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권호 목록

다면적 인성검사 Ⅱ 재구성판(MMPI-2-RF)으로 살펴본 외상후스트레스장애군과 주요우울장애, 그리고 공병장애군의 임상 특성 비교
최지영(인제대학교부속상계백병원) ; 김근향(대구대학교) ; 박은희(한림대학교 성심병원) pp.1-20 https://doi.org/10.15842/kjcp.2016.35.1.001
초록보기
초록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주요우울장애가 높은 공병을 보이는 것과 관련하여 이 두 장애를 ‘불쾌감’(dysphoria)이라고 하는 공통된 구인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 혹은 명백히 구별되는 구인인지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본 연구는 다면적 인성검사 II 재구성판을 사용하여 PTSD와 MDD의 구별되는 임상 양상 및 PTSD 단독 진단 집단과 PTSD와 우울장애가 공병하는 집단의 구별되는 임상 양상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3개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하여 DSM-IV에 근거하여 진단 받은 공병없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군 61명, 공병없는 주요우울장애군 69명,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우울장애가 공병하는 군 6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MMPI-2-RF의 척도들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PTSD 집단 대 MDD 집단 및 PSTD 집단 대 PTSD와 우울장애의 공병 집단을 변별하는 척도들을 확인하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위차원 척도에서 정서적/내재화 문제(EID), 사고 문제(THD)가, 재구성 임상척도에서는 의기소침(RCd)이, 특정문제 척도에서는 신체적 불편감(MLS), 건강염려(HPC), 행동제약공포(BRF)가, 성격병리 5요인에서는 정신증(PSYC-r)과 부정적정서성(NEGE-r)이 PTSD와 MDD를 변별하는 유의한 척도였다. PTSD와 공병 집단을 변별하는 유의한 척도는 재구성임상척도에서는 의기소침(RCd)가 특정문제척도에서는 신경학적 증상호소(NUC), 자살/죽음 사고(SUI), 공격 성향(AGG)이, 성격병리5요인 척도에서는 통제결여(DISC-r)가 유의한 척도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 집단의 임상적 특성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stinctiveness among Pos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and co-occuring PTSD and Depressive disorder (DD) with MMPI-2-RF. Data of 190 patients (61 with PTSD, 69 with MDD, 60 with PTSD + DD) were collected from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of three university hospitals. Using Minnesota Multiple Personality Inventory-2-Restructured Form (MMPI-2-RF),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to determine which scale has utility in differentiating among the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of the Higher-Order (H-O) Scales, almost of the Restructured Clinical Scales, and a few of the Specific Problems Scales were observed among three groups.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Emotion/ Internalizing Dysfunction (EID) and Thought Dysfunction (THD) in H-O Scales were useful in differentiating between PTSD and MDD. Aggression (AGG) in Externalizing Scales and Disconstraint-Revised (DISC-r) in PSY-5 Scale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in distinguishing Comorbid group from PTS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distinct clinical characteristics among the three groups, although PTSD, MDD, and comorbid group share many symptoms.

한국판 시각-운동 통합 검사(VMI-6) 표준화연구: 신뢰도와 타당도를 중심으로
박도란(충북대학교) ; 황순택(충북대학교) ; 김지혜(성균관대학교) ; 홍상황(진주교육대학교) pp.21-44 https://doi.org/10.15842/kjcp.2016.35.1.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Beery VMI-6(The Beery-Buktenica Developmental Test of Visual-Motor Integration, Sixth edition)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의 일환으로 검사의 신뢰도, 타당도 및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2-90세 사이의 남녀 1,882명이 규준 표본에 포함되었으며, 구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지적장애 판정을 받은 144명을 추가로 모집하였다. 신뢰도 검증 결과 기우 반분 신뢰도, Cronbach’s α, 측정의 표준오차, 검사-재검사 신뢰도, 채점자간 일치도는 원판과 유사하거나 우수한 수준으로 나타나 본 검사의 신뢰도가 전반적으로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타당도 검증 결과 VMI-6는 BGT-Ⅱ와 높은 상관을 가졌으며,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 한국판 웩슬러 기초학습기능검사의 관련 소검사들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또한 VMI-6의 연령집단별 평균점수 변화는 시각-운동 통합 기능의 발달적 속성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세 하위검사(시각-운동 통합 검사, 시지각 보충검사, 운동협응 보충검사)는 서로 높은 상관을 보여 하위검사들이 서로 관련된 기능을 측정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상집단과 지적장애 집단에게 아동용 및 성인용 웩슬러 지능검사, 바인랜드 적응행동검사를 실시한 결과 지적장애 집단에서 VMI-6와 각 검사 간의 높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상집단과 지적장애 집단의 VMI-6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VMI-6의 준거타당도와 구인 타당도를 폭넓게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VMI-6가 한국인의 시각-운동 통합 능력을 평가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검사임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andardize the Korean version of the Beery-Buktenica Developmental Test of Visual-Motor Integration, Sixth edition (Beery VMI-6) and to examin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subjects comprised 1,882 Koreans ranging in age from 2 to 90 years. In addition, 144 children and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included for the construct validity study as a clinical sample. The VMI-6 demonstrated good to excellent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For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correlations with the BGT-II and the K-DTVP-2 ranged from low to reasonably high. Construct validity was supported b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K-WAIS-IV, the K-WISC-IV, the K-Vineland-II, and the K-WFA. Specifically, those tests and the VMI-6 subtests yielded high correlations within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s. In addition, scores from the clinical sample were significantly low, which provides important validity evidence for the VMI-6 as a screening tes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VMI-6 has adequate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estimating visual-motor integration ability.

한국 아동 기억기능의 성차
김홍근(대구대학교) ; 김용숙(대구한의대학교) pp.45-60 https://doi.org/10.15842/kjcp.2016.35.1.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아동에서 기억기능에 성차가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7-15세의 한국 남아 314명과 여아 243명에게 언어성 기억검사인 Rey Auditory Verbal Learning Test(RAVLT)와 시공간성 기억검사인 Rey Complex Figure Test(RCFT)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보면 RAVLT와 RCFT 모두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우세하였다. 총 9개의 기억기능 측정치(RAVLT 7개, RCFT 2개) 중 5개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유의하게 우세하였고, 나머지 4개 측정치에서도 하나만 제외하고 여아의 평균이 남아의 평균보다 높았다. 효과 크기(d)의 평균치는 RAVLT가 .17, RCFT가 .18로 작은 편이었다. 선행 연구들을 보면 언어성 기억 과제의 수행에서 여성이 우세함은 아동, 성인 및 노인 연구에서 모두 일관성 있게 나타났다. 반면에 시공간성 기억 과제에서의 성차는 연구에 따라 보다 다양하였다. 그러므로 여아가 남아보다 언어적 기억기능에서 우세한 결과는 일반화 가능성이 높지만, 시공간적 기억기능도 우세한지는 후속 연구가 더 필요하다. 기억기능의 성별 차이는 생물학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모두 반영할 수 있다. 그러나 기억기능의 성별 차이가 여러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되고 아동에서도 확인되는 점은 생물학적 요인이 보다 중요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possible sex differences in memory ability among Korean children. A Korean version of the Rey 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RAVLT) and Rey Complex Figure Test (RCFT) was administered to 314 Korean boys and 243 Korean girls between the ages of 7 and 15 years.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 girls performed better than Korean boys on both memory tests. Five out of 9 memory measures (7 RAVLT, 2 RCFT) indicated a significant sex difference favoring girls. Of the remaining 4 measures, 3 indicated a higher mean performance for girls compared to boys. Effect sizes for the sex differences were relatively small in magnitude and mean d was .17 for RAVLT and .18 for RCFT. Many previous studies involving children as well as adults and older adults have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in verbal memory performance favoring women over men. However, sex differences in visuospatial memory performance were less consistent across studies. Thus, it may be tentatively concluded that girls are superior to boys in verbal memory function.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raw a firm conclusion regarding sex differences in visuospatial memory function. Both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likely contribute to sex differences in memory ability. However, given that sex differences in memory favoring women are found across different cultures and appear at a relatively early age, biological factors may play more important roles than environmental ones.

한국판 Persecution and Deservedness Scale의 신뢰도와 타당도
고현석(공군사관학교) ; 김빛나(서울대학교) pp.61-79 https://doi.org/10.15842/kjcp.2016.35.1.004
초록보기
초록

편집증 내에 구분되는 하위유형 또는 상태적 양상이 존재한다는 다수의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이중에서 우울증과 유사한 요소를 함께 나타내는 처벌 편집증에서는 피해의식이 자신에게 마땅한 것으로 느끼는 점이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논의되어 왔으나, 적절한 측정 도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본 연구의 주 목적은 피해의식과 마땅함을 별도로 측정할 수 있도록 Melo 등(2009)에 의해 개발된 Persecution and Deservedness Scale(PaDS)를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90명의 대학생 집단에서 PaDS와 기존의 편집증 척도들, 그리고 관련 개념인 자존감, 자기개념, 자존감 안정성, 부정 정서를 측정하는 척도들을 실시하고, 한국판 PaDS의 신뢰도와 요인구조, 수렴 및 구성타당도를 살펴보았다. 한국판 PaDS는 적절한 신뢰도를 갖고 있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수정된 2요인 구조가 자료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나, 피해의식을 측정하는 P요인과 그 마땅함을 측정하는 D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한국판 PaDS는 기존의 편집증 척도들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각기 개념적으로 유사한 척도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상관을 보여, 수렴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아울러 한국판 PaDS는 이론적으로 예상되는 방식으로 자기 관련 변인 및 부적 정서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P요인과 D요인은 모두 부정적인 자기개념, 낮고 불안정한 자존감, 우울, 불안 및 분노와 관련이 있었다. 이와 같이 PaDS는 전반적으로 해당 개념을 타당하게 측정하는 도구로 여겨지나, 처벌 편집증과 관련될 것으로 간주된 D요인의 차별적 속성에 관해서는 기존의 이론적 예상에 부합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였으며,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한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기타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re has been considerable academic interest in research on different subtypes or static manifestations of paranoia, as exemplified by the suggestion of Trower and Chadwick(1995). Although the perceived deservedness of persecution has been regarded as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punishment paranoia, none of the existing scales included a measure of deservedness.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translate and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ersecution and Deservedness Scale(PaDS) originally developed by Melo, Corcoran, Shryane and Bentall(2009) in order to assess both the persecutory thinking and the perceived deservedness of persecution. In an undergraduate sample (N=290), the K-PaDS showed acceptable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modified two-factor model (Persecution(P) factor, Deservedness(D) factor) fitted the data best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addition, the K-PaDS demonstrated convergent validity with other measures of paranoid symptoms. Both P and D factor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ncurrent measures of self-concept, self-esteem and negative emotion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thereby proving preliminary construct validity of the K-PaDS. However, the D factor failed to demonstrate its unique relationship with “Bad Me” characteristics of punishment paranoia in terms of self-concept or depression. Lastly, other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한국판 시각-운동 통합 검사 6판(VMI-6)의 구인 타당도: 지적 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및 ADHD 아동을 대상으로
한혜련(충북대학교) ; 황순택(충북대학교) ; 김지혜(성균관대학교) ; 홍상황(진주교육대학교) pp.81-99 https://doi.org/10.15842/kjcp.2016.35.1.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판 시각-운동 통합 검사(VMI-6)의 구인타당도와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폐스펙트럼장애, 지적 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를 진단받은 만 6세에서 16세까지의 아동․청소년 91명과 일반아동 91명, 총 182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시각-운동 통합 검사(VMI-6)와 한국판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제 4판(K-WISC-IV)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 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ADHD 집단에서 VMI-6 시각-운동 통합 검사, 시지각 보충검사, 운동협응 보충검사와 K-WISC-IV의 10개의 주요 소검사들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VMI-6의 세 소검사는 K-WISC-IV의 전체 IQ(FSIQ), 지각추론지표, 작업기억지표, 토막짜기 소검사, 행렬 추리 소검사, 숫자 소검사와 강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VMI-6의 시각-운동 통합 검사, 시지각 보충검사, 운동협응 보충검사에서 정상 집단이 세 장애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여 VMI-6 수행에 따라 각 장애 집단과 정상 집단을 변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VMI-6는 이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개념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며, 선행 연구들에서 시사된 것처럼 지적 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ADHD 아동의 신경학적 결함을 변별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and clinical utility of the VMI-6. For this purpose, 91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DHD and 91 general children from 6 to 16 years-of-age were tested using VMI-6 and K-WISC-IV.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etween Visual-Motor Integration Test, Visual Perception Supplementary Test, Motor Coordination Supplementary Test of VMI-6 and 10 subtests of K-WISC-IV, the results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group of intellectual disability,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ADHD. In particular, three subtests of VMI-6 scores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Full Scale IQ, Perceptual Reasoning Index, Working Memory Index, Block Design, Matrix Reasoning, and Digit Span of K-WISC-IV. Second, each disorder group and general children were classified as per performance Visual-Motor Integration Test, Visual Perception Supplementary Test, and Motor Coordination Supplementary Test. These results showed that construct validity of VMI-6 is useful for examining constructs and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ADHD, VMI-6 was useful in classifying neurological deficits. Finally,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re discussed.

수용전념치료(ACT)가 사회불안장애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사회불안, 거절민감성 및 수용에 미치는 효과
김두현(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손정락(전북대학교) pp.101-119 https://doi.org/10.15842/kjcp.2016.35.1.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수용 전념 치료(ACT) 프로그램이 사회불안장애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사회불안, 거절민감성, 수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4년제 대학교의 400명 대학생들에게 사회적 회피 및 불안척도(SADS)를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대학생 16명을 참가자로 선정하여 치료집단에 8명, 통제집단에 8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수용 전념 치료(ACT)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8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모든 참가자들에게 사전, 사후 및 5주 추적 검사에서 사회적 회피 및 불안척도(SADS), 거절 민감성 질문지(RSQ), 수용행동질문지-Ⅱ(AAQ-Ⅱ)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사회불안, 거절민감성이 유의하게 더 감소되었고, 수용은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추적 조사까지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on social anxiety, rejection sensitivity, and acceptance of social anxiety disorder-prone college students. A total of 400 students of four-year colleges who lived in Chonbuk province completed the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SADS). The 16 participants who were selected by the scale were randomly assigned to 8 in the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group and 8 in the control group. The ACT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8 sessions.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SADS),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RSQ), and Acceptance Action Questionnaire-Ⅱ(AAQ) at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5-week follow-up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ocial anxiety, and rejection sensitivit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therapy group compare with the control group, while acceptan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effect of social anxiety, rejection sensitiv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were maintained up to follow-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역기능적 태도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조은진(Department of Psych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손정락(전북대학교) pp.121-138 https://doi.org/10.15842/kjcp.2016.35.1.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역기능적 태도,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4년제 대학교에 대학생 396명을 대상으로 취업 스트레스 척도, 역기능적 태도 척도, 우울 척도를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16명을 참가자로 선정하였다. 16명의 참가자를 인지행동 집단치료 집단에 8명, 통제 집단에 8명 무선할당하였다.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8회기가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조사를 실시하였고, 4주 후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취업 스트레스, 역기능적 태도 및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 수준은 추적 조사까지 유지되었다. 본 논문의 마지막에는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group therapy (CBT) on employment stress, dysfunctional attitude, and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Three hundred ninety six four-year-course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Job-seeking Stress Scale and Dysfunctional Attitude Scale-Korean Version(DAS-K). Sixteen patients were selected for those scales using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K-BDI) and randomly assigned to a CBT group and a waiting list control group (eight each). The CBT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eight sessions.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Job-seeking Stress Scale, Dysfunctional Attitude Scale-Korean Version (DAS-K),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K-BDI) at pre-test, post-test, and at 4 weeks follow-up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Job-seeking stress, dysfunctional attitude, and depression of the therapy group de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t pre-post, pre-follow up test. Las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외현화 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성격강점 활용 일기쓰기의 효과
하승수(한양사이버대학교) ; 권석만(서울대학교) pp.139-163 https://doi.org/10.15842/kjcp.2016.35.1.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성격강점과 기질의 관계에 주목하여 외현화 문제행동을 보이는 청소년 집단에게 성격강점을 활용한 긍정 임상심리학적 개입방법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자극추구 기질이 높고 외현화 부적응행동이 두드러진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극추구 합치강점과 자극추구 보완강점에 기반한 강점활용 일기쓰기 개입을 실시한 후 종속측정치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43명의 외현화 부적응 청소년으로부터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 외현화 부적응행동의 개선에는 자극추구 보완강점(겸손, 신중성, 자기조절)의 활용이 효과적이고, 주관적 행복의 증진에는 자극추구 합치강점(창의성, 호기심, 유머감각)의 활용이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청소년의 외현화 부적응행동에 대한 이해와 치료에 시사한 점을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고려사항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acy of the strengths-based intervention based on character strengths and temperament in the clinical population of adolescents with externalizing maladjustment behaviors. Changes of the dependent variables from the clinical population of adolescents were measured and compared at three different time points to examine the efficacy of the strength-based writing intervention using the corresponding strengths and the balancing strengths of Novelty Seeking (NS). The results of 43 clinical participants showed that the writing intervention using the strengths (creativity, curiosity, humor) corresponding to NS increased the subjective happiness scores and the writing intervention using the strengths (modesty, prudence, self-regulation) balancing NS decreased the externalizing problem scores. Based on the overall findings, the author discussed the implications on the understanding of adolescent externalizing maladjustment behaviors in theoretical and clinical manner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마음챙김 지시가 사회불안 성향이 있는 대학생들의 불안과 사후반추에 미치는 영향
이가영(Department of Psychology, Ajou University) ; 김은정(아주대학교) pp.165-193 https://doi.org/10.15842/kjcp.2016.35.1.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해 유도된 마음챙김 처치가 주의분산 처치 보다 사회불안 성향이 있는 대학생들의 불안과 사후반추를 더 감소시키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회불안 수준이 높은 54명의 대학생을 선발하여 마음챙김 처치조건, 주의분산 처치조건 및 무처치 조건 중 한 조건에 무선할당하였고, 불안을 유도하기 위해 1차 발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고 발표 전후의 불안 수준을 측정하였다. 해당 집단에 따라 실험적 처치를 시행한 후 2차 발표 과제가 부여되었으며, 발표 전후의 불안 수준을 측정하였다. 또한 발표한 시점으로부터 24시간 후에 사후반추사고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마음챙김 처치조건이 주의분산 처치조건과 무처치 조건보다 발표 전 예기불안 수준이 유의미하게 더 감소하였으며, 발표 후에는 마음챙김 처치조건이 무처치 조건보다 불안 수준이 더 감소하였으나 마음챙김 처치조건과 주의분산 처치조건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음날 측정한 사후반추에서는 마음챙김 처치조건이 다른 두 처치조건보다 유의미하게 더 낮은 사후반추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마음챙김 처치가 사회불안 성향이 있는 대학생들의 예기불안과 사후반추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하며, 사회불안 치료 개입에 대한 중요한 임상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indfulness on anxiety and post event-processing, as compared to distraction in socially anxious undergraduate students. Undergraduate students received the first speech task to induce anxiety,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different treatment conditions; mindfulness condition(n=18), distraction condition(n=18), and control condition(n=18). They completed measures of subjective anxiety response before and after speeches. After receiving brief training, they underwent the second speech task and post-event rumination was assessed over the 24 hours period. Results indicated that the mindfulness group showed a greater decrease in subjective anxiety response before the speech than the other two group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ubjective anxiety response after the speech between the mindfulness group and the distraction group. Next day, the mindfulness group reported less post-event rumination compared to the other two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ndfulness can be an effective way to reduce anticipatory anxiety and post-event rumination in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섭식억제자의 신경증 수준이 이상적으로 마른 신체이미지 노출에 따른 자기고양효과 및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지향(Department of Psychology, Chung-Ang University) ; 이장한(중앙대학교) pp.195-214 https://doi.org/10.15842/kjcp.2016.35.1.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섭식억제자의 신경증 수준이 이상적으로 마른 신체이미지에 노출된 후의 자기고양효과와 내/외현적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85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섭식억제 상태(억제, 비억제)와 신경증 수준(고, 저)에 따라 4개 집단으로 분류하여 이상적으로 마른 신체이미지에 노출되기 전후의 정서 및 신체불만족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음식 사진에 대한 자극-반응 일치성 과제를 실시한 후, 실제 초콜릿 섭취량을 통해 섭식행동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신경증 수준이 높은 섭식억제자는 이상적으로 마른 신체이미지를 본 후 다른 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정서가 더 크게 감소하였고, 신경증 수준이 낮은 섭식비억제자를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부정적인 정서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이상적으로 마른 신체이미지를 볼 때 신경증 수준이 높은 섭식억제자가 다른 집단보다 부정적인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a restrained eater’s neuroticism level in self-enhancement and eating behavior following exposure to thin-ideal images. Eighty-five femal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four groups based on their dietary restraint and neuroticism level. They completed self-reports on a visual analogue scale before and after exposure to thin-ideal images. Then, their approach-avoidance tendency toward food was measured using a stimulus-response compatibility task and chocolate consumption was measured to examine their eating behavior. Results indicated that after exposure to thin-ideal images, positive affect was more decreased in restrained eaters with high neuroticism compared to other groups and negative affect was increased in all groups except unrestrained eaters with low neuroticism. In addition, compared to other groups, unrestrained eaters with low neuroticism showed significantly lower avoidance tendency toward food,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roach tendency toward food between groups. Furthermore, individuals with high neuroticism consumed more chocolate than those with low neuroticis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strained eaters with high neuroticism are most likely to be disturbed by thin-ideal images and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level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병리적 자기애 성향자의 웅대성과 취약성에 따른 정서적 특성
양진원(Department of Psychiatry Asan Medical Center) ; 권석만(서울대학교) pp.215-242 https://doi.org/10.15842/kjcp.2016.35.1.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애의 웅대성과 취약성이라는 두 요인을 모두 측정하는 척도를 마련하고, 두 요인에 따른 정서적 특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Ⅰ에서는 병리적 자기애 척도(PNI)를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Ⅱ에서는 자기애자들의 웅대성과 취약성에 따른 정서적 특성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살펴보기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 327명을 대상으로 PNI의 웅대성 및 취약성과 정서적 특성들 간 상관 분석을 한 결과, 웅대성은 긍정정서와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우울, 부정정서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취약성은 우울, 부정정서와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긍정정서와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웅대성과 취약성 모두 특질분노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다음으로 자기애 성향이 높은 사람들 중 상대적으로 웅대성이 높은 집단과 취약성이 높은 집단을 분류하여, 정서적 특성이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웅대성 집단은 취약성 집단 보다 긍정정서의 점수가 높았고, 취약성 집단은 웅대성 집단보다 부정정서, 우울의 점수가 높았다. 두 집단 간 특질 분노의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애 성향자들이 지니는 웅대성과 취약성의 상대적인 수준 차이에 따라 정서적 특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seeks to empirically identify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narcissistic grandiosity and vulnerability using a measure that assesses a wide range of narcissism. In study I, Pathological Narcissism Inventory(PNI), which measures pathological narcissism,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was validated. Study II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narcissistic grandiosity and narcissistic vulnerability. Grandiosity subscal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affect, but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negative affect. On the other hand, vulnerability subscal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negative affect but nega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affect. Both narcissistic grandiosity and vulnerabilit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rait anger. For further analysis, narcissists were divided into grandiose group and vulnerable group based on their relative levels of PNI’s grandiosity score and vulnerability score. The grandiose group showed more positive affect than the vulnerable group. The vulnerable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depression and negative affect.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ait anger score was observed between the vulnerable group and the grandiose group. The finding of this research suggests that emotional characteristics vary according to two factors of narcissism.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후기 남자 청소년의 우울․불안 발달궤적과 사회적 지지
곽의현(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정경미(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김은성(연세대학교 스포츠레저학과) pp.243-264 https://doi.org/10.15842/kjcp.2016.35.1.0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후기 남자 청소년의 우울 불안 문제의 하위 발달 궤적을 확인하고, 발달 궤적을 예측하는 변인으로써 사회적 지지 변인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남자 고등학생 507명의 자료를 만 2년의 기간 동안 총 6회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남자 고등학생들의 우울․불안 수준은 청소년자기행동평가척도(YSR) 중 우울․불안 소척도를 사용하여 매 측정시기마다 반복측정 되었으며, 부모, 교사, 그리고 또래의 지지 수준이 최초 측정시기에 1회 수집되었다. 잠재성장곡선모형을 적용한 결과 남자 청소년의 우울․불안 문제의 변화는 2차 곡선모형이 적합하였으며 변화율의 평균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변화율에 있어서 개인차가 유의미하여 잠재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해 하위 발달궤적을 조사한 결과, 4가지 궤적이 확인되었다. 초기치와 변화율을 고려하여 각각 ‘낮음’, ‘중간-변화’, ‘중간’, ‘높음’ 궤적이라고 명명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 변인들이 서로 다른 궤적에 속할 확률을 예측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각의 궤적을 기준집단으로 하여 분석할 때, 부모의 지지와 또래의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불안 수준이 낮은 궤적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와 추후 연구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late adolescent males and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from parents, teachers, and peers on the trajectories. Participants included 507 10th grade Korean male high school students.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were measured using a sub-scal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Youth Self Report (K-YSR) every six months for 3years;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parents, teachers, and peers was measured once during baseline. The results of latent growth mixture modeling indicated that there are four latent trajectories of anxiety and depression: low(46.8%), moderate(33.1%), high(13.6%), and fluctuating(6.5%). The fluctuating group showed moderate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at the baseline but showed a subclinical level of the problems by the 3rd and the 4th measurement sessions, after which the levels gradually decreased. Social support from parents and peers predicted low, moderate, and high trajectories of the internalized problems; students with lower levels of support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higher risk trajectories. It was also found that the higher level of parent support in the fluctuating trajectory was the only factor that distinguished it from the high trajector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 support from both parents and peers could be useful in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internalized problems and that parent support may be a protective factor in high-risk late adolescent males.

청소년의 부모 애착이 인터넷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김서현(Yong-In Mental Hospital) ; 김정규(성신여자대학교) pp.265-281 https://doi.org/10.15842/kjcp.2016.35.1.0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부모 애착, 정서조절능력, 인터넷 중독의 관련성을 살피고, 부모 애착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 및 경기 소재의 중․고등학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422명을 대상으로 애착 척도, 인터넷 중독 척도, 정서조절능력 척도가 포함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 애착은 정서조절능력과 정적 상관을 가지는 반면 인터넷 중독과는 부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조절능력과 인터넷 중독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매개 효과 검증 결과, 정서조절능력이 부모애착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정서조절능력이 청소년의 부모 애착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서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예방과 치료적 개입에서 정서조절능력에 대한 평가와 개입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Inventory of parent attachment, internet addiction scale,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scale were administered to 500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in Seoul and Gyeonggi-do and data from 422 stud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parent attach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hereas parent attachmen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net addiction tendency.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net addiction tendency. Finding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fully mediates the relation of parent attachment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This study suggests that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relation of parent attachment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The results impl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evaluate and intervene i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ternet addiction.

Emotional Time Distortion in Individuals with Depressive Traits
최정원(Chung-Ang University) ; 이장한(중앙대학교) pp.283-297 https://doi.org/10.15842/kjcp.2016.35.1.014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duration according to depression levels and how arousal and valence would affect time perception.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a high-depressive group (n = 20) and a low-depressive group (n = 20), based on their depressive scores.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duration when the participants watched arousal-emotional pictures (positive-high arousal, positive-low arousal, negative-high arousal, and negative-low arousal). The results showed that overall, the high-depressive group perceived duration as slow compared to the low-depressive group. In addition, while experiencing negative emotions, the high-depressive group showed a slower distortion of time than the low-depressive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pplication of distorted time perception to clinically depressive groups may be helpful in escaping the vicious cycle of depression.

알코올 장애군의 자의식적 부정정서와 자살 행동의 관계
편용기(충북대학교) ; 유성은(충북대학교) ; 이승복(충북대학교) pp.299-307 https://doi.org/10.15842/kjcp.2016.35.1.0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장애군의 자살 행동과 자의식적 부정정서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수치심, 내부적대감과 같은 자의식적 부정정서가 알코올 장애군의 자살 행동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된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우울 심각도, 문제음주 심각도, 긍정정서 및 기타 부정정서들을 함께 통제한 후에도 이들의 자살 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알코올 전문 병원 입원 및 외래완자와 알코올 센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차별적 정서척도(DES-IV), 우울증 선별도구(PHQ-9), 문제음주 선별도구(AUDIT)와 자살 생각 및 자살 시도력을 묻는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전체 연구대상자를 자살 생각 및 시도력이 없는 준거 집단, 자살 생각 집단, 자살 시도 집단의 세 개의 상호배제적인 집단으로 구분하여 다항 로지스틱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알코올 장애군의 자살 생각은 우울증상 심각도가, 이들의 자살 시도는 문제음주 심각도와 자의식적 부정정서 중 내부적대감이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알코올 장애군의 자살 생각은 우울장애 공병과 높은 관련성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동시에 자기 자신을 향한 적대적인 자의식적 정서에 대한 임상적 개입이 이들의 자살 시도 위험을 감소시키는 데에 중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self-conscious negative emotions in suicidal behaviors among adults with alcohol disorder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residental alcohol treatment centers and hospitals. All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Differential Emotions Scale-IV (DES-IV),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and responded to the questions of lifetime history of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indicated that depressive symptom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fetime history of suicidal ideation while alcohol-related problem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fetime history of suicide attempt in a multivariate model including sociodemographic risk factors, psychiatric symptoms, and eleven distinct emotion factors. Among emotion factors, only ‘hostility-inwar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fetime history of suicidal attempt.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critical role of self-hate or hostile affect toward the self in suicide attempt in adults with alcohol disorder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