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아동의 출처감찰 수행에 대한 고찰 Ⅱ: 출처 특성, 출처 판단, 개인차 변인을 중심으로
이승진(서울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pp.1-18 https://doi.org/10.53302/kjfp.2013.3.4.1.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paper is aimed to offer a comprehensive overview of research on children’s source monitoring (SM), exploring significant factors known to impact children’s SM focused on the context of children’s testimony. The discussion was mainly presented the results of applied and experimental studies of children’s SM. The ultimate goal of this review is to build a beneficial synthesis of currently available and relevant information concerning children’s SM process and ability, thereby producing a reliable and concise interpretation that classifies important areas for potential future research of children’s testimony. Various factors may influence children’s SM; however, this overview was concentrated on, in particular, cr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urces, the source judgment processes, and the individual differences within the context of children’s testimony. The experimental research and implied conclusions criticized herein proposed a groundwork and theoretical perspective for potential state-of-the-art empirical studies in this research field. It is hopeful that these imperative and extensive knowledge can be incorporated into practical legal settings in children’s lives and well-being.

인질협상 전술에 대한 탐색적 연구: 경찰과 일반인의 비교
박주식(서울남부대안교육센터) ; 김범준(경기대학교) pp.19-34 https://doi.org/10.53302/kjfp.2013.3.4.1.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일선 경찰들이 가진 인질 협상 전략을 탐색해보고 일반인의 그것과 비교하여 경찰들의 인질 협상 전략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찰과 일반인 참가자들에게 인질 협상 시나리오를 읽게 한 후 구체적인 협상전략에 대해 중요성과 사용용이성을 7점 척도 상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경찰들과 일반인들 사이에 몇 가지 항목들에서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경찰들은 경찰의 기능적인 역할, 예를 들어 ‘사건 현장을 미리 차단한다’, ‘협상 상황을 잘 기록한다’ 등의 항목들에서 일반인들에 비해 더 높은 사용용이성과 중요성을 평가하였다. 하지만 ‘인질범에게 사소한 물품을 제공할 때 아무런 보상 없이 제공한다’, ‘인질범의 요구보다 더 많이 제공한다’와 같은 유의 사항들에서는 일반인에 비해 더 낮은 사용용이성과 중요성을 나타내었다. 덧붙여 그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사소한 실수를 통해 인질범의 행태를 살피는 항목에 대해서도 경찰관들이 더 높은 사용용이성과 중요성을 평가하였다.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항목들에서 경찰관들은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앞서 이야기한 몇 가지 부분들에 대해서는 적절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hostage negotiation strategy of first-line police and to compare the result with the publ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c information about hostage negotiation strategy of the police. The police and public participants read the hostage negotiation scenario and then estimated the overall response strategies, the basic negotiation strategies and specific strategies for hostage negotiations on the 7-point scal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olice set a high values on the area of functional role such as blocking the scene, registering the negotiating situation, and so on compared with the general person. However, polices showed less accessibility and importance than general public about the items to be careful(ex, when hostage takers want to trivial items, polices can provide those without any rewards). In addition, the item that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hostage situation was estimated higher accessibility and importance by the police than general public. Generally, the police have enough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hostage negotiation strategy although education on some items should be provided.

형사과 근무 경찰관들의 외상사건에 대한 실태 연구
이경화(인천대안교육센터) ; 이수정(경기대학교) pp.35-46 https://doi.org/10.53302/kjfp.2013.3.4.1.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경찰관들 중 외상사건의 접촉 빈도가 높은 형사과에 근무하는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하는 외상의 유형과 충격정도를 살펴보고 외상스트레스에 대한 조직적 차원에서의 관리 방안과 심리적 지원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지방경찰청 형사과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직무 상 경험하는 외상직무 리스트 및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배포하여 최종 18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경찰관들은 일차외상에서부터 이차외상 경험 등 다양한 형태의 외상에 노출되고 있고 외상의 충격정도에 대해 12.2%가 강한 충격을 경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찰관들의 외상 스트레스 관리에 대해 조직적 차원에서의 개입이 요구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of traumatic events and degree of the impact of traumatic events experienced by police officer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in order to assess the traumatic event experienc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80 police officers in detective divisions in the provincial police agency and police stations in Korea. The results reveled that police officers were exposed to various traumatic events,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primary and secondary traumatic events. In addition, 12.2% of 180 police officers strongly impacted by traumatic events. Therefore, the integration of stress management and critical incident management programs by Korean police organization should be implemented to ensure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police officer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