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역사의 부담과 작인성의 딜레마

Burden of History and Question of Agency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7, v.0 no.17, pp.363-387
https://doi.org/10.18856/jpn.2007..17.012
안진수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1960년대 한국의 사극영화들은 피해자의 역사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학계의 진지한 역사담론과는 달리 사극영화가 제시하는 역사관은 운명론적이고 멜로드라마적이다. 특히 피해자와의 감정적 동일시를 통해 시대적 간극을 넘는 역사화를 시도한다. 사극영화의 시각적 화려함과 비극성은 역사를 찬양하고 비판하는 양가적인 태도를 갖게 한다. 특히 사극영화의 서사는 주인공의 몰락과 실패, 고통에 집착하는데 이것은 궁극적으로 역사의 부담과 작인성의 문제를 가늠케 한다. 영화 연산군은 그러한 역사적 파국을 극단적으로 밀어붙인 고유한 텍스트이다. 죽은 생모와의 관계를 복원하려는 주인공의 행동이 역사의 권위와 충돌하며 파행을 겪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누락된 가족사와 주인공의 정신적 외상이 드러나고 이것이 야기하는 파국을 보여준다. 영화가 보여주는 과잉된 스타일은 사실주의에 기반을 둔 지배역사기술이 누락한 부분들을 다룬다는 점에서 대안적인 역사의 지각을 가능케 한다.주제어사극, 재현, 정신적 외상, 작인성, 멜로드라마

keywords
historical film, trauma, representation, agency, melodrama, historical film, trauma, representation, agency, melodrama, 사극, 재현, 정신적 외상, 작인성, 멜로드라마

Abstract

Korean historical drama of the 1960s focus primarily on the fallen victims of history. Contrary to serious and critical discourse of history, the history that the genre offers is often fatalistic and melodramatic in character. In particular, these films attempts to convey different mode of historicization through melodramatic pattern of identification. Visual opulence and tragic story then create a peculiarly jarring effect on viewers, promoting ambivalent view on history; the films simultaneously glorify and denounce the past. The thematic preoccupation with the failure and demise then enables one to interrogate the genre's central theme: burden of history and question of agency. King Yonsan and Yonsan, the terrible are exemplar texts that illustrate the negative dynamics in Chosun court to the extreme. The protagonist endeavors to exonerate his late deposed mother queen, only to find insurmountable resistance from the court officials. In an effort to cope with the burden of history, he then plunges into self-destructive behavior. This in turn unveils the repressed family history, which leaves irrecoverable trauma in his psyche. The films' excessive style then offers textual signs for perception of histor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dominant discourse of history which is based on realistic aesthetics.

keywords
historical film, trauma, representation, agency, melodrama, historical film, trauma, representation, agency, melodrama, 사극, 재현, 정신적 외상, 작인성, 멜로드라마

참고문헌

1.

(2000) 사모의 멜로드라마, 근대성의 유령들, 씨앗을 뿌리는 사람들

2.

(2001) 사극과 역사인식의 문제, 도서출판 소도

3.

(2004) 궁궐의 꽃, 궁녀, 시공사

4.

(2001) 뜻으로 본 한국역사, 한길사

5.

(1995) Introduc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6.

(1985) The Education of Yi Crown Prince: A Study in Confucian Pedagog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7.

(2001) Captive Images in the Traumatic Western: The Searchers, Pursued, Once Upon a Time in the West and Lone Star, New York: Routledge

8.

(1995) Film Body,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9.

Writing the Boundaries of the Divided Nation: The Works of Son Chang-sop, Ch'oe In-hun, Nam Chong-hyon, and Lee Ho-chul,

10.

(1995) 'Surge and Splendor': A Phenomenology of Hollywood Historical Epic,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11.

(1995) 'Surge and Splendor': A Phenomenology of Hollywood Historical Epic,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