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적 학대와 정서적 불안정성이 경계선 성격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단절 및 거절 도식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366명의 대학생들(남자 163명, 여자 203명)이 정서적 학대, 정서적 불안정성(ALS-SF), 단절 및 거절 도식(YSQ-SF), 경계선 성격 성향(PAI-BOR)을 평가하는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적 학대는 경계선 성격 성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단절 및 거절 도식을 매개하여 경계선 성격 성향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불안정성도 경계선 성격 성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단절 및 거절 도식을 매개하여 경계선 성격 성향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을 비교한 결과, 부분매개모형이 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환경 및 기질적 요인과 경계선 성격 성향 사이의 관계를 단절 및 거절 도식이 매개한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경계선 성격 성향의 발달과정을 이해함과 동시에 도식양식(schema mode)을 활용한 치료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후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maltreatment, emotional instability,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 total of three hundred and sixty-six undergraduate students (163 male and 203 female) completed a battery assessing emotional, maltreatment, emotional instability (ALS-SF),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YSQ-SF)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PAI-B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motional maltreatment had a direct effect 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Meanwhile, it had an indirect effect 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at were mediated by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Emotional instability also had a direct effect 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Concurrently, it had an indirect effect 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which was mediated by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In addition, a partial-mediation demonstrated a better model fit than the full-mediation model. By examining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and temperamental factors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was mediated by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llow as to understand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Further, the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using a schema mode within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this study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