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논문 상세

자기기입식 면담과 오정보가 목격자의 회상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Administered Interview and Misinformation on the Accuracy of Eyewitness Memor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기기입식 면담(Self-Administered Interview)과 오정보가 목격자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총 115명의 참가자가 3(초기 기억회상: 자기기입식 면담, 자유보고, 통제) x 2(오정보: 있음, 없음) 참가자 간 설계 실험에 무선할당됐고, 모의범죄 영상을 시청한 후 조건에 따라 초기 기억회상을 수행했다. 일주일 후 사후 정보를 제공한 뒤 실험참가자들 의 회상 정확도를 측정했다. 연구결과, 자기기입식 면담을 통한 초기 기억회상은 다른 조건 들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회상 정확도를 나타냈다. 하지만 오정보가 제시됐을 때 자기기 입식 면담과 다른 조건 간 회상 정확도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추가 분석에서는 오정 보가 제시되지 않았을 때, 자기기입식 면담은 다른 기억회상 조건들보다 통계적으로 더 많 은 정확 정보와 기억회상량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자기기입식 면담이 초동수사에서 목격 자 진술 확보와 기억 보존에 효과적인 도구임을 시사하며, 제한적 수사환경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면담도구임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자기기입식 면담, 오정보 효과, 목격자 기억, 초기 기억회상, Self-Administered Interview, misinformation effect, eyewitness memory, initial memory recal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lf-Administered Interview (SAI) and misinformation on eyewitness memory. A total of 115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3 (initial memory recall: SAI, free recall, control) × 2 (misinformation: present, absent) between-subjects experimental design. After watching a mock crime video, participants performed initial memory recall according to their assigned condition. One week later, post-event information was provided, and their recall accuracy was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initial memory recall through SAI led to significantly higher recall accuracy than the other conditions. However, when misinformation was presented, the difference in recall accuracy between the SAI and other condit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urther analysis revealed that, in the absence of misinformation, the SAI condition resulted in significantly greater accurate information recall and total recall quantity compared to other recall condi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SAI is an effective tool for securing eyewitness statements and preserving memory in early investigations, demonstrating its utility even in limited investigative environm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자기기입식 면담, 오정보 효과, 목격자 기억, 초기 기억회상, Self-Administered Interview, misinformation effect, eyewitness memory, initial memory recall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