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TEX>$AG^{(R)}$</TEX> 50W-X8 양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14종의 희토류원소와 Y를분리하고, 유도결합플라스마 원자방출분광법(ICP-AES)으로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수지에 대한 희토류원소의 이온교환용량은 매우 커 pH 1~6 범위와 0.3~1.0mL/min의 흐름속도에서 희토류원소는 모두 정량적으로 이온교환 되었다. 희토류원소의 돌파점 용량 곡선은 경희토류원소(Cerium 그릅)의 이온교환능력이 중희토류원소(Yttrium 그릅) 보다 큰 것을 보여주었다. 100mg의 이온교환수지에 각각 <TEX>$200{\mu}g$</TEX>의 희토류원소들이 이온교환 되어있을 때 대부분의 중희토류원소는 2.0M의 질산 10 mL로, 경희토류원소는 30mL로 정량적으로 탈착시킬 수 있었다. 본 방법으로 모나자이트 중에 희토류원소를 분석하였다. 모나자이트 중에 공존하는 Ti, Mn, Mg, Ca 등의 원소는 상대적으로 희토류원소 보다 이온교환 능력이 낮아, 매트릭스 원소로 부터 희토류원소의 분리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방법에서 분석 결과의 상대표준편차는 1~5%로 향상되지 않았다.
AGR 50W-X8 양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14종의 희토류원소와 Y를 분리하고, 유도결합플라스마 원자방출분광법(ICP-AES)으로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수지에 대한 희토류원소의 이온교환용 량은 매우 커 pH 1~6 범위와 0.3~1.0mL/min의 흐름속도에서 희토류원소는 모두 정량적으로 이온교환 되 었다. 희토류원소의 돌파점 용량 곡선은 경희토류원소(Cerium 그릅)의 이온교환능력이 중희토류원소(Yttrium 그릅) 보다 큰 것을 보여주었다. 100mg의 이온교환수지에 각각 200 μg의 희토류원소들이 이온교환 되어 있을 때 대부분의 중희토류원소는 2.0M의 질산 10mL로, 경희토류원소는 30mL로 정량적으로 탈착시킬 수 있었다. 본 방법으로 모나자이트 중에 희토류원소를 분석하였다. 모나자이트 중에 공존하는 Ti, Mn, Mg, Ca 등의 원소는 상대적으로 희토류원소 보다 이온교환 능력이 낮아, 매트릭스 원소로 부터 희토류원소의 분리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방법에서 분석 결과의 상대표준편차는 1~5%로 향상되지 않았다.
1. R. A. Gil, S, Cerutti, J. A. Gasquez, R. A. Olsina and L. D. Martinez, Spectrochim. Acta, part B, 60(4), 531-535(2005).
2. K. Tang, Z. Xu and J. Wang, Spectrochim. Acta, part B,60(12), 1580-1585(2005).
3. A. N. Turanov, V. K. Karandashev and V. E. Bauri,Solvent Extraction and Ion Exchange, 17(6), 1423-1444(1999).
4. M. R. Yaftion and M. Burgadi, Solvent Extraction and Ion Exchange, 16(5), 1131-1149(1998).
5. K. Takeda, M. Akiyama, F. Kawakami and M. Sakai,Bull. Chem. Soc. Japan, 59(7), 2225-2232(1986).
6. T. Yabatani, S. Ji, F. Nouri, H. Sawatari, A. Itoh, K.Chiba and H. Haraguchi, Bull. Chem. Soc. Japan,72(10), 2253-2260(1999).
7. H. Sawatari, T. Toda, T. Saizuka, C. Kimata, A. Itoh and H. Haraguchi, Bull. Chem. Soc. Japan, 68(11),3065-3070(1995).
8. J. G. Crock and F. E. Lichte, Anal. Chem., 54(8), 1329-1332(1982).
9. Y. Inoue, H. Kumagai, Y. Shimoumura, T. Yokoyama and T. M. Susuki, Anal. Chem., 68(9), 1517-1520(1996).
10. K. Kawabata, Y. Kishi, O. Kawaguchi, Y. Watanabe and Y. Inoue, Anal. Chem., 63(19), 2137-2140(1991).
11. J. N. Walsh, F. Buckley, and J. Bakker, J. Chemical Geology, 33(2), 141-153(1981).
12. Y. M. Kim and Y. C. Park, Anal. Sci. & Tech., 2(1), 87-107(1989).
13. B. S. Choi, S. T. Kim, Y. M. Kim and C. W. Lee, J. of Kor. Chem. Soc., 29(4), 382-389(1985).
14. A. Masuda, N. Nakamura and T. Tanaka, Geochim. Cosmochim. Acta, 37(2), 239-248(1973).
15. Y. Y. Yoon, Y. I. Kwon, S. Y. Cho and K. Y. Lee, Anal.Sci. & Tech., 20(6), 468-473(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