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 P-ISSN1225-0163
  • E-ISSN2288-8985
  • SCOPUS, ESCI, KCI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논문 상세

    식품 중 조단백질 정량을 위한 켈달법과 듀마스법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crude protein contents obtained utilizing the Kjeldahl method and Dumas combustion method in foods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20, v.33 no.3, pp.143-150
    https://doi.org/10.5806/AST.2020.33.3.143
    황선혜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구민선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조새롬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조용선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곡물, 육류, 해산물, 채소류등에 대하여 식품공전에 등재되어 있는 켈달법(Kjeldahl method)과 AOAC에 등재되어 있는 듀마스법(Dumas method)을 이용하여 조단백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두 시험법에 대해 총 31종의 시료를 3회 반복 시험한 결과 대부분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곡물류의 경우 백미를 포함 총 9 종을 분석하였고, 켈달법과 듀마스법 결과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correlation coefficient가 0.994, p-value는 0.956로 두 결과값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류 9 종에 대해서는 correlation coefficient이 0.9725, p-value는 0.947, 해산물 5 종에 대해서는 correlation coefficient 값이 0.9879, p-value는 0.761, chemical시료 3종에 대해서는 correlation coefficient값이 0.9985, p-value는 0.997, 채소류 4 종에 대해서는 correlation coefficient값이 0.9873, p-value는 0.727로 시료간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켈달법과 듀마스법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류의 경우 시료의 균질성이 좋지 않아 소량을 칭취하여 분석해야 하는 듀마스법에서 재현성이 좋지 않았다. 다만 시료 중 질산염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채소류의 경우 켈달법을 이용하여 분석시 완전한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아 듀마스의 결과보다는 낮은 함량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듀마스 법의 경우 약 0.1 g의 적은 시료를 사용하여 분석하기 때문에 분석시 시료의 균질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두 시험법 모두 순단백질을 직접 정량하는 것이 아닌 질소 분석을 바탕으로 단백질 함량을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성이 높다고 할 수 없지만, 샘플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분석방법을 선택하여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keywords
    crude protein, kjeldahl, dumas combustion, quantitative analysis, correlation coefficient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곡물, 육류, 해산물, 채소류등에 대하여 식품공전에 등재되어 있는 켈달법(Kjeldahl method)과 AOAC에 등재되어 있는 듀마스법(Dumas method)을 이용하여 조단백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두 시험법에 대해 총 31종의 시료를 3회 반복 시험한 결과 대부분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곡물류의경우 백미를 포함 총 9종을 분석하였고, 켈달법과 듀마스법 결과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correlation 대해서는 correlation coefficient이 0.9725, p-value는 0.947, 해산물 5종에 대해서는 correlation coefficient 값이 0.9879, p-value는 0.761, chemical시료 3종에 대해서는 correlation coefficient값이 0.9985, p-value는0.997, 채소류 4종에 대해서는 correlation coefficient값이 0.9873, p-value는 0.727로 시료간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켈달법과 듀마스법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류의 경우 시료의 균질성이좋지 않아 소량을 칭취하여 분석해야 하는 듀마스법에서 재현성이 좋지 않았다. 다만 시료 중 질산염을많이 함유하고 있는 채소류의 경우 켈달법을 이용하여 분석시 완전한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아 듀마스의결과보다는 낮은 함량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듀마스 법의 경우 약 0.1 g의 적은 시료를 사용하여 분석하기 때문에 분석시 시료의 균질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두 시험법 모두 순단백질을 직접 정량하는 것이 아닌 질소 분석을 바탕으로 단백질 함량을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성이 높다고 할 수 없지만, 샘플의특성에 따라 적절한 분석방법을 선택하여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keywords
    crude protein, kjeldahl, dumas combustion, quantitative analysis, correlation coefficient


    참고문헌

    1

    1. A. Simonne, E. Simonne, R. Eitenmiller, H. Mills and C. Cresman III,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73(1), 39-45 (1997).

    2

    2. R. Etheridge, G. Pesti and E. Foster,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73(1-2), 21-28 (1998).

    3

    3. S. Jung, D. Rickert, N. Deak, E. Aldin, J. Recknor, L. Johnson and P. Murphy,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80(12), 1169 (2003).

    4

    4. L. Krotz, F. Leone and G. Giazzi, ‘Application note (AN42262)’, Themro Fisher, 2016.

    5

    5. M. Thompson, L. Owen, K. Wilkinson, R. Wood and A. Damant, Analyst, 127(12), 1666-1668 (2002).

    6

    6. S. O. Lourenço, E. Barbarino, J. C. De-Paula, L. O. d. S. Pereira and U. M. L. Marquez, Phycological Research, 50(3), 233-241 (2002).

    7

    7. P. Yanu and J. Jakmunee, Food Chemistry, 230, 572-577 (2017).

    8

    8. K. M. I. Association, the MEAT Journal, 2, 66-71(1988).

    9

    9. P. M. Wong, Determination of Total Protein Content in Milk Powders: a Comparative Study of the Kjeldahl, Lowry and Bradford Method. Tunku Abdul Rahman University College, 2017.

    10

    10. AOAC.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984.

    11

    11. G. Bucke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rewing, 100(2), 57-64 (1994).

    12

    12. J. Martín, L. Fernández Sarria and A. G. Asuero, ‘Advances in Titration Techniques’, Intech, 2017.

    13

    13. J. Müller, ‘Comparison and considerations for nitrogen protein analysis of food and feed’, Foss publication, 2017.

    14

    14. X.-l. Zhang, H. Zhao, F. Wang, Z.-J. Chang, H. Li, and J.-M. Xiao, Special Wild Economic Animal and Plant Research, 1, 40-42 (2015).

    15

    15. U. G. Bak, C. W. Nielsen, G. S. Marinho, Ó. Gregersen, R. Jónsdóttir and S. L. Holdt, Algal Research, 42, 1-10(2019).

    16

    16. D. Dev and E. Quensel, Journal of Food Science, 53(6), 1834-1837(1988).

    17

    17. R. Jain and S. Goomer,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al Science, 6(1), 68-74 (2019).

    18

    18. M. Mádlíková, I. Krausová, J. Mizera, J. Táborský, O. Faměra and D. Chvátil, Journal of Radioanalytical and Nuclear Chemistry, 317(1), 479-486 (2018).

    19

    19. I. D. Nwachukwu and R. E. Aluko, Food Chemistry, 270, 25-31 (2019).

    20

    20. T. E. Silva, E. Detmann, M. O. Franco, M. N. N. Palma and G. C. Rocha, Acta Scientiarum. Animal Sciences, 38(1), 45-51 (2016).

    상단으로 이동

    분석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