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권호 목록

소비자들은 항상 독특한 색상명의 제품을 구매할까?: 통제 결핍과 지각된 불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은아(중앙대학교) ; 최지은(강원대학교) pp.139-154 https://doi.org/10.21074/kjlcap.2021.22.2.139
초록보기
초록

최근 독특한 색상명을 지닌 제품들이 소비자의 주목을 끌고 있다. 그러나 실무에서 색상명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대두됨에도 불구하고 색상명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매우 제한적인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불일치 이론을 근거로 하여 색상명이 기존 소비자의 스키마에 일치하는 경우와 불일치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소비자 반응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소비자의 통제 결핍 경험에 주목하여 통제 결핍 경험을 한 소비자는 독특한 색상명보다는 평범한 색상명을 더 선호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통제 결핍 상황에서 높은 불안을 지각하는 소비자들은 자신의 스키마와 일치성이 높은 색상명, 즉 명확성이 높은 선택안에 해당하는 평범한 색상명의 제품을 더 선호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러한 주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대학생 1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가설을 검증한 결과 본 연구의 가설은 지지되었다. 즉, 통제 결핍 상황에서 지각된 불안감이 높을수록 소비자가 기존에 가지고 있는 스키마와 일치성이 높은 색상명의 제품을 선호하였으며, 통제 결핍 상황일지라도 불안감을 낮게 지각하는 소비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존의 연구 영역을 확장하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Abstract

Recently, products with unusual color names have attracted consumers’ attention. However,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and importance of color names in practice, academic research on color names is very limited. Based on the theory of congruity theory,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color name on consumer responses when the color name would not match the existing consumer’s schema.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consumer experience of control deprivation and aims to reveal that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d lack of control may prefer plain color names to unique ones. Specifically, it is predicted that consumers who feel high level of anxiety in the event of a lack of control would prefer products with a more consistent color name with their schema, that is, a more plain color names.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supported after surveying 177 college students. These findings have expanded existing research areas and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의인화가 인공지능의 윤리적 책임 평가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자유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정용(고려대학교) ; 성용준(고려대학교) pp.155-177 https://doi.org/10.21074/kjlcap.2021.22.2.15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무생물인 인공지능에게 사람들이 윤리적 책임을 기대하는 심리적 기제를 밝혀, 인간-인공지능 상호작용에서 인공지능 윤리의 중요성을 제안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구체적으로 의인화에 의해 야기된 지각된 인공지능 자유의지 수준이 높아질수록 사람들이 지각하는 인공지능의 윤리적 책임이 크기가 커질 것이라는 가설을 설문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20~50대 남녀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의인화가 인공지능의 윤리적 책임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영향은 의인화에 의해 야기된 지각된 인공지능 자유의지에 의해서 완전 매개되었다. 또한, 인간과 인공지능 비교를 통해, 지각된 자유의지가 윤리적 책임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인간과 인공지능에게 모두 같은 방향으로 적용된다는 것이 검증되었고, 사람들이 인간에 비해 인공지능의 자유의지를 낮게 지각하고, 윤리적 책임 역시 낮게 지각하는 이유가 인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의인화 수준 때문이라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사람들이 무생물인 인공지능에게 윤리적 책임을 기대하는 심리적 기제가 지각된 인공지능 자유의지임을 밝혀 인간-인공지능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는 이론적 함의와 윤리적 인공지능 디자인의 필요성을 제안했다는 실무적 함의를 함께 담고 있다.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examin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that lead individuals to expect ethical responsi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Specifically, this research tested the hypothesis that the positive effect of anthropomorphism on the AI’s ethical responsibility is mediated by the perceived freewill.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anthropomorphism of AI, the greater the AI’s ethical responsibility. Also, this effect was fully mediated by the perceived AI’s freewill caused by anthropomorphism. Additionally, findings showe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perceived freewill on ethical responsibility applies to both human and AI. That is, participants reported lower ethical responsibility for AI than human as the level of freewill of AI was perceived to be lower than that of human. This research offers theoretical implications of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human-AI interactions by revealing that the psychological mechanism in which individuals expect ethical responsibility to AI is the perceived free will of AI. It also provides managerial and policy implications by suggesting the need for ethical design of AI for human-AI interaction.

시간압박, 조절초점, 인지적 종결욕구가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시간한정 메시지를 중심으로
김희재(이화여자대학교) ; 김은실(이화여자대학교) pp.179-206 https://doi.org/10.21074/kjlcap.2021.22.2.1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시간압박 상황에서 지각할 수 있는 위험과 조절초점을 적용한 광고 메시지 전략의 효과를 살펴보고 개인차 변인인 인지적 종결욕구에 의해 그 효과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2(시간압박: 고/저) x 2(조절초점: 촉진/예방) x 2(인지적 종결욕구: 고/저)의 피험자 간 설계로 실험이 수행되었다. 이에 더해, 시간압박 상황에서 지각된 위험을 경유하여 광고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광고 메시지의 조절초점이 조절하는지, 조절된 매개효과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시간압박이 낮을수록 예방초점 메시지보다 촉진초점 메시지 조건에서 더 긍정적인 광고 태도를 보였다. 또한, 인지적 종결욕구가 높은 조건에서는 시간압박 조건 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인지적 종결욕구가 낮은 조건에서는 시간압박이 높은 조건보다 낮은 조건에서 더 높은 구매 의도를 보였다.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시간압박이 광고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직접 효과와 조절초점 메시지의 조절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시간압박이 지각된 위험을 경유하여 광고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ime pressure, regulatory focus message, and need for cognitive closure(NCC),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2(Time pressure: high/low) x2(Regulatory focus: promotion/prevention) x2(NCC: high/low) factorial design.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regulatory focus on the path between time pressure 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rough perceived risk.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f promotion-focused message on attitude in the low(vs. high) time pressure condition.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low NCC on purchase intention in the low(vs. high) time pressure condition. Perceived risk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pressure 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디지털정부 웹사이트의 정보제시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 연구: 정보 과부하와 인지 실패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병관(광운대학교) ; 노환호(광운대학교) ; 이태준(한국개발연구원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pp.207-238 https://doi.org/10.21074/kjlcap.2021.22.2.2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정부 웹사이트의 정보제시 유형과 그에 따른 정보 과부하가 소비자들의 온라인 정보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디지털 정부 웹사이트에 제공되는 정책정보를 인포그래픽과 텍스트 형식으로 제시하고, 참가자의 반응을 확인하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000명의 대한민국 성인 남녀가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정보제시 형식과 정보 과부하가 이용자 반응에 미치는 구조 모형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에서 가정한 경로 가설은 모두 유의하게 검증되었으며, 간접효과 또한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더불어 두 정보제시 조건(인포그래픽 vs. 텍스트)간 간접효과의 차이도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연구 결과 디지털전환 시대 정부의 웹사이트의 정보 과부하에 의하여 이용자의 인지처리의 어려움이 발생할 경우 지각된 정보성과 흥미를 낮추고, 이는 곧 정부의 웹사이트 서비스 이용의도와 신뢰를 낮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인포그래픽을 통한 정보 전달이 텍스트를 통한 정보 전달보다 정보 과부하와 인지처리의 어려움을 낮추고, 정부 웹사이트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 반응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이용자 중심의 디지털 정부 서비스의 방향성과 전략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type of information presentation format and information overload in e-government sites on user response and attitude to the sites. In order to verify a structural model of the study,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two types of information format (infographic vs. text) as an experimental condition. A total of 1,000 adul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significance of the direct and indirect paths of the study model was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Results show that all direct and indirect path coefficients in the study model were significant, which confirms all the research hypotheses.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indirect effects between the two information formats (infographic vs. text) was also significantly validated. Findings indicate that 1) information overload in e-government sites causes difficulty in cognitive processing and decreases perceived informativeness and interest, which eventually lessens usage intention and trust of the sites and 2) infographic format is more appropriate than text format to reduce information overload and cognitive difficulty and also increase positive responses to the e-government sites.

1인 미디어 인터넷 방송에서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이 브랜드 관여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빅파이브 성격요인에 의한 사회적 실재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진균(홍익대학교) pp.239-269 https://doi.org/10.21074/kjlcap.2021.22.2.2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1인 미디어 인터넷 방송 진행자에 대한 이용자의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이 사회적 실재감을 통해 브랜드 관여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용자 개개인의 성격요인은 동일한 마케팅 자극에 대한 상이한 반응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빅파이브 성격요인에 따른 사회적 실재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24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 및 SPSS Macro를 활용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의사사회적 상호작용은 브랜드 관여와 구매의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또 사회적 실재감을 매개로 간접 영향을 미치는 점을 확인 하였다. 브랜드 관여에 대해 성실성과 외향성 그리고 구매의도에 대해서는 성실성, 외향성, 친화성에 의한 사회적 실재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1인 미디어 인터넷 방송 진행자와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형성의 중요성을 규명하였으며 이용자의 빅파이브 성격요인에 따른 1인 미디어 인터넷 방송 소통전략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a-social interaction(PSI) with broadcasting jockey(BJ) on brand engagement and purchase intention in one person Internet broadcasting media.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presence by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 total of 247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self-administered online survey. To test proposed hypotheses, a series of pearson correlation test and moderated mediation test using SPSS macro were conducted. It was found that PSI exerted direct effects on brand engagement and purchase intention each as well as indirect effects via social presence. Th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pres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I and brand engagement were significantly moderated by conscientiousness and extraversion. Finally, th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pres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I and purchase intention were significantly moderated by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creating PSI with BJ in one person Internet broadcasting media and the moderated mediating role of social presence by big five personality traits. Practical implications in regards to BJ’s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the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y are discussed.

한국판 선망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임혜빈(광운대학교) ; 최준영(광운대학교) ; 윤진헌(광운대학교) ; 이병관(광운대학교) pp.271-291 https://doi.org/10.21074/kjlcap.2021.22.2.27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선망을 단일 요인으로 다루고 있는 기존의 선망 척도와는 다르게 선망을 무해한 선망(benign envy)과 악의적인 선망(malicious envy)으로 구분하는 한국판 선망 척도(The Korean Version of the Envy Scale)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수행되었다. 총 450명의 응답을 대상으로 한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판 선망 척도는 총 12개 항목의 2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임이 지지되었다. 이어 한국판 선망 척도의 수렴 및 변별 타당도 검증을 위해 실시한 상관 분석 결과, 사회 비교 경향성은 두 가지 선망 모두와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성공에 대한 희망은 무해한 선망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무해한 선망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내적 통제는 무해한 선망과 정적 상관, 악의적 선망과 부적 상관을, 외적 통제는 악의적 선망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불공정한 세상에 대한 믿음은 악의적 선망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국판 선망 척도의 준거 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3가지 시나리오를 이용한 상관분석을 통해 한국판 선망 척도의 준거 관련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의 개념적 정의를 포괄하여 두 가지 유형의 선망의 조작적 정의와 구성개념을 확인하며, 소비자의 행동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망의 개인차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한국판으로 개발 및 타당화 하였다는 점과 국내 선망 연구의 확장에 기여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envy scale, which categorized envy into benign envy and malicious envy, unlike the existing ones that dealt with envy as a single factor. A series of factor analyses confirmed that the Korean Envy Scale was a 12-item self-report measure and consisted of two separate latent constructs. In detail, according to a correlation analysis conducted to verify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ies, social comparison tendenci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types of envy. It was also confirmed that benign env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ope of succes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fear of failure. In addition, results showed that inner contro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enign env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licious envy whereas external control was on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licious envy. It was also found that belief in an unjust worl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licious envy. Finally, a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ree envy-inducing scenarios properly secure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nvy scale. Findings of the stud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nvy deeply related to consumer behaviors and to the expansion of research on envy.

사회적 배제, 자기해석, 사회적 거리가 기부 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영혜(이화여자대학교) ; 양윤(이화여자대학교) pp.293-314 https://doi.org/10.21074/kjlcap.2021.22.2.29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유/무), 사회적 거리(가까움/멈), 자기해석(독립/상호의존)에 따라 친사회적 행동인 기부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해 삼원분산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사회적 배제를 겪은 경우가 겪지 않은 경우보다 유의하게 기부금액이 높았다. 사회적 거리가 가까운 사람에게서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경우 자기해석에 따른 기부금액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즉, 사회적 거리가 가까운 사람에게서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경우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자가 독립적 자기해석자보다 평균 기부금액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사회적 거리가 먼 상대보다 가까운 상대에게서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경우 그리고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자가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지 않은 것보다 경험한 경우에 기부금액이 유의하게 많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사회적 배제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기해석과 사회적 거리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e research verified how prosocial behaviors vary as social exclusion, social distance , and self-construal level using three-way ANOVA.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a main effect of social exclusion was significant. Don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a case of those who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than for those not. As a result of additional analysis on three-way interaction for hypothesis test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donations according to self-construal in case of experiencing social exclusion from someone with a short social distance. In other words, if one experiences social exclusion from someone with a short social distance, it was confirmed that those who conducte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had higher average donations than those who conducted independent self-construal. Finally, all two-way interaction effects were significant. In particular, the noteworthy findings from verification showed that don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persons who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from someone with a shot social distance than from someone with a long social distance, persons of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who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than those not, and persons of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than those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when there existed social exclusion. This research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social exclusion which has been relatively less investigated in a consumer field by considering both self-construal level and social distance.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