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권호 목록

서해산 키조개, Atrina (Servatrina) pectinata japonica의 연령과 성장
류동기(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명과학부) ; 백성현(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명과학부) ; 박관하(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명과학부) ; 정의영(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명과학부) pp.71-78
초록보기
초록

1995년 4월부터 1996년 3월까지 충청남도 보령시 연안에 서식하는 키조개를 총 701마리 채집하여 성장을 조사하였다. 1. 키조개의 패각에 나타나는 윤문은 년1회 형성되며 주 윤문형성시기는 6월에서 7월로 조사되었다. 2. 초륜 형성기간은 12개월(만 1년)로 나타났다. 3. 각고 (SH)와 총중량 (TW)간의 관계는 TW=5.906<TEX>$\times$</TEX><TEX>$10^{-3}$</TEX>S <TEX>$H^{3.3844}$</TEX>이었으며, 각장 (SL)과 각고(SH)간의 관계는SL=0.5277SH+0.0934이고, 각장 (SL)과 각폭(SW)간의 관계는 SW=0.2681SH-1.3757였다. 4. 연령(t)에 대한 각고 (SH)와 총중량 (TW)의 Bertalanffy 성장식은 SHt=30.99(1-e-<TEX>$^{0.321}$</TEX>2(t+0.9653)/이고 (Fig.11) TWt=657.94(1-e-<TEX>$^{0.321}$</TEX>2(t+0.9653/)<TEX>$^{3.3844}$</TEX>(Fig. 12)였다.)였다.

Abstract

Age and growth of the pen shell, Atrina (Servatrina) pectinata japonica, on the west coast of Korea were studied based on 701 samples caught in April 1995 to March 1996.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lationship between shell height and ring radius in each ring group was expressed as a regression line. Therefore, it could be recognized that there is a correspondence in the formation of each ring. Based on the monthly variation of the marginal index (MI') of the shell, it was assumed that the ring of this species was formed once a year during the period of June to July. The relationship between shell height (SH) and total weight (TW) wer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TW = 5.906<TEX>$\times$</TEX>10/<TEX>$^{-3}$</TEX>SH<TEX>$^{3.844}$</TEX>. Shell length (SL) and shell height were highly corre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SL = 0.5277 SH +0.0934. The shell height-shell width (SW) relation wa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SW = 0.2681 SH -1.3757. Growth curves for shell height and total weight fitted to the von Bertalanffy's equation were expressed as: SHt=30.99(1-e-<TEX>$^{-0.3212(t+0.9653)}$</TEX>, TWt=657.94(1-e-<TEX>$^{-0.3212(t+0.9653}$</TEX>)<TEX>$^{3.3844}$</TEX>.

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 난 발생과 유생의 성장
박영제(국립수산진흥원 서해수산연구소) ; 이정용(국립수산진흥원 강릉수산종묘시험장) ; 김완기(국립수산진흥원 강릉수산종묘시험장) ; 이채성(국립수산진흥원 강릉수산종묘시험장) pp.79-84
초록보기
초록

동해안 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의 안정적인 인공종묘생산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온과 염분에 따른 난 발생, 수온과 먹이생물에 따른 유생의 성장과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수정란은 난경 77.3<TEX>$\pm$</TEX>2.7 <TEX>$\mu\textrm{m}$</TEX>의 분리침성란으로서 산란 6시간 후에 4세포기로 발달하였으며, 수정 60 시간 후에 각장 117<TEX>$\pm$</TEX>3 <TEX>$\mu\textrm{m}$</TEX>의 D형 유생으로 발달하였다. 수온 10-2<TEX>$0^{\circ}C$</TEX>, 염분 28-34 ppt에서 정상 발생이 가능하였으며, 수온이 높을수록 난 발생 속도가 빨라졌다. D형 유생은 수정 10일 후에 각장 160 <TEX>$\mu\textrm{m}$</TEX> 전후의 각정기 유생으로 발달하였으며, 수정 25일 후에 각장 250 <TEX>$\mu\textrm{m}$</TEX>로 성장하여 안점이 관찰되는 성숙유생으로 발달하였다. 유생기 동안 각장 (SL)에 대한 각고 (SH)의 상대 성장식은 SH=1.0425SL - 27.731 (<TEX>$r^2$</TEX>= 0.9749)였다. 수온별 유생사육에서는 8<TEX>$^{\circ}C$</TEX>와 12<TEX>$^{\circ}C$</TEX>에서 낮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2<TEX>$0^{\circ}C$</TEX>에서 낮은 생존율을 보였으나 16<TEX>$^{\circ}C$</TEX>에서 성장과 생존을 모두 양호하였다. 식물 먹이생물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은 Isochrysis galbana, Pavlbava lutheri 및 Chaetoceros calcitrans를 혼합 공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Abstract

In order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seedling production of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the egg development and larva growth were investigated at different conditions such as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phytoplankton. Eggs were demersal isolated eggs, which averaged 77.3<TEX>${\pm}$</TEX>2.7<TEX>$\mu\textrm{m}$</TEX> in diameter after spawning. The fertilized eggs developed to D-shaped larva of shell length 117.5<TEX>${\pm}$</TEX>3.8<TEX>$\mu\textrm{m}$</TEX> after 60 hours at 15<TEX>$^{\circ}C$</TEX>. The range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during egg development were 10-20<TEX>$^{\circ}C$</TEX> and 28-34 ppt, respectively. The time of egg development was shorter with higher water temperature. After 10 days of spawning, D-shaped larva reached 160 <TEX>$\mu\textrm{m}$</TEX> in shell length, and after 25 days became full-grown larva 250 <TEX>$\mu\textrm{m}$</TEX> in shell length, in which could be observed eye spots. The relative growth formula between shell length (SL) and shell height (SH) was SH = 1.0425SL-27.731 (r<TEX>$^2$</TEX>= 0.9749) during the entire larva period. In regard to water temperature,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larvae were good at 16<TEX>$^{\circ}C$</TEX>. Lower growth and survival rates were observed at 12<TEX>$^{\circ}C$</TEX> and 20<TEX>$^{\circ}C$</TEX> than that at 16<TEX>$^{\circ}C$</TEX>. When larvae were fed mixed phytoplankters, such as isochrysis galbana, Pavlova lutheri and Chaetoceros calcitrans, their growth and survival rates were the highest among groups.

주꾸미 (Octopus ocellatus)의 산란과 부화, 생존 및 공식
김병균(국립수산과학원 부안수산종묘시험장) ; 정의영(군산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 ; 전제천(국립수산과학원 부안수산종묘시험장) ; 정치홍(서해수산연구소 군산분소) pp.85-94
초록보기
초록

전라북도 부안 연안에서 채집된 주꾸미 (Octopus ocellatus)의 산란과 부화, 생존 및 공식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주꾸미 어미의 생식소중량지수 (GSI) 는 2000년과 2001년도 모두 비슷하였고, 3월부터 증가되기 시작하여 5월에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평균 포란량은 2000년과 2001년도 모두 3-5월 조사에서 4월이 3월과 5월보다 더 높았다. 주꾸미 어미의 수층별 생존을 조사에서는 2000년도에 중층의 평균 생존을 (88.8%)이 저층 (79.3%)보다 높았고 (p = 0.002), 2001년도에도 중층의 생존율이 저층보다 높았다 ( =0.018). 구입시기별 조사에서는 산란초기 (4월 10일)의 생존율 (87.0%)이 산란중기 (5월 11일) 및 산란후기 (5월 23일) 보다 생존율이 높게 나타나 산란초기에 어미를 구입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수층별 산란량 조사에서도 산란단지 당 산란량은 중층이 저층에서 보다 더 많았고, 구입시기별 산란량 조사에서는 산란초기 (2000년 4월 10일) 가 산란중기 (2000년 5월 11일) 와 산란후기 (2000년 5월 23일)보다 산란량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어, 어미 주꾸미를 산란초기에 구입하는 것이 보다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산란된 난의 크기는 6.904 <TEX>$\times$</TEX> 2.520 mm이었다. 난발생시의 수온인 11.2-21.1<TEX>$^{\circ}C$</TEX> (적산수은: 892<TEX>$^{\circ}C$</TEX>)에서, 부화기간 (2000년 4월 17일에서 6월 7일)은 55일이 소요되었다. 수층별 부화율은 중층이 저층보다 높게 나타났다 (p = 0.004). 어미구입 시기별 산란단지 당 부화율은 산란초기와 산란중기가 산란후기보다 부화율이 높았다. 산란단지 내에서 부화는 어미가 있는 실험구 (여과해수사육)에서 부화율이 82.1%로 가장 높게 나타나 부화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화기간 중의 난 관리를 위해 어미 주꾸미가 산란단지내에 있도록 하고 여과해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조건이라고 사료된다. 먹이별 어린 주꾸미 사육 시험은 Artemia 공급구에서 생존율 (21.6%) 이 가장 양호하였고, 공식 방지 효과조사를 위한 은신처별 사육시험에서는 굴수하연 수하구에서 생존율(15.7%) 이 가장 양호하였다.

Abstract

Spawning, hatching, survival and cannibalism of the octopus, Octopus ocellatus, were investigated at the indoor laboratory. The specimens were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s of Puan, Korea, from March 2000 to May 2001. Changes in the gonadosomatic index (GSI) during March to May, 2000 were similar to those in 2001. The GSI began to increase in March and reached the maximum in May 2000 and 2001. The mean fecundity of adult individuals in April was larger than those in March and May in 2000 and 2001. In the investigations of survival rates of adults according to the water layers, the mean survival rate in the middle water layer was higher than that in the bottom layer in year 2000 (p = 0.002). The survival rate during 2001 was similar to the result of year 2000 in the water layers (p = 0.018). From the investigations with the purchase dates, the survival (88.8%) in the early spawning period (April 10, 2000) showed larger than those in the mid-spawning (May 11, 2000) and the late spawning (May 23, 2000). For aquaculture, it is suggested that the purchase timing of adults in the early spawning period will have a better result than that of the other spawning periods. In the amount of spawning with water layers, the number of eggs spawned of the adults in the middle layer were larger than those in the bottom layer. In the number of eggs spawned with the purchase dates, the number of eggs spawned in the early spawning period were larger than those in the middle and late spawning periods. The size of eggs spawned were 6.904<TEX>$\times$</TEX>2.520 mm. the hatching period required (from spawning to hatched larvae) was 55 days (April 17 to June 7,2000) at water temperatures of 11.2 to 21.1<TEX>$^{\circ}C$</TEX>. In case of the hatching rates with water layers, the hatching rate in the middle water layer was larger than that in the bottom one (p = 0.004).

Determination of Experimental Conditions for Measurement of the Clearance Rate of an Intertidal Bivalve, Glauconome chinensis
Lee, Chang-Hoon(Red Tide Research Center Kunsan National University) ; Chung, Ee-Yung(School of Marine Life Science, Kunsan National University) pp.95-104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o determine optimal conditions for measurement of the clearance rate in feeding experiment of an intertidal bivalve Glauconome chinensis, effects of starvation, extent of mixing at subsampling, and initial prey concentration were assessed. Experiments were conducted separately for each condition with different treatments. Two-way ANOVA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earance rates among different starvation periods (p<0.001), extents of mixing (p = 0.005), and prey concentrations (p < 0.001). Starvation for 1 or 2 days gave rise to 2 to 3-fold increase in the clearance rate. After starvation for 5 days, the clearance rate decreased seriously, implying loss of physiological status. It is suggested that animals should be fed during acclimation. The differences of the clearance rates between gentle and vigorous mixings were significant, but the differences were smaller than that among different incubation times. It was found that vigorous mixing is not necessary. The effect of initial prey concentration was great. However, optimal prey concentration could not be determined at any fixed value. Experiments with multiple concentrations of algal prey are recommended. Optimal incubation time for measurement of the clearance rate of G. chinensis was determined to be 2-4 hours.

한국산 다슬기 과 7 종의 치설 연구
고정호(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이준상(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권오길(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pp.105-115
초록보기
초록

국내에 서식하는 다슬기 과의 곳체다슬기 (Semisulcospira gottschei), 참다슬기 (S. coreana), 주름다슬기 (S. forticosta), 좀주름다슬기 (S. tegulata), 다슬기 (S. ibertina), 염주알다슬기 (Koreanomelania nodifila), 띠구슬다슬기 (Koreoleptoxis globus ovalis)의 치설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다슬기과 담수패류의 치설은 모두 한 열 (transverse row)에 7개 (M+2L+4M)의 이빨을 갖는 리본 모양의 유설형(taenioglossa)이다. Semisulcospira 속의 5 종 (곳체다슬기, 참다슬기, 주름다슬기, 좀주름다슬기, 다슬기)의 중치는 3 + 1 + 3 또는 2 + 1 + 2의 치첨수 배열을 이루는 대칭구조를 보이며 평균 98-112 개의 치열로 구성되어 있다. 염주알다슬기(Koreanomelania nodifila)의 중치는 2 + 1 + 2의 치첨수 배열을 이루는 대칭구조를 보이며 평균 118 개의 치열로 구성되어 있다. 띠구슬다슬기 (Koreoleptoxis globus ovalis)는 3 + 1 + 3의 치첨수 배열을 이루는 대칭구조를 보이며 평균 213 개의 치열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결과 다슬기과 7종의 치설 구조는 뚜렷한 속간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종간 구조적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Abstract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external radulae of seven species (Semisulcospira gottschei, S. coreana, S. forticosta, S. tegulata, S. ibertina, Koreanomelania nodifila and Koreoleptoxis globus ovalis) of freshwater snails in three genera of the family Pleuroceridae in Korea. Under a microscope of 100 magnifications, observation of seven species can be distinguished sharply between three genera of Semisuicospira, Koreanomelania and Koreoleptoxis,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radulae can be used as taxonomic tool in genus level of Pleuroceridae. Besides SEM photograph of the radulae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in seven species can be verified a new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genus' unit grade in accord with firsthand drawing sketch under a microscope of 100 magnifications. But it is difficult that all of the species can be detected sharply the difference of interspecies by comparisons of radulae in the family Pleuroceridae in Korea. Therefore,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radulae can not be set a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species level.

한국산 다슬기과 (Family Pleuroceridae) 2 종의 등위효소 변이
이준상(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고정호(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권오길(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pp.117-123
초록보기
초록

국내 5개 지역에서 채집된 염주알다슬기 (Koreanomelania nodifila)와 띠구슬다슬기(Koreoleptoxis globus ovalis)간의 유전적 분화수준을 토대로 속간 수준의 분류적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전기영동을 이용한 등위효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종내 집단간 유전적 근연치는 염주알다슬기가 S=0.848(0.805-0.905)로 나타났고 띠구슬다슬기는 이보다 낮은 S=0.755 (0.666-0.860)의 값을 보였다. 각 종의 속간 유전적 근연치는 곳체다슬기와 염주알다슬기가 S=0.194의 매우 낮은 값을 보였고 곳체다슬기와 띠구슬다슬기 사이는 S=0.301을 나타내었다. 또한 염주알다슬기와 머구슬다슬기 간에는 S=0.301의 유전적 근연치를 보여 이들 간의 유전적 분화수준이 속간 차이에 이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 genetic analysis using starch gel electrophoresis was peformed to clarify the degrees of genetic differentiation among two species of the genus Koreanomelania and Koreoleptoxis (Gastropoda, Pleuroceridae). The average genetic similarity coefficients (S) among the populations of K. nodifila was S=0.848 (0.805-0.905) and K. globus ovalis was S : 0.755 (0.666-0.860). The genetic similarity coefficients between Semisulcospira gottschei and K. nodifila, S. gottschei and K. globus ovalis, and K. nodifila and K. giobus ovalis were 0.194, 0.301, and 0.301, respectively. So between K. nodifila and K. globus ovalis seems to be genetically two distinct taxa.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