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선호에 대한 암묵적 이론이 다양성 추구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음식 선호도를 중심으로

Effect of Implicit Theory of Preference on Variety Seeking and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Food Preference

초록

사람들은 지능이나 성격과 같은 개인의 특성이 고정된 것인가 아니면 개인의 노력에 따라 성장하는 것인가에 대한 암묵적 이론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암묵적 이론은 사람들의 목표 설정이나 관련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암묵적 이론을 선호도에 적용하여 음식 선호도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암묵적 이론이 개인마다 다르며, 이런 암묵적 이론이 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우리나라 성인 200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기존 척도를 사용하여 음식 선호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암묵적 이론, 음식 다양성 추구 정도, 음식과 관련된 삶의 만족도,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순차적 매개효과 분석 결과, 음식 선호도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암묵적 이론에서 가변론을 믿을수록 음식을 다양하게 추구하고, 이는 음식과 관련된 삶의 만족도를 높이며, 음식과 관련된 삶의 만족도는 다시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 선호에 대한 가변론이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간접효과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 다양성 추구는 다양성 추구 경향성과 객관적 식품 섭취 빈도를 통해 측정하였으나, 다양성 추구 경향성에서만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과의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암묵적 이론, 음식 선호도, 다양성 추구, 삶의 만족도

Abstract

People have implicit theories about whether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intelligence or personality, are fixed or grow with individual effort, and these implicit theories have been known to influence people’s goal setting and related behaviors. By applying the implicit theory of intelligence to preference, we noted that individuals differ in their implicit theories about the changeability of food preferences. In an online survey of 200 Korean adults, existing scales were used to measure implicit theories about the changeability of food preferences, variety seeking tendency with respect to foods,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and overall life satisfaction in turn. The results of serial mediation analysis showed that having the incremental theory in food preference is related to higher food variety seeking, which leads to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and overall life satisfaction. As for the effect of the implicit theory of food preferences on overall life satisfaction, only the indirect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We measured food variety seeking by both tendency and objective food frequency, but only variety seeking tendency showed the serial mediation effect. The contribu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keywords
implicit theory, food preference, variety seeking, life satisfact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24-01-04
수정일Revised Date
2024-02-13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4-04-16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