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거짓말은 손가락도 멈추게 한다

Keyboard dynamics of deceptive eyewitness narratives

초록

범죄자들의 거짓말, 예를 들어 허위진술을 변별하는 문제는 범죄 수사에서 중요한 과업 중 하나이다. 거짓말은 거짓 현실을 생성하고, 거짓이 탄로되지 않도록 감시하는 등 인지부담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거짓말의 인지 부담이 증가한다는 것은 뇌파, fMRI와 같은 신경학적 기법 외에도, 2014년 이후부터 키보드 스트로크(키보드 입력 패턴) 분석법을 통해서도 확인되고 있다. 키보드 스트로크를 이용한 거짓말탐지는 검사의 제약이 적고, 진술 내용의 질적분석도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국내에서는 시도되지 않은 방법이다.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거짓말을 할 때 어떤 키보드 스트로크 지표가 변화하는지 조사하였다. 온라인 실험에 참여한 참가자(N=38)들을 대상으로 일기 작성 과제를 기록된 키보드 스트로크와, 범행 후 뒷처리를 암시하는 동영상 내용을 회상하는 동안 기록된 키보드 스트로크를 비교했다. 목격집단(n=22)은 목격한 내용을 솔직하게 작성해달라는 안내문을, 거짓집단(n=16)에는 가해자의 범행이 없었던 것처럼 내용을 꾸며서 작성해달라는 안내문을 제공했다. 분석 결과, 목격집단은 기저선과 자유회상 과제에서 키보드 스트로크 지표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거짓집단은 초당 키입력 횟수, 첫 입력 시간, 정지시간에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됐다. 구체적으로, 거짓말을 해야하는 자유회상 과제에서 초당 키입력 횟수와 첫 입력 시간이 느려지고, 정지 시간은 길어졌다. 이 결과는 허위 진술을 작성할 때 인지부담의 증가로 키보드 입력 행동이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키보드 스트로크가 효과적인 거짓말탐지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거짓말탐지, 키보드 스트로크, 인지 부담, lie detection, keyboard stroke, cognitive load

Abstract

Discriminating the lie of suspect is one of the important tasks in criminal investigations. Lie are known to induce cognitive loads due to additional cognitive task such as creating a false reality ord monitoring their statements. The increase of the cognitive load during lying has been observed in studies using neurophysiological measures (e.g., EEG and fMRI), but also observed in keyboard strokes (keyboard input patterns) during writing their statement. Lie detection using keyboard strokes has the advantage of having fewer test restrictions and enabling qualitative analysis of statements, but it is a method that has not been attempted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keyboard stroke measures were changed during lying in Korean population. Participants (N=38) typed their diary (baseline) and contents of the video they watched (free recall task). The witness group (n=22) provided a instruction to honestly write what they witnessed, and the lie group (n=16) provided a instruction to write the content as if the suspect had never committed a crime. When comparing the keystroke measures of baseline and free recall, any significant change was not observed in the witness group whereas number of keystrokes per second, the first input time, and the average pause time were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lie group. Specifically, the number of keystrokes per second and the first input time slowed down, and the pause time increased during lying. This result shows that keyboard type behaviors were affected with the increase of cognitive burden when writing deceptive statements, suggesting that keyboard stroke could be an effective indexes for detecting lying.

keywords
거짓말탐지, 키보드 스트로크, 인지 부담, lie detection, keyboard stroke, cognitive loa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