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1950년대 역사영화의 역사소설 수용 연구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the Historical novelappeared in the 1950's Historical film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7, v.0 no.18, pp.155-189
https://doi.org/10.18856/jpn.2007..18.005
박유희 (고려대학교)

초록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the Historical novelappeared in the 1950's Historical film Park, Yuhee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ceptance aspects of the historical novel apeared in the 1950's historical film and to lok into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popular narative convention in the historical film which has effected the recent historical fiction such like novel, film, drama. The historical novel has formed as a popular narative genre from late 1920s till 1930s. The story list, narrative conventions, and storytelling methods of the historical novel were accepted by the 1950s historical film actively. This process were connec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historical film genre convention. Especially 1950s historical films show acompound tendency of melodrama, literary film, action film as well as a fidelity to an original work.These characteristics reveal through the historical film of Sin, sang-ok who is the most representative historical film director in Korea. His 1950s historical films shows a experimental tendency of genre and art. This is very different spot from his 1960s historical film which are strengthened by melodrama convention. In c o n c l u s i o n , t h e a c e p t a n c e o f h i s t o r i c a l n o v e l i s e s e n t i a l to the formation of the historical film convention and has an important meaning 1950년대 역사영화의 역사소설 수용 연구 189in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fiction narrative which reign Korean film narrative until now as one of the most powerful narrative formula. Key WordsHistorical novel, Historical film, Historical fiction, Narrative, Story, Storytelling, Convention, Genre, Literary Film, Melodrama월 23

keywords
Historical novel, Historical film, Historical fiction, Narrative, Story, Storytelling, Convention, Genre, Literary Film, Melodrama, 역사소설, 역사영화, 역사허구물, 서사, 이야기, 이야기하기, 관습, 장르, 문예영 화, 멜로드라마

Abstract

이 글은 1930년대를 중심으로 1920년대 후반부터 1940년대 초반까지 번성한 역사소설이 영화 장르의 형성기인 1950년대 역사영화에 수용된 양상을 살펴 역사영화 장르의 형성 과정에서 역사소설이 미친 영향을 밝히고, 나아가 이러한영향 관계를 통해 형성된 서사 관습이 이후 역사허구물의 전개 과정에서 가지는의미를 가늠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역사소설의 서사가 역사영화로 승계(承繼)되고 변개(變改) 되는 양상에 주목한다. 일반적으로 ‘역사영화’ 혹은 ‘사극영화’라 불리는 영화는 한국에서 멜로드라마와 더불어 가장 생명력이 강한 장르이다. 이러한 역사영화 장르는 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활발하게 제작되며 확립된다. 이때 지금까지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레퍼토리가 구성되고 이후 역사영화의 관습이 형성되며 이러한 관습은 다시 역사허구물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친다. 여기에서 주목할 만한 사실은 역사영화의 형성 과정에서 서사의 초안으로 작용했던 것은 역사소설이었다는 점이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1950년대의 역사영화는 전반적으로 원작에 충실하려는 경향을 드러내면서도 원작이 내장한 멜로드라마적 특성은 약화시키고 있는 측 면을 보여준다. 이는 박종화의 소설이 원작으로 채택되지 않고 김동인의 젊은그들과 현진건의 무영탑이 원작으로 채택된 것에서부터 드러난다. 두 소설은 일제강점기 역사소설에서 주요한 서사 중의 하나인 낭만적인 연애담을 보여주면서도 비적대적인 갈등으로 전개되다 해소되고 마는 대표적인 소설에 속하기 때문이다. 영화 <젊은 그들>과 <무영탑>은 그나마 소설 속에 있는 갈등마 저도 오히려 약화시켜 수용하면서 독자적인 영화로서의 길을 모색한다. 그 안에는 장르, 작가주의, 새로운 영화 형식에 걸친 다양한 실험이 혼성되어 있다. 이는 장르 영화, 문예영화 등의 구분이 미분화된 상태에서 이루어진 현상으로 추론되며 그렇기에 더욱 다양한 가능성을 내재하면서 독특한 분위기를 형성하고있어서 매혹적인 부분이기도 하다. 이러한 경향은 1960년대에 장르가 확립되고 문예영화가 본격적으로 양산되 면서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든다. 오히려 역사소설에서 통속성으로 비판받던 요소들이 적극적으로 수용되며 대중의 기대지평에 부합해 가는 것이다. 1960년대이후 궁중 비사 중심의 역사영화가 번성한 것은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설의 영화화는 소설의 통속화로 인식되곤 한다. 그러나 이미 신문연재소설이 본령을 이루는 장편역사소설 안에는 대중적인 서사관습이 내 장되어 있다. 낭만적 인물, 선악 구도, 극단적 갈등, 여성의 수난, 수용자의 일관된 관심을 지속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갈등의 설정과 매 회 몰입을 이끌어내기위한 자극적인 장치의 배치 등은 이미 장르영화의 서사관습과 맞닿는 대중적인서사관습인 것이다. 역사소설 형성기의 역사소설들에서 이미 이러한 관습이 함께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관습적 요소들은 이후 영화로 수용되는 과정 속에서 약화되기도 하고 강화되기도 하며 역사영화의 서사 관습으로 재구성된다. 1950년대 역사영화는 이러한 서사관습의 재구성 과정에서 의미 있는 지점들을 보여주는 것이다.

keywords
Historical novel, Historical film, Historical fiction, Narrative, Story, Storytelling, Convention, Genre, Literary Film, Melodrama, 역사소설, 역사영화, 역사허구물, 서사, 이야기, 이야기하기, 관습, 장르, 문예영 화, 멜로드라마

참고문헌

1.

김동인, 젊은 그들...,

2.

이광수, 단종애사..,

3.

이광수, 마의 태자...,

4.

이태준, 왕자 호동...,

5.

이태준, 황진이...,

6.

현진건, 무영탑...,

7.

현진건, 선화공주...,

8.

김성민, (1956) <막난이 비사>,

9.

김소동, (1956) <왕자호동과 낙랑공주>,

10.

신상옥, (1955) <젊은 그들>,

11.

신상옥, (1959) <독립협회와 청년 리승만>,

12.

윤봉춘, (1959) <한말 풍운과 민충정공>,

13.

이병일, (1956) <시집가는 날>,

14.

이태환, (1958) <왕자 미륵>,

15.

전창근, (1956) <단종애사>,

16.

정창화, (1957) <풍운의 궁전>,

17.

강영주, (1991) 한국역사소설의 재인식,

18.

고철훈, (2005.5) 작가의 의도가 투영된 역사소설 무영탑의 인물 형상,

19.

공임순, (2000) 우리 역사소설은 이론과 논쟁이 필요하다, 책세상

20.

곽차섭, (2000)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1.

김남천, (1939.3.) 장편소설계.. ..昭和十四年版 朝鮮文藝年鑑,

22.

김동인 외, (1937.7.) 문학 문제 평론회,

23.

김수남, (2003) 한국영화감독론, 지식산업사

24.

김윤식, (1985.6.) 우리 역사소설의 4가지 유형,

25.

김윤식, (1986) 한국 근대 소설사 연구,

26.

김종원, (2005) 우리영화 100년, 현암사

27.

김화, (2003) 새로 쓴 한국영화 전사, 다인미디어

28.

대중서사장르연구회, (2007)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1.멜로드라마, 이론과실천사

29.

대중서사학회, (2003) 역사소설이란 무엇인가, 예림기획

30.

도스,프랑수아, (1998) 조각난 역사, 푸른역사

31.

문재철, (2002) 영화적 기억과 문화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32.

박아나, (2003.6) 1952년에서 1975년까지의 신상옥의 영화제작과 장르(멜로드라마, 사극) 연구,

33.

박유희, (2005.5) 1950년대 영화 서사의 장르적 성격 연구, 국어국문학회

34.

박유희, (2005.12) 자유부인에 나타난 1950년대 멜로드라마의 변화, 문학과영상학회

35.

박유희, (2005) 디지털 시대의 서사와 매체, 도서출판 동인

36.

박유희, (2006.3) 예술에 대한 메타텍스트로서의 두 역사극: 왕의 남자와 음란서생, 문예연구사

37.

박유희, (2006.12) 최근 역사물에 나타난 서사 재구성의 의미: 고구려 관련 역사극 <주몽>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학회

38.

박유희, (2006.12) 영화 원작으로서의 한국소설, 대중서사학회

39.

박유희, (2006.12) 1960년대 문예영화에 나타난 매체 전환의 구조와 의미, 한국현대소설학회

40.

박종화, (1940.10.) 역사소설과 고증,

41.

박진, (2005.11) 우리는 왜 팩션에 열광하는가?, 문학과지성사

42.

박진, (2005.12) 역사 서술의 문학성과 역사소설의 새로운 경향, 국어국문학회

43.

백문임, (2003) 1950년대 후반 ‘문예’로서의 시나리오의 의미, 도서출판 소도

44.

샤오평,루, (2001.7) 역사에서 허구로, 도서출판 길

45.

신상옥, 신상옥 감독의 영화인생 50년[1]..,

46.

(2001.11.16) http://www.cine21.com/index/magazine,

47.

안진수, (2007.6) 역사의 부담과 작인성의 딜레마: 1960년대 사극영화의 역사적 상상력에 대하여, 대중서사학회

48.

영화진흥공사 편, (1989) 한국영화 70년 대표작 200선,

49.

이길성, (2001) 사극과 역사인식의 문제, 도서출판 소도

50.

이영일, (2004) 한국영화전사, 도서출판 소도

51.

이재선, (1991) 현대 한국소설사,

52.

이재선, (1999) 현대 한국문학 100년, 민음사

53.

이태준 외, (1936.11.) 장편작가회의,

54.

이호걸, (2003) 1950년대 사극영화와 과거재현의 의미, 도서출판 소도

55.

이효인 편저, (1994) 한국의 영화감독 13인론,

56.

임규찬, (2005.12) 역사소설의 최근 양상에 관한 한 고찰, 국어국문학회

57.

정종화, (1997) 자료로 본 한국영화사, 열화당

58.

정한숙, (1982) 현대한국문학사,

59.

조동일, (1994) 한국문학통사5,

60.

현진건, (1939) 역사소설 문제,

61.

호현찬, (2000) 한국영화 100년, 문학사상사

62.

화이트, (1991) 19세기 유럽의 역사적 상상력,

63.

황혜진, (2004.1) 사극영화의 새로운 매혹, 과거와 현재의 대화를 넘어서, 한국영화평론가협회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