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Effects of Gender and Perpetrator age on the Perceptions of Child Sexual Abuse

Abstract

Child sexual abuse (CSA), under the age of 13, has increased over the past ten years, but research on the perceptions of perpetrators and victims have mainly focused on sexual violence against adults. Differentiating the age of the perpetrator into child, adolescent, and adult, the present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perpetrators and victims of child sexual abuse. The study also investigated differences by the gender of respondents, and examined the effects of Sexual Violence Myths (SVM) and Authoritarian Personality on perceptions of child sexual abuse. A total of 210 people in their 20s to 60s evaluated the degree to perpetrator blaming, perpetrator punishment, victim responsibility, and pain of the victim, and responded to the SVM scale and Authoritarian Personality scale. The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medi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perpetrator punishment by the age of the perpetrator was significant, indicating that respondents thought that adolescent perpetrators should be more severely punished than child perpetrators. Male respondents compared to female respondents were more likely to attribute the responsibility of sexual assault to the victim, to accept sexual violence myths and to be authoritarian. Sexual Violence Myths mediated the effects of the gender of respondents on the perception of victim responsibility, and Authoritarian Personality moderated these mediation effects. Final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아동 성폭력, 가해자 연령, 가해자 처벌, 피해자 책임, 성폭력 통념, 권위주의, child sexual abuse, perpetrator age, perpetrator punishment, victim responsibility, Sexual Violence Myths, Authoritarian Personality

Reference

1.

강현선, 김현주 (2016).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동성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권위주의 성격의 매개효과. 청소년문화포럼, (47), 7-29.

2.

고은숙, 이세정, 이호준 (2018). 청소년의 성범죄 실태와 그 심리. 법학연구, 18(1), 431- 451.

3.

고재홍, 지영단 (2002). 청소년의 음란물 접촉과 잘못된 강간통념 수용간의 매개변인과 조정변인의 역할. 청소년상담연구, 10(1), 87-105.

4.

권인숙, 이건정, 김선영 (2016).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피해통념의 2차 피해적 영향 연구. 젠더와 문화, 9(2), 49-84.

5.

김범준 (2007). 강간범죄에 대한 위험도 인식과 가치판단에 관한 연구: 남녀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3), 57-73.

6.

김보화, 추지현, 이미경 (2017). 성폭력 피해의 특성에 따른 피해자의 성폭력 통념 경험. 피해자학연구, 25(2), 89-121.

7.

김은하, 신윤정 (2016). 중․고등학교 교사의 권위주의 성향, 전통적 성역할 태도 및 정서적 공감이 동성애공포에 미치는 영향: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3(3), 431-453.

8.

김재엽, 최지현 (2009). 성폭력 경험이 청소년기 여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왜곡된 성통념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0(2), 231-247.

9.

김재은, 김지현 (2016). 성별에 따른 남성중심집단과 여성중심집단의 양가적 성차별주의와 강간통념의 관계. 상담학연구, 17(1), 187-205.

10.

김혜선, 박지선. (2018). 동물학대의 재범방지 및 처벌강화 인식에 대한 연구: 성별 및 폭력허용도를 중심으로. 교정연구, 28(3), 51-82.

11.

대검찰청 (2019). 2019 범죄분석. https://www.spo.go.kr/site/spo/crimeAnalysis.do#n에서 2020, 8, 7 자료 얻음.

12.

민경환 (1989). 권위주의 성격과 사회적 편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4(2), 146- 168.

13.

박지선, 김정희. (2011).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경찰의 인식이 가해자 처벌 판단에 미치는 영향. 피해자학연구, 19(2), 77-96.

14.

박지선, 박인선. (2011). 사람들이 생각하는 강간 범죄자의 표상: 실제 국내 강간 범죄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9), 362-371.

15.

서영석, 이정림, 차주환 (2006). 성역할태도, 종교성향, 권위주의 및 문화적 가치가 대학생의 동성애혐오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1), 177-199.

16.

서윤정, 박지선. (2013).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성범죄 사건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범죄학, 7(1), 33-59.

17.

성도경, 이지영 (2012). 아동성폭력범죄 예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6 (2), 239-267.

18.

손경숙 (2008). 아동성폭력의 피해자와 가해자에 대한 동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및 대책방안 연구. 인권복지연구, (4), 103-130.

19.

신학진 (2013). 중년의 권위주의적 성향과 외집단 접촉경험이 차별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9(4), 113-134.

20.

심진섭, 임성문 (2001). 청소년 성범죄자와 성인 성범죄자의 차별적 특징. 사회과학연구, 18(2), 147-163.

21.

오주령, 박지선. (2019). 성별 및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데이트 폭력에 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법, 10(1), 47-65.

22.

윤병해, 고재홍 (2006). 양가적 성차별 태도에 따른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비난 차이: 강간통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1), 1-19.

23.

이건호, 강혜자 (2005). 강간통념 수용도, 성역할 태도 및 음란물 접촉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1(3), 23-40.

24.

이명신 (2014). 성희롱(Sexual Harassment)의 재정의: 남녀대학생의 강간통념, 성희롱 인식, 성적 괴롭힘 행동을 중심으로 경험적 재구성. 젠더와 문화, 7(1), 43-97.

25.

이민식 (2012). 양형에 대한 연령과 범죄경력의 상호작용효과 검토: 살인범을 중심으로. 한국범죄학, 6(2), 213-234.

26.

이석재, 최상진 (2001). 강간통념수용도에 따른 성행동, 성폭력 및 성폭행사건 지각.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1), 97-116.

27.

이수인 (2005). 권위주의의 특성과 재생산과정의 성 차이: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9(3), 51-76.

28.

이지연, 이은설 (2005). 대학생의 데이트 성폭력 피해와 가해에 대한 설명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419- 436.

29.

임도경, 김창숙 (2011). 대학생들의 다문화 인식 및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거리감, 외국인 이미지, 한국인 인정조건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19(1), 5-34.

30.

장석헌, 김도우, 김미경 (2011). 성인성범죄자와 청소년성범죄자의 차별적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7(1), 133-154.

31.

정상원, 권구순 (2014). 권위주의적 성격이 미등록이주노동자에 대한 제도적 사회적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편견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교육, 27, 105-133.

32.

조성미 (2019, 12, 5). [SNS 세상] “터질게 터졌다”...맘카페 ‘아동간 성폭력’ 토로 잇달아.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91204160200505?input=1195m 에서 2020, 1, 29 자료 얻음.

33.

조영란, 홍해숙 (2014). 아동 성폭력 피해특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과학수사학회지, 8 (3), 189-196.

34.

조은경, 박지선. (2020). 강간과 폭행 사건에서 피해자 비난의 차이: 양가적 성차별의식과 대인 폭력 허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4 (1), 45-66.

35.

최인숙, 김정인 (2015). 성폭력 통념수용, 대인폭력수용 및 성역할-관련 태도가 공격적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3), 277-300.

36.

추지현, 권인숙 (2017). 가해자와의 관계가 피해자의 성폭력후유증에 미치는 영향-성폭력 통념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정복지연구, (48), 179-203.

37.

한정일, 김승언, 정주호 (2018). 아동․청소년 성범죄 예방정책에 관한 연구-아동청소년의 성폭력범죄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연구, 14(3), 157-172.

38.

홍영은, 박지선. (2018). 카메라등이용촬영죄에 대한 인식: 성별과 양가적 성차별주의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2(3), 1-18.

39.

홍지웅, 주해원, 현명호 (2016). 청소년의 권위주의 성격과 친애동기가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효과: 암묵적 연합검사를 활용하여. 청소년학연구, 23(9), 233-254.

40.

황인정 (2007). 범죄 피해자와 범죄 판단자의 성별이 양형판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2), 107-121.

41.

Ayala, E. E., Kotary, B., & Hetz, M. (2018). Blame attributions of victims and perpetrators: Effects of victim gender, perpetrator gender, and relationship.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33(1), 94-116.

42.

Back, S., & Lips, H. M. (1998). Child sexual abuse: Victim age, victim gender, and observer gender as factors contributing to attributions of responsibility. Child Abuse & Neglect, 22(12), 1239-1252.

43.

Bieneck, S., & Krahé, B. (2011). Blaming the victim and exonerating the perpetrator in cases of rape and robbery: Is there a double standard?.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6(9), 1785-1797.

44.

Burt, M. R. (1980). Cultural myths and supports for rap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8(2), 217-230.

45.

Cohn, E. S., Dupuis, E. C., & Brown, T. M. (2009). In the eye of the beholder: Do behavior and character affect victim and perpetrator responsibility for acquaintance rap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9(7), 1513-1535.

46.

Deitz, S. R., Littman, M., & Bentley, B. J. (1984).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for rape: The influence of observer empathy, victim resistance, and victim attractiveness. Sex Roles, 10(3-4), 261-280.

47.

Doherty, K., & Anderson, I. (1998). Talking about rape. The Psychologist, 11(12), 583-586.

48.

Duncan, L. E., Peterson, B. E., & Winter, D. G. (1997). Authoritarianism and gender roles: Toward a psychological analysis of hegemonic relationship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3(1), 41-49.

49.

Krahé, B. (1988). Victim and observer characteristics as determinants of responsibility attributions to victims of rap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8(1), 50-58.

50.

Lonsway, K. A., & Fitzgerald, L. F. (1994). Rape myths: In review.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18(2), 133-164.

51.

Loughnan, S., Pina, A., Vasquez, E. A., & Puvia, E. (2013). Sexual objectification increases rape victim blame and decreases perceived suffering.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7(4), 455-461.

52.

Peterson, Z. D., & Muehlenhard, C. L. (2004). Was it rape? The function of women’s Rape Myth Acceptance and definitions of sex in labeling their own experiences. Sex Roles, 51(3-4), 129-144.

53.

Pettalia, J., Pozzulo, J. D., & Reed, J. (2017). The influence of sex on mock jurors’ verdicts across type of child abuse cases. Child Abuse & Neglect, 69, 1-9.

54.

Pozzulo, J. D., Dempsey, J., Maeder, E., & Allen, L. (2010). The effects of victim gender, defendant gender, and defendant age on juror decision making. Criminal Justice and Behavior, 37(1), 47-63.

55.

Reynolds, K. J., Turner, J. C., Haslam, S. A., & Ryan, M. K. (2001). The role of personality and group factors in explaining prejudice.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7(5), 427-434.

56.

Strömwall, L. A., Alfredsson, H., & Landström, S. (2013). Rape victim and perpetrator blame and the Just World hypothesis: The influence of victim gender and age. Journal of Sexual Aggression, 19(2), 207-217.

57.

Strömwall, L. A., Landström, S., & Alfredsson, H. (2014). Perpetrator characteristics and blame attributions in a stranger rape situation. The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Applied to Legal Context, 6(2), 63-67.

58.

Walker, W. D., Rowe, R. C., & Quinsey, V. L. (1993). Authoritarianism and sexual agg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5), 1036-1045.

59.

Zakrisson, I. (2005). Construction of a short version of the Right-Wing Authoritarianism (RWA)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9(5), 863-872.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