한국형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문화 중심적 접근의 가능성 -
안창일(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이만영(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박병관(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117-1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MMPI 한국형 척도를 구성하여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정신과에 입원한 환자 728명(남 368명, 여 360명)과 소년원에 수감 중인 비행 청소년 183명, 그리고 정상인 656명이었다. 이들에게 실시한 MMPI자료를 이용하여 문항 분석을 실시하였다. 재검사 신뢰도를 구하기 위해 168명(남 77, 여 91)의 정상인 자료를 사용하였고 요인 분석을 위해 정상인 4,295명(남 2187명, 여 2108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한국형 척도 구성에 있어 기존의 척도 중에서 F척도 (38개)와 Sc(30개), Hy(26개)척도에서 가장 많은 문항을 수정하였다. 그 다음으로 D, Pd, Mf-f, Pa, Pt, Ma척도에서는 14개(D)에서 10개(Pa)의 문항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어 수정하였다. 그러나 L, K, Hs, Mf-m, Si척도에서는 10개 미만의 문항만을 수정하였다. 한국형 척도의 내적 일치도와 재검사 신뢰도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NMf척도는 재검사 신뢰도 및 내적 일치도면에서 계속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이는 원래의 MMPI문항 구성에서 동성애자들을 대상으로 척도를 구성하였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동성애에 대한 문제가 그리 심각하지 않는 것을 감안할 때 이 척도는 문화적 영향을 특히 많이 받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요인 분석 결과, 한국형 척도는 세 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요인은 정신 병리, 내-외향성, 방어와 불안으로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성별이나 연령별 집단에 따라 비록 순서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았으나 일관되게 묶였다. 이전의 연구 결과와는 달리 기존 MMPI척도를 이용한 판별 분석 결과에서도 진단정확율이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형 척도의 경우 진단정확율은 대부분의 환자 집단에서 기존 척도에 비해 양호한 수준의 증가를 보였다. 특히 조증 집단은 진단정확율이 7% 정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적 변인을 고려한 한국형 척도가 구성 타당도나 진단 변별력에서 기존의 척도에 비해 우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Korean scales of MMPI and to analyz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subject were 690 psychiatric inpatients, 183 juvenile delinquents from confinement services, and 656 normal adults. MMPI was administered to all of the subjects and item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data obtained from the subjects. Test-retest reliability was calculated from 168 normal data and factor analysis was done on the data obtained from 4,295 normal data. In constructing Korean version MMPI, quite a number of items contained in the scales of NF(38 items), NSc(30 items), NHy(26 items) need to be corrected. 14(D) to 10(Pa) items were found to be inappropriate in ND, NPd, NMf-f, NPa, NPt, NMa Scales while less than 10 items were identified to be corrected in NL, NK, NHs, NMf-m, NSi Scales,.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MMPI were proved to be acceptable. However, for the NMf Scale the reliability was very low. It is speculated that the items of Mf scale of the original MMPI were constructed with data obtained from homosexual patients. Since the homosexuality is not considered as serious mental problem in Korean culture, NMf scale needs a further attention in cultural aspects. Korean version of MMPI was classified into 3 factors which could be named as psychopathology, depression/introversion, defensiveness-anxiety. Even though these factors were not fully consistent in their sequential order, they exist consistently across sex and age. The results of discriminant analysis on the existing MMPI revealed relatively high predictive power for diagnostic classification, while the Korean version of MMPI is much higher than the former in most patient groups. The predictive power of diagnostic classification was elevated approximately 7% for manic patient group. In particular th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scales of MMPI considering cultural variables is superior to existing MMPI in construct validity as well as external validity.

MMPI 정상 K+ 프로파일 예비 연구 - 정신과 폐쇄병동 입원환자의 특성기술 -
박중규(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김중술(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pp.137-147
초록보기
초록

MMPI 정상 K+ 프로파일을 보이는 입원환자들의 제반 특성을 밝히기 위한 기초작업을 시행하였다. 93년 1월에서 94년 8월까지 서울 소재의 한 3차 진료기관 폐쇄병동에 입원한 후 종합적 심리평가가 시행되었던 77명 중에서 MMPI 정상 K+ 프로파일을 보였던 17명에 대한 기술자료를 제시하고, 이를 선행 연구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이들은 적절한 현실검증 및 판단력의 빈약, 병식결여, 관계사고, 주의집중곤란, 일상적응의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감정상태는 부적절감, 불안정감, 성마름, 충동성을 흔히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피해의식과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는 경우도 많았다. 17명 중 남자는 10명, 여자는 7명이었는데, 남자는 정신분열증 진단이, 여자는 양극성 기분장애 진단이 다소 많은 경향을 보였고, 이와 관련하여 주증상도 차이를 나타냈다. Gynther등(1968)의 주장과 일치하여 본 연구결과도 임상장면에 따라서 MMPI 정상 K+ 프로파일집단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을 보였으며, 우리나라 환자군의 특성을 보다 정확히 기술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고 전향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 study of symptomatic and characteristic aspects of 17 psychiatric inpatients showing MMPI normal K+ profile was done and the results were suggested in comparison with the findings of other previous studies. There was significantly high propotion of symptom rate on impairment of reality-testing, judgement problems, idea of reference, concentration difficulty, and impairment of social/occupational adjustment in MMPI normal K+ profile group. In general they were emotionally inappropriate, unstable, irritable and impulsive. Schizophrenia in men and bipolar disorder in women were the most frequent diagnoses, and their symptom manifestations were differed somewhat according to diagnosis. In consistent with Gynther et. al.(1968)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MPI normal K + profile group were different in each clinical setting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벤더-게스탈트 검사에 대한 한국 아동의 발달적 규준 및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예비 연구
김민경(강남 성모 병원) ; 신민섭(서울의대 정신과) pp.149-16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아동의 BGT 발달 규준을 확립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서, 5세에서 10세 연령 범위에 있는 177명의 정상 아동들을 대상으로 Koppitz의 아동용 BGT 채점 체계에 입각하여 각 연령별 BGT 평균 오류점수를 알아보았다. 또한 각 연령 집단별로 전체 오류점수의 평균치에 2표준편차를 가산한 점수를 뇌손상 진단을 위한 잠정적인 분할점으로 간주하여, 이러한 분할점에 입각해서 정상 아동과 뇌손상 아동들이 유의미하게 변별될 수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정상 아동들의 경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 오류점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는데, 5세에서 6세 사이에는 전체 오류점수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9세 이후에는 전체 오류점수의 평균이 1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oppitz(1964)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 6세 이전의 아동들은 BGT에서 여러 가지 오류를 보일 수 있으나, 9세 이상이 되면 정상 아동들은 별 어려움없이 BGT를 수행할 수 있음을 시사해주며, BGT가 시각-운동 협응 능력의 성숙을 평가하는 검사로서의 타당성이 있음을 입증해주는 결과이다. 다음으로 정상 아동과, 주의력결핍 과잉활동 장애, 그리고 뇌손상 아동 집단을 대상으로 BGT 전체 오류점수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정상 집단에 비해 뇌손상, 주의력결핍 과잉활동 장애 집단순으로 유의미하게 많은 오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상 아동과 뇌손상 아동을 대상으로 7세에서는 BGT 점수 5점을, 그리고 8세에서는 4점을 분할점으로 사용하여 두 집단을 분류한 결과, 전체 분류 적중율이 각각 95%와 94%로 매우 높은 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들의 뇌손상을 진단하는 도구로서의 BGT 검사의 타당도를 입증해주는 결과이다. 그러나 9세 아동의 경우에는 3점을 분할점으로 사용하였을 때, 분류 적중률이 77.8%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으며, 이는 9세 이상의 아동들의 뇌손상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BGT 규준이 보다 엄격해야할 필요성과 BGT외에 다른 신경 심리 검사를 병행해서 사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stablish the Korean developmental norms of BGT using the Koppitz scoring system for children in 177 normal children with age from 5 to 10(boy 88, girl 89), and examine the clinical utility of BGT as a tool for detecting brain damage in clinical group(27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ed, and 27 brain damaged) between the age of 7 and 9. To this end, BGT was administered to all subjects, and their total errors were scored by the Koppitz scoring system for children. To determine the cut-off score for detecting brain damage,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otal error scores for normal group were used to calculate the cut-off scores for each age group, respectively. In normal group the means of total error scores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age, and that was less than l at age of 9.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rmal children older than 9 perform very well on BGT without any error, which support the validity of BGT in assessing the maturity of visual-motor coordination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normal, th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ed, and the brain damaged groups on the means of total error scores. The cut-off score of 5 classified 90% of the normals and 100% of the brain damaged correctly at age 7(percentage of overall correct classification=95%), and the cut-off score of 4 classified 100% of the normals and 85.7% of the brain damaged correctly at age 8(percentage of overall correct classification= 94%). These results put together support the validity of BGT as a tool for diagnosing brain damage. But when the cut-off score of 3 was used at age 9, the percentage of overall correct classification was decreased to 77.8%, suggesting that in order to detecting brain damage in older children, the norms of BGT must be strict and other neuropsychological tests as well as BGT be administered.

정신분열병 환자에 있어서 WCST 수행상에서 나타난 인지 장애의 교정 가능성에 관한 일 연구
김진우(용인정신병원) ; 한양순(용인정신병원) pp.161-1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DSM-III-R 준거에 의해 정신분열병으로 진단을 받고 현재 부분적으로 관해되어 재활치료중인 정신분열병환자 60명을 대상으로 WCST 수행상에서 나타난 인지장애의 교정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집중적인 분류 훈련을 한 조건, 강화를 준 조건, WCST의 색, 모양, 숫자 등의 각 차원에 대해 언어적 표현을 하게 한 조건, 정보나 강화를 주지 않은 통제조건으로 나누어서 이들 각 조건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WCST 과제 수행에서 나타난 수행손상이 교정되는지와 그 효과가 단기적으로는 5분 후에 장기적으로는 일주일 후까지 지속되는 지를 알아보았다. 단기적인 측면에서는 완성된 범주수의 제 2단계에서 표현집단의 수행이 통제집단보다 높았고 보속 오류에서는 제 2단계에서 훈련집단과 표현집단의 수행이 통제집단보다 높았으며 제 3단계에서는 훈련, 표현, 강화집단의 수행이 통제집단보다 높았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볼 때 완성된 범주와 보속 오류 모두에서 훈련집단과 표현집단의 수행이 통제집단보다 높았지만 강화집단은 통제집단과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정신분열병의 인지장애를 교정함에 있어서 동기유발 조건보다는 표현과 훈련같은 인지적 훈련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부분적으로 관해된 환자를 선발하였다는 점과 WCST에서 나타난 효과를 다른 과제로 일반화하는 것을 다루지 못했다는 점, 그리고 인지효과를 보다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about the influence of intensive training, reinforcement and verbal expression on WCST performance of the 60' Schizophrenic patients. Subjects were diagnosed by psychiatrist and psychologist based on DSM-III-R criteria. All conditions including intensive training, reinforcement and verbal expressions increased number of category and reduced perseverative errors immediately and these training effects were maintained after a week. But intensive training and verbal expressions are more effctive than reinforcement in long-term perspective. The results indicate that deficit in performance on the WCST are improvable by intensive training and verbal expressions.

쓰기성취검사 개발의 예비 연구
윤희령(연세대학교) ; 한종철(연세대학교) pp.177-19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위계적이고 다면적인 쓰기능력에 대한 성취검사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 예비연구로서, 쓰기성취검사를 제작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그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쓰기성취검사는 쓰기의 발달이론적 진단모형에 근거하여 글씨 검사, 맞춤법 검사, 및 작문 검사의 세 소검사로 구성되었다. 각 소검사의 모든 검사문항은 국민학교 교사의 자문을 받아서 선발되었으며, 글씨검사 및 맞춤법 검사는 국민학교 2, 4, 6학년 아동 264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 단계를 거쳐 본검사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쓰기성취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2, 4, 6 학년 국민학생 256명에게 검사를 실시하였다. 신뢰도 검증에서, 쓰기성취검사의 세 가지 소검사의 내적합치도(Cronbach's &#x03B1;)는 양호하였으며, 글씨 검사의 평정자간 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의 상관계수는 모두 중위상관 이상을 나타내었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검사수행과 교사평정 및 관련준거검사, 학년, 국어성적과의 상관을 보고, 성변인 및 가정환경변인에 따른 수행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모든 준거 및 구인과의 상관이 유의미하였고, 성변인에 따른 집단간 수행의 차이가 유의미하였고, 가정환경변인에 따른 집단간 수행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 결과들은 제작된 쓰기성취검사가 쓰기능력에 대한 하나의 신뢰롭고 타당한 검사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추후연구를 통해 세련화와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지면 본 검사는 쓰기장애를 포함하여 쓰기문제를 가진 아동들을 위한 봉사전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riting achievement battery and to evaluate its applicability. The study was divided in two phases. The primary focus of Study 1 was the development of the Writing Achievement Battery consisting of three subtests : Handwriting, Spelling, and Composition. The items of the three subtests were selected through consultation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preliminary Handwriting and Spelling subtests were administered to 264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2nd, 4th, and 6th grade. Through this procedure the response method of the Handwriting subtest was determined and the items of the spelling subtest were selected through item-analysis. Study 2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Writing Achievement Battery constructed in Study 1. The battery was administered to 256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WAB, Cronbach's &#x03B1; coefficient, the consistency between evaluators in the Handwriting subtest, and the test-retest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alculated. The consistency of the H : .83, S : .87, C : .90, suggested an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ubtest. The .45 to .98 consistency between evaluators indicated that consistency was above average. The test-retest coefficients .47 to .65, .89, .57 to .80, for H, S, C, respectively indicated that the Spelling subtest was generally stable and the other two subtests were less stable. For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scores from the WAB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teachers evaluations of the Handwriting Subtest and the Composition Subtest, the BGT, the Spelling Recognition subtest of the Basic Learning Functioning Battery, and the students' grade in the subject of Korean.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three subtests of the WAB and the criteria and constructs. The group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SES(Socio-Economic Status) were also analyzed.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across gender and there were no group differences in SES. This evidence supported the validity of the WAB.

MMPI 프로파일 유형들에 따른 자아방어기제의 특성
전현민(이화여대 심리학과) ; 박영숙(이화여대 의과대학) pp.191-19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아방어기제 특성을 MMPI의 군집분석 결과로 나타난 프로파일 유형들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먼저 MMPI 하위척도들에 대한 군집분석을 해 본 결과 1) 정상 프로파일 집단 I (MMPI 하위척도들의 T점수가 47이하에 속함) 2)정상 프로파일 집단 II(T점수가 48-55 사이임) 3) 신경증적 프로파일 집단 4) 정신증적 프로파일 집단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이러한 각 집단들이 다른 집단들과 비교해 어떠한 방어기제들을 의미있게 더 많이 사용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번째, 정상 프로파일 집단 I은 신경증적 프로파일 집단에 비해 왜곡, 승화, 유우머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합리화 방어기제는 정상 프로파일 집단II나 신경증적 프로파일 집단에 비해 정상 프로파일 집단 I에서 더 많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정상 프로파일 집단 I은 신경증적 프로파일 집단이나 정신증적 프로파일 집단보다 예견이란 자아방어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두번째, 정상 프로파일집단 II는 신경증적 프로파일 집단보다 유우머를 더 많이 사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세번째, 신경증적 프로파일 집단은 정상 프로파일 집단 I에 비해 투사, 해리, 행동화를 더 많이 사용하고, 정상 프로파일 집단 II에 비해서는 수동의 방어를 더 많이 사용하고 정상 프로파일 집단 I과 정상 프로파일 집단 II 둘 다 보다 신체화나 회피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네번째 정신증적 프로파일 집단은 나머지 세 집단들보다 전치, 해리를 더 많이 사용하고, 두 정상 프로파일 집단들과 비교해서 수동 공격적, 투사, 신체화, 행동화, 퇴행과 같은 방어들을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정상 프로파일 집단 I에 비해서는 회피를, 정상 프로파일 집단 II에 비해서는 허세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반동형성이나 동일시와 같은 방어는 전체 평균값이 높으면서 각 집단간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이는 청년기에 해당되는 대학생들이 분류된 집단 특성과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이와 같은 방어기제를 주로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MMPI profile types by cluster analysis and defense mechanisms in University students. By the cluster analysis of MMPI subscales, 1) Normal Group I(T score ≤ 47) 2) Normal Group II(48 ≤ T score ≤ 55) 3) Neurotic Group 4) Psychotic Group were extracte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using defense mechanis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Normal group I and II used more humor, sublimation, rationalization, anticipation than neurotic and psychotic group. Neurotic group used more projection, passive-aggressive behavior, dissociation, somatization than two normal groups. Psychotic group used more displacement, dissociation than the other three groups. Psychotic group used more passive-aggressive behavior, projection, somatization, acting out, regression than normal groups. In summary, while normal groups used mature defense mechanisms, neurotic and psychotic groups used immature mechanisms.

심리유형과 심리특성에 관한 일 연구 - MMPI, 16PF 에 나타난 특성을 중심으로 -
박경(서울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 김명식(광운대학교 학생상담실) pp.201-2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 115명을 대상으로 MBTI에 의한 심리유형과 MMPI, 16PF 척도에 나타난 심리특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융의 심리유형과 정신병리와의 관계에 대한 이론을 입증해보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먼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개관하였으며, 사용된 자료분석방법은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분산분석(MBTI의 각 지표와 심리유형별로)등이었다. 연구결과 MMPI보다는 16PF상에서 더 뚜렷한 연구결과를 보여주었다. MBTI의 외향성선호(I)는 MMPI의 Pd척도와, 감정형선호(E)는 MMPI의 Hy척도와 매우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외향적 감각형(ES)은 16PF A, E, F, N, EXT, TOU척도에서, 외향적 직관형(EN)은 16PF의 C, F, H, IND척도였고, 외향적 사고형(ET)은 16PF의 A, C, E, F, H, N, Q1, EXT, TOU, IND척도에서, 외향적 감정형(EF)은 16PF의 F, H, EXT척도에서, 내향적 감각형(IS)은 MMPI의 Si, 16PF의 O, ANX척도에서, 내향적 직관형(IN)은 16PF의 I, M, Q2, CRE척도였고, 내향적 사고형(IT)은 MMPI의 Si, 16PF의 G, SUP척도에서, 내향적 감정형(IF)은 MMPI의 F, D, Si, 16PF의 I, ANX척도에서 다른 집단들에서 보다 유의미하게 점수가 높았다. 연구결과 융의 심리유형과 정신병리와의 관계가 상당히 지지되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비교적 적은 수의 정상인 대학생들(n=115)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통계분석시 여러 제한점이 있었으며, 연구결과를 임상집단까지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intented to testify Jung's theory of the relation of psychological types and psychological pathology, by studying the relation of psychological types of MBTI and scales of MMPI, 16PF in 115 university students. Above all, it examined the former articles on the related subjects, and the used statistical methods were simpl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ova. The scores of scales of 16PF were mo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cores of preferences of MBTI than the scales of MMPI. The scores of E preference of MBTI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Pd scale of MMPI, and the scores of F preference were to Hy. The scores of Extroverted Sensing Type(ES) were significantly more high in A, E, F, N, EXT, TOU scales of 16PF than other groups. Extrovertesd Intuition Type(EN) in C, F, H, IND of 16PF, Extroverted Thinking Type(ET) A, C, E, F, H, N, Q1, EXT, TOU, IND in 16PF, Extroverted Feeling Type(EF) in F, H, EXT of 16PF, Inroverted Sensing Type(IS) Si of MMPI, O, ANX of 16PF, Introverted Intuition Type(IN) I, M, Q2, CRE of 16PF, Introverted Thinking Type(IT) Si of MMPI, G, SUP of 16PF, Introverted Feeling Type(IF) F, D, Si of MMPI, I, ANX of 16PF. So Jung's theories of psychological types and the pathology were somewhat supported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e number of subjects(n=115) so few for statistical process, and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patients because the most subjects were normal university students.

벤튼 신경심리검사의 임상적 활용 - 질적 분석을 중심으로 -
김은경(인제 의대 서울백병원 신경정신과) ; 박병관(인제 의대 서울백병원 신경정신과) ; 정영조(인제 의대 서울백병원 신경정신과) ; 신동균(고려대 의대 정신과) ; 배형섭(경희대 한방병원 내과) ; 고병희(경희대 한방병원 사상의학과) pp.219-2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벤튼 신경심리검사(BNA) 수행의 질적 분석을 통한 진단변별력 향상을 목표로 하여 실시되었다. 피험자는 두뇌손상환자 73명과 대조군 122명(정상인 91명, 정신과환자 31명), 사병환자 47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추가 적용한 질적 변인들을 사용하였을 때 전체 진단정확률은 88.75%로 나타났다. 이는 Benton의 분류방식에 의한 진단판별률과 비교할 때 7.5%가 증가된 것이어서 본 연구에서 시도하였던 질적 접근의 우수성을 입증해 주는 결과로 생각되었다. 아울러 좌, 우반구 손상환자를 대조군과 사병집단으로 부터 판별해 주는 판별함수에 포함된 변인들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ursue the improvement for discriminant power of Benton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BNA) by taking advantages of qualitative analysis of BNA performances. Subjects were 73 patients with unilateral brain injury, 122 controls(91 normal adults and 31 psychiatric patients) and 47 malingerers. With some qualitative variables applied in this study, the percent of grouped cases correctly classified was 88.75%. This figure was 7.5% higher than diagnostic hit ratio by using Benton's suggestion. This results verified the superiority of the qualitative approach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discriminant variables involved in discriminant functions, which discriminate patients with left or right hemisphere lesions from controls and malingerers, were also examin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were discussed.

분노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기노출이 생리적 각성, 정서 및 인지적 이해에 미치는 효과
김교헌(충남대학교 심리학과) pp.237-252
초록보기
초록

깊은 수준의 자기노출을 하는 것이 분노가 유발되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생리적 각성과 정서 및 인지적 이해에 순기능적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런 효과가 분노 억제 경향성의 개인차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를 연구했다. 평소 분노 억제 경향이 높거나 낮은 남자대학생 64명에게, 친밀하거나 피상적인 수준의 자기노출을 하게 했다. 스트레스 사건에 관해 깊은 수준의 자기노출을 한 사람들은 피상적으로 노출한 사람들에 비해, 생리적 각성과 부적 정서 경험이 낮고 자기와 상호작용 상대를 덜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아울러, 이러한 깊은 수준의 자기노출 효과가 분노 억제 경향성이 높은 사람들에게서 보다 현저한 매개 효과도 일부 발견했다. 연구의 결과를 Pennebaker(1989)의 직면-억제모형과 관련시켜 논의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depth of a person's self-disclosure on his physiological arousal, emotional catharsis, and cognitive understanding, under the anger-arousing stressful situation. Also, it was investigated if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depth of self-disclosure and anger-in tendency. Subjects of this experiment were 64 male college students, who had either a high or a low level of anger-in tendency.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in the intimate self-disclosure condition had a lower level of negative emotion, and had more positive self-understanding than those in the superficial self-disclosure condition. Also, these effects were found to be more salient in subjects with a high level of anger-in tendency. Implications of the present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confrontation-inhibition model(Pennebaker, 1989).

사상 관련 전위(Event-Related Potentials: ERPs)의 임상적 활용
김명선(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253-263
초록보기
초록

본 문헌조사에서는 인지작용의 생리적 측정 방법 중의 하나인 사상관련 전위가 인지과정의 연구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 가를 P300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자극의 제시 확률과 자극의 정서가를 독립 변인으로 하여 이 변인들이 P300의 잠재시간과 진폭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 연구 결과들에 기초하여 P300의 기능이 현재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 가를 살펴보았으며, P300의 치매 및 정신분열증 등과 같은 인지장애의 임상적 선별검사로서의 현재 위치와 임상적 활용가치를 높이기 위한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Abstract

Thi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udies on the Event-Related Potentials(ERPs) which is one of the physiological measurements of the cognitive process. This review particularly focused on those studies which investigated the effect on the P300 amplitude and latency of the manipulation of the probability and emotional value of stimulus. Based on the results of those studies, it was attemptd to explain the functional significance of P300. In addition, the studies which examined the clinical utility of P300 as a screening test for dementia and schizophrenia were reviewed. The direction of future P300 study has been propose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