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 P-ISSN1225-0163
  • E-ISSN2288-8985
  • SCOPUS, ESCI, KCI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마이크로챔버와 20L static chamber를 이용한 도어트림 암레스트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평가

Evalu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from door-trim armrest using micro chamber and 20 L static chamber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11, v.24 no.4, pp.290-297
https://doi.org/10.5806/AST.2011.24.4.290
이익희 (강원대학교)
김만구 (강원대학교)
유지호 (강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현재 자동차 실내공기질을 평가하는 방법이 ISO, 중국, 일본에서 개발 중에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관리기준이 2010년 7월 1일 이후 생산한 신규제작자동차부터 적용되고 있다. 자동차 실내공기질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자동차 실내의 내장부품으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모듈단위부품인 도어트림 모듈의 구성부품인 도어트림 암레스트를 ISO 12219-5방법에 따라 완제품을 평가 하였으며, ISO 12219-3방법으로 절단부품과 도어트림 구성소재를 평가하였다. Tenax TA가 충진된 스테인리스 튜브를 이용하여 VOC를 채취하여 TD-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시험방법을 비교한 결과 도어트림 암레스트로부터 방출되는 물질의 비율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도어트림 암레스트의 소재를 평가한 결과 PP substrate과 adhesive가 도어트림 암레스트에서 주요 방출원인 소재로 나타났다.

keywords
door trim armrest, micro chamber, static chamber, car interior component, cabin air quality

Abstract

현재 자동차 실내공기질을 평가하는 방법이 ISO, 중국, 일본에서 개발 중에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관리기준이 2010년 7월 1일 이후 생산한 신규제작자동차부터 적용되고 있다. 자동차 실내공기질을관리하기 위해서는 자동차 실내의 내장부품으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모듈단위부품인 도어트림 모듈의 구성부품인 도어트림 암레스트를 ISO 12219-5방법에 따라 완제품을 평가 하였으며, ISO 12219-3방법으로 절단부품과 도어트림 구성소재를 평가하였다. Tenax TA가 충진된 스테인리스 튜브를 이용하여 VOC를 채취하여 TD-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시험방법을 비교한 결과 도어트림 암레스트로부터 방출되는 물질의 비율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도어트림 암레스트의 소재를 평가한 결과 PP substrate과 adhesive가 도어트림 암레스트에서 주요 방출원인 소재로 나타났다.

keywords
door trim armrest, micro chamber, static chamber, car interior component, cabin air quality


참고문헌

1

1. J. S. Grabbs, R. L. Corsi and V. M. Torres,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new automobiles: screening assessment. J. Environ. Eng., 126(10), 974-977 (2000).

2

2. M. J. Fedoruk and B. D. Kerger, Measurem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side automobiles. J. Expo. Anal. Environ. Epidemiol., 13, 31-41 (2003).

3

3. T. Yoshida and I. Matsunaga, A case study on identification of airborne organic compounds and time courses of their concentrations in the cabin of a new car for private use. Environ. Int, 32(1), 58-79 (2006).

4

4. Y. C. Chien, Sci. Total Environ., 382, 228-239 (2007).

5

5. J. E. Jacobs and M. A. Polster, Measurement and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emissions from new vehicle interiors. SAE Int., 2010.

6

6. ISO/DIS 12219-1. Indoor air of road vehicles-part 1: Whole vehicle test chamber specification an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cabin interiors, 2010.

7

7. J. H. Yoo, Development of test method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from unit part based car trim components. Kang-Won national Univ, 2011.

8

8. ISO/CD 12219-3. Indoor air of road vehicles-Screening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emiss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from car trim components- Part 3: Micro-scale chamber method, 2010.

9

9. T. Schripp, B. Nachtwey, J. Toelke, T. Salthammer, E. Uhde, M. Wensing and M. Bahadir, Anal Bioanal Chem., 387, 1907-1919 (2007).

상단으로 이동

분석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