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1950년대 신문소설의 위상

The Status of the 1950's Novels Serialized in Newspaper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7, v.0 no.17, pp.7-41
https://doi.org/10.18856/jpn.2007..17.001
김동윤 (제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1950년대 신문소설의 경우 신문의 상업주의 경향과 작가들의 대응, 영화와의 교섭 등을 살펴보면 유의미한 현상들을 발견할 수 있다. 1950년대는 신문매체가 막강한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상업주의를 노골화한 시기였는데, 신문사에서는 신문소설을 통해 신문판매고를 신장시키기 위해 인기작가의 유치, 연재예고와 같은 광고기사의 적극적 활용, 비인기 소설의 퇴출(연재중단) 등의 전략을 구사했다. 이에 작가들은 신문사의 상업주의와 적당한 지점에서 타협하면서 독자들의 반응에 민감한 태도를 보였다. 대개의 경우 예술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추구하려는 노력을 보였지만, 노골적으로 소설이 게재되는 신문을 홍보하기도 하였고, 관능성감상성야만성 등의 통속적 요소를 부각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당시 신문소설이 한국영화와의 교섭에서 주도적 역할을 했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국영화의 전성기를 이뤄간 1950년에서 특히 인기가 높았던 멜로드라마는 신문소설을 원천으로 삼은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신문소설이 한국영화의 대중성 확보에 크게 기여했음을 입증하는 사실이다. 이처럼 1950년대의 신문소설은 상업주의적 경향을 보이는 가운데 독자들에게 가장 큰 인기를 누렸고, 영화 등의 대중예술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더욱이 1950년대 신문소설이야말로 당시 세태를 잘 반영한 사회소설이기도 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한국의 문학사 혹은 예술사에서 1950년대 신문소설의 위상은 퍽 굳건하다고 할 수 있다.주제어1950년대, 신문소설, 상업주의, 연재예고, 작가, 영화와의 교섭

keywords
in the 1950s, newspaper novel, commercialism, advertorial, author, connection with movies, 1950년대, 신문소설, 상업주의, 연재예고, 작가, 영화와의 교섭

Abstract

It is meaningful to explore commercial trends of newspapers, writers' responses, and connection with movies when studying the 1950's novels serialized in newspapers. In the 1950s, newspapers had an enormous social influence, and their commercialism became conspicuous. In order to increase sale figures, newspaper companies adopted strategies of attracting brand-name authors, taking advantage of advertorials, and eliminating unpopular novels. Writers sensitively responded to readers' responses while compromising with the commercialism. Most of them showed efforts to persue artistry and popularity simultaneously, but some authors openly promoted newspapers where their novels were serialized, or brought into relief vulgar factors such as sensuality, sentimentality, and brutality. In addition,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fact that newspaper novels played a leading role in having connection with films. In the 1950s, the heyday of Korean movies, melodramas were often the source of newspaper novels. This is the evidence to prove the novels' contribution to helping Korean movies securing a popular base. Like this, the 1950's novels serialized in newspapers were quite a splash with the commercialism, and had quite an influence on popular arts. Moreover, it is safe to say that the 1950's newspaper novels has a solid statu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or art in that they are social novels that reflects then social conditions.

keywords
in the 1950s, newspaper novel, commercialism, advertorial, author, connection with movies, 1950년대, 신문소설, 상업주의, 연재예고, 작가, 영화와의 교섭

참고문헌

1.

(2007) 한국대중매체사, 인물과사상사

2.

(1991) 한국의 대중문화,

3.

(2001) 신문소설의 재조명, 예림기획

4.

(2004) 우리 소설의 통속성과 진지성, 리토피아

5.

(2006) 한국근대 신문연재 역사소설의 기원과 계보,

6.

(2006) 한국의 근대 신문과 근대 소설, 현대소설학회

7.

(2003) 제1공화국시기 수용자의 매체 접촉경향, 한국언론학회

8.

(1989) 한국영화 70년-대표작 200선, 영화진흥공사

9.

‘서울신문’과 집필거부와 나,

10.

(2003) 문학과 문화이론, 경문사

11.

(2004) 1950년대 한국 멜로드라마 분석,

12.

(1996) 1970년대 신문연재소설 연구,

13.

(1959.4.15) 신문소설과 그 위치―문학성과 통속성을 가, 서울신문

14.

(1956.7) 농민문학을 제안―민족문학의 제재를 넓힌다?, 자유문학

15.

(2000) 한국영화사에서 여성관객의 영화관람경험 연구―1950년대 중반에서 1960년대 초반을 중심으로, 박사논문

16.

(2002) 1950년대의 감독 연구―홍성기 감독의 신문소설의 영화화 경향을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17.

창작 여담―‘제이의 청춘’을 쓰고 나서, 신문예

18.

(1998) 궁핍한 시대의 희망, 영화, 열화당

19.

소설과 현실,

20.

(1981) 한국언론제도의 구조에 관한 서술적 고찰, 한국언론학회

21.

(2002) 1950년대 후반기 한국영화산업형성의 생성메커니즘 연구,

22.

(2006) 1950년대 후반기 신문소설의 각색과 멜로드라마의 분화, 한국영화학회

23.

(1957.9) 문학과 신문문화면(좌담), 자유문학

24.

(1998) 1950년대 미국의 교육원조와 친미 엘리트의 형성, 역사비평사

25.

(1999) 대중문학이란 무엇인가, 청예원

26.

(1995) 조선후기의 대중소설, 태학사

27.

(2007) 완판 영웅소설의 대중성, 소명출판

28.

(1997) 자료로 본 한국영화사2,

29.

(2002) 한국영화 성장기의 토대에 대한 연구―동란기 한국영화 제작을 중심으로,

30.

(1989) 1950년대 한국신문의 구조적 성격에 관한 연구,

31.

(1990) 매스미디어와 사회,

32.

(2004) 해방 이후 대구경북 지역 신문연재소설에 대한 발굴조사 연구, 대문학이론학회

33.

(2004) 해방 이후 대구경북 지역 신문연재소설에 대한 발굴조사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