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Article Contents

    Effect of forensic short wavelength UV on DNA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14, v.27 no.3, pp.147-152
    https://doi.org/10.5806/AST.2014.27.3.147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범죄 현장에서 눈으로 보이지 않는 지문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254 nm의 단파자외선과 루비스(RUVIS;Reflective Ultraviolet Imaging System, 반사자외선이미징시스템)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효과적이다. 최근 유전자 감식 기술의 발전으로 지문과 같은 극미량의 생체시료에서도 성공적으로 DNA프로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지만, 지문 탐색에 사용되는 단파자외선에 의해 DNA가 파괴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4 종류의 자외선 광원을 대상으로 자외선 조사 시간과 조사 거리에 따른 DNA 손상 정도를 비교하였다. 단파 자외선을 사용하는 경찰 루비스, SIRCHIE미니라이트 및 SIRCHIE 루비스의 경우에는 10 cm 거리에서 10초간 조사할 경우 약 50% 정도의 DNA가 손상되었고, 시료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처리 시간이 길수록 DNA 손상 정도가 증가하였다. 이 장비들을 사건 현장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유전자 감식 시료의 DNA에 많은 손상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1 m 이상의 거리에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350 nm의 장파자외선을 사용하는 폴리라이트 장비는 단파 자외선 장비에 비해 DNA 손상 정도가 크지 않았다. 지문 탐색과 유전자감식을 모두 고려한다면, 자외선 광원의 종류에 따라 조사 거리와 조사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
    UV-C, RUVIS, DNA damage, Polilight


    Reference

    1

    1. http://www.sirchie.com/Assets/Cat_10_11/ruvis3.pdf, Assessed 23 Nov 2013.

    2

    2. http://www.spexforensics.com/applications/scenescopeadvance-ruvis-uv-imager, Assessed 23 Nov 2013.

    3

    3. M. C. Cubuk, Problem Forensic Sci., 51, 150-154 (2002).

    4

    4. H. Cha, I. H. Song, Y. A. Choo, S. K. Park and I. H. Lee, Kor. J. Anat., 33(2), 201-207 (2000).

    5

    5. S. Madronich, R. L. McKenzie, L. O. Bjrn and M. M. Caldwell, J Photochem Photobiol B, 46, 5-19 (1998).

    6

    6. J. E. Cleaver and D. L. Mitchell, In ‘Ultraviolet Radiation Carcinogenesis’.; 1st Ed., p. 307-318, Cancer Medicine. Williams & Wilkins. Baltimore, 1993.

    7

    7. K. Hemminki, X. Wu, K. Laura, K. M. Leena, C. Y. Zhao and T. J. Christer, Carcinogenesis, 23, 605-609(1997).

    8

    8. Y. G. Yoon, S. J. Choi, W. J. Park, S. Y. Eom, S. K. Lee and I. S. An, Kor. J. Aesthet Cosmetol, 10, 887-891(2012).

    9

    9. A. Tewari, R. P. Sarkany and A. R. Young, J. Invest. Dermatol, 132(2), 394-400 (2012).

    상단으로 이동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