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민족영화론의 변이와 '코리안 뉴 웨이브' 영화담론의 형성

The Discursive Variation of Korean National Cinema and the Formation of Korean New Wave Cinema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6, v.0 no.15, pp.287-318
김소연 (도서출판 시각과언어)

Abstract

keywords
Korean New Wave Cinema, National Cinema, Counter-Cinema, Minjung Cinema, Political Realism, Political Modernism, 코리안 뉴 웨이브 영화, 민족영화, 민중영화, 대항영화, 정치적 리얼리즘, 정치적 모더니즘

참고문헌

1.

잡지 및 무크지,

2.

(1986.) 레디고 1집,

3.

(1989.) 민족영화 I, 도서출판 친구

4.

(1990.) 민족영화 II, 도서출판 친구

5.

(1983.) 새로운 영화를 위하여, 학민사

6.

(1993) 한국영화에 누벨 바그는 존재하는가 ?, 한국영화평론가협회.

7.

(2003.)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 백산서당

8.

(2002.) 영화운동의 역사:구경거리에서 해방의 무기로, 서울출판미디어

9.

(2005.) 한국영화의 시간, 공간, 육체의 문화정치학: 코리안 뉴 웨이브와 한국형 블록버스터 시대를 중심으로 ,,

10.

(2006) 불안에 대처하는 지식인의 자세 : 코리안 뉴 웨이브 영화의 윤리적 분열에 관한 소론,

11.

(1990여름.) < 파업전야> 와 영화의 현실주의, 사상문예운동 4호

12.

(2003.)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 예담

13.

영화적 기억과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

14.

(2002.) 시네마를 중심으로,

15.

(1996.) 변방에서 중심으로:한국 독립영화의 역사, 시각과 언어

16.

(남인영외) 프리즘에 비친 영상, 1992.

17.

(1992.) 한국영화의 이해, 예니

18.

(1988여름.) 한국영화사 속에 나타난 민족의 저항, 현상과 인식

19.

(1991여름.) 90년대 민족영화운동의 발전을 위해, 연세

20.

(1988.) 영화운동의 대중화를 위하여 사상과 실천에 있어서의 반성과 그 전제 서울여대 교지,

21.

(1999.) 1980년대 혁명의 시대, 새로운 세상

22.

(1990.6.) < 파업전야> 와 < 우묵배미의 사랑>, 창작과 비평

23.

(1989.) 압운의 장면들 롱 테이크의 미학적 모험 그리고 기로에 선 배창호 < 기쁜 우리 젊은 날 >,

24.

(2003.) 한국영화의 성적 재현에 대한 연구:세기 전환기의 텍스트들을 중심으로, 중앙대

25.

(1997.) 6월 민주항쟁과 한국사회 10년 I, 도서출판 당대

26.

(2001.) 매혹의 기억, 독립영화, 한국독립영화협회

27.

(1984.) 영화운동에 대해서 한국문학의 현단계 III 창작과 비평,

28.

The Cris of Political Modernism Criticism and Ideology in Contemporary,

29.

(1994.) The Retents of the Univ. of California, 1988

30.

(1996) Korean New Wave: Retrospectives from 1980 to 1995,

31.

(1998.) The New Korean Cinema: Framing the Shifting Boundaries of History,

32.

(2000.) A Cultural Interpretation of Korean Cinema, 198-197, Indiana University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