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1960년대 문예영화의 원작소설 연구

Adaptation of Novels in Korean Literary Films of the 1960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8, v.0 no.19, pp.127-157
https://doi.org/10.18856/jpn.2008..19.004
김종수 (경희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It is a peculiar phenomenon in Korean film history that Korean literary films of the 1960s drawn by national policy and producing capitalists had been popular. The novels had been applied to literary films in order to guarantee popularity and art. It could be roughly classified to four types for the novels applied to literary films were became popular in the 1960s. There are enlightenment stories and love stories, historical novels, local color stories, War and Postwar Stories as well. These novels had extended from 1917 till the latter of 1960s, which had been included popular appeals for audiences as well as film-industrial demands. In spite of national interferences and conspicuous claim for profits, it had been contributed to making Korean diverse films through providing stable storyline and leading film techniques the novels had applied to literary films in the 1960s. After the 1960s, most of Korean have found that the novels applied to literary films were representatives of Korean novels, for the novels had many chance to contact with the populace through the literary films.

keywords
Korean Literary Films of the 1960s, Original Novels, Enlightenment Stories and Love Stories, Historical Novels, Local Color Stories, War and Postwar Stories, 1960년대 문예영화, 원작소설, 계몽·연애소설, 역사소설, 향토적 서정소설, 전쟁및 전후 사회 탐색 소설

참고문헌

1.

권명아, 「문예영화와 공유기억 만들기』,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한국문학연구』26호, 2003. 123-148쪽.

2.

김남석, 「1960년대 후반 문예영화 시나리오의 회상 기법 연구』, 『민족문화연구』38, 2003. 1-32쪽.

3.

김명석, 「김승옥 소설 「무진기행」과 영화 <안개> 비교연구』, 『현대소설연구』, 23호, 2004. 415-439쪽.

4.

김미현 책임 편집, 『한국영화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5.

김소연 외, 『매혹과 혼돈의 시대:1950년대의 한국영화』, 소도출판사, 2003.

6.

김수남, 「윤백남의 영화인생 탐구』, 『청예논총』9집, 1995. 341-356쪽.

7.

김수남, 『한국영화감독론』2, 지식산업사, 2003.

8.

김수영, 「<문예영화> 붐에 대해서』, 『창작과비평』6호,1967.5. 276-280쪽.

9.

김수용, 「영화적 시간·공간-<갯마을>의 공간구성과 <안개>의 시간구조 연구』,『예술논문집』32, 1993.12. 27-41쪽.

10.

김종원, 『영상시대의 우화』, 제3기획, 1985.

11.

김주현, 「1960년대 ‘한국적인 것’의 담론 지형과 신세대 의식』, 『상허학보』16 집, 2006. 379-410쪽.

12.

김중철, 「매체 전이와 이야기 변형에 대한 사회문화적 고찰』, 『한국언어문학』62, 2007. 378-398쪽.

13.

노지승, 「1960년대, 근대소설의 영화적 재생산 양상과 그 의미』, 『한국현대문학 연구』20, 2006. 503-534쪽.

14.

박유희,「1960년대 문예영화에 나타난 매체전환의 구조와 의미- <오발탄>과 <사랑방손님과 어머니>를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32호, 2006. 167-193쪽.

15.

박유희, 「1950년대 역사영화의 역사소설 수용 연구』, 『대중서사연구』18집, 2007. 155-187쪽.

16.

박헌호, 『한국인의 애독작품-향토적 서정소설의 미학』, 책세상, 2001.

17.

백문임, 『형언-문학과 영화의 원근법』, 평민사, 2004,

18.

변재란, 「1950년대 감독 연구』, 『영화연구』20, 2002.184-209쪽.

19.

안병섭, 「김수용과 문예영화-[웃음소리], [물보라], [망명의 늪]을 중심으로』, 『공연예술연구소 논문집』1, 1995. 127-142쪽.

20.

이길성, 「1950년대 후반기 신문소설의 각색과 멜로드라마의 분화』, 『영화연구』30, 2006.195-221쪽.

21.

이영일, 『개정증보판 한국영화전사』, 소도출판사, 2004.

22.

이재선, 『한국 현대소설사』, 민음사, 1991.

23.

이진·최미애·천미현, 「1960년대 한국영화의 장르와 사회사』, 『영화학보』5권 1호, 동국대 연극영화과, 1994. 77-142쪽.

24.

이호걸, 「1950년대 사극 영화와 과거 재현의 의미』, 『매혹과 혼돈의 시대』, 소도출판사, 2003, 174-201쪽.

25.

이효인,「1960년대 한국영화』, 한국영상자료원 편,『한국영화사 공부』, 이채, 2004. 9-36쪽.

26.

정종화,「1960-70년대 한국영화기술사』, 한국영상자료원 편, 『한국영화사공부』, 이채, 2004.223-252쪽.

27.

조현일, 「소설의 영화화에 대한 미학적 고찰-60년대 문예영화 <오발탄>과 <안개>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23호, 2004.241-273쪽.

28.

주유신 외, 『한국영화와 근대성』, 소도출판사, 2001.

29.

하길종, 『사회적 영상과 반사회적 영상』, 전예원, 1981.

30.

홍소인, 「문예영화에서의 남성성 연구-1966~1969년까지의 한국영화를 중심으로』, 중앙대석사학위논문, 2003.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