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한국 모더니즘 영화의 재구성

Reconfiguring Korean Modernist Film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8, v.0 no.19, pp.95-126
https://doi.org/10.18856/jpn.2008..19.003
이선주 (한양대학교)

Abstract

The 'modernist film' or 'art cinema (yesul-younghwa)' discourse in Korean cinema has not been genealogically studied because the tradition of self-consciousness about film form or film as a medium has remained slim on the whole throughout its history. Faced with this scarcity, my study aims at shedding light on the ways in which Korean film criticism of the 1960s imagined the 'art cinem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scourses on The Foggy Town (Angae, directed by Kim Soo-yong, 1967), still known as "a masterpiece of Korean modernist film." I would eschew an aesthetic approach to The Foggy Town which tends to enshrine it in the pantheon of 'auteurist/modernist film'; investigating the ways in which multiple agencies that constituted Korean cinema of the 1960s―industry, policy, film culture, director, and criticism―were intertwined, I would instead reposition it within the historical dynamics of the time when it was released and gained remarkable popularity. In doing so, I would also reach out to historically reconstructing the tradition of Korean modernist film which had presumptively ceased to exist for thirtyyears until The Day a Pig Fell into a Well (Doejiga umul-e ppajin nal, directed by Hong Sang-soo) came out in 1996. The aspiration of world cinema during the 1960s to its 'newness,' exemplified by the French nouvelle vague, lead to the paradigm shifts in the film history: the advent of the auteur's age and the emergence of art cinema. Unlike its antecedent of the 1950s, Korean film criticism of the 1960s strived to catch up with this current of the world cinema as The Foggy Town was produced. I would argue that The Foggy Town must be conceived as an 'incoherent text,' inasmuch as it leaves coexisting a few aspects that revolved around Korean cinema of that time―realism, modernism, genericity, and popularity―therefore shaping itself as the mixture of the industrial elements of high-concept film [gihoek-younghwa] and the aesthetic elements of art cinema (yesul-younghwa)―what I would call 'high-concept-art film' (gihoek-yesul-younghwa). In this sense, what makes The Foggy Town interesting and rich lies not in its direct imitation of Western modern cinema, but in the tension where its heterogeneous elements aforementioned collided and negotiated with each other in the tradition of Korean cinema. Paying close attention to that tension, I would claim that it was the point of contradiction and fissure between the desire for the new art cinema and the components of existing popular genre film where modernity in Korean cinema was revealed.

keywords
Korean cinema, the 1960s, The Foggy Town [Angae], Kim Soo-yong, A journey to Mujin [Mujin-gihaen], Kim Seung-ok, modernism, art cinema [yesul-younghwa], film criticism, high-concept-art film [gihoek-yesul-younghwa], 한국영화, 1960년대, <안개>, 김수용, <무진기행>, 김승옥, 모더니즘, 예술영화, 영화비평, 기획예술영화

참고문헌

1.

「영화예술』1965년 4월호, 6월호, 12월호, 1966년 9월호.

2.

「여원』통권 146호, 1967. 10.

3.

「씨네 21』2002년 7월 26일 ‘기획영화10 년,충무로의 빅뱅을 돌아보다(4)’, 2002년 3월 29일 ‘김소희의 <생활의 발견>론: 더욱 홍상수답게, 더욱 사소하게’.

4.

「키노』1997년 1월호 ‘주목할 만한 데뷔작-내일의 작가주의’.

5.

「경향신문」, 1967년 10. 28, 8면, 1967년 11월 3, 4면.

6.

「동아일보」, 1967. 11. 4, 5면.

7.

「한국일보」, 1967. 11. 2, 6면.

8.

김동호 외, 「한국영화정책사」, 나남출판, 2005.

9.

김선아, 『근대의 시간, 국가의 시간: 1960년대 한국영화, 젠더 그리고 국가권력 담론』, 「한국영화와 근대성」, 도서출판 소도, 2001. 47-84쪽.

10.

김소연 『<오발탄>은 어떻게 “한국 최고의 리얼리즘 영화”가 되었나?』, 「계간

11.

영화언어」, 2004년 봄호, 미디어 2.0. 160-183쪽.

12.

김소연 외, 「매혹과 혼돈의 시대」, 도서출판 소도, 2003.

13.

김소영, 「시네마, 테크노 문화의 푸른 꽃」, 열화당, 1996.

14.

김수남, 「한국영화 감독론 2」, 지식산업사, 2003.

15.

데이비드 보드웰, 오영숙·유지희 옮김, 『예술영화 내레이션』, 「영화의 내레이션 2」, 시각과 언어, 2007. 151-228쪽.

16.

로빈 우드, 『불균질적 텍스트:70년대의 내러티브』, 「베트남에서 레이건까지」, 시각과 언어, 1994. 68-95쪽.

17.

문재철, 『한국 영화비평의 타자성과 콤플렉스: 50년대 후반에서 70년대까지의 리얼리즘 담론의 ‘상상성’을 중심으로』, 「한국영화의 미학과 역사적 상상력」, 도서출판 소도, 2006. 37-55쪽.

18.

미츠히로 요시모토, 『민족적/국제적/초국적: 트랜스 아시아 영화의 개념과 영화 비평에서의 문화정치학』, 김소영 편저, 「트랜스:아시아 영상문화」, 현실문화연구, 2006. 275-293쪽.

19.

박유희, 「서사의 숲에서 한국영화를 바라보다」, 다빈치, 2008.

20.

박지연, 『1960년대 한국영화 정책과 산업의 명암: 김수용 감독의 필모그라피를 중심으로』, 웹진 <필름저널> www.filmjournal.org 4호, 2001년 가을호.

21.

변인식, 「영화미의 반란」, 태극출판사, 1972.

22.

안병섭, 「영화적 현실, 상상적 현실」, 원민, 2006.

23.

오영숙, 『한국 영화의 근대성에 관한 소고』, 「영화연구 19호」, 2002, 191-219쪽.

24.

이길성, 「근대의 풍경」, 도서출판 소도, 2001.

25.

이영일, 「한국영화전사」(개정증보판), 도서출판 소도, 2004.

26.

이효인, 『한국영화의 근대성 연구 서설』, 경성대 연극영화학과 석사논문, 1996.

27.

제프리 노웰 스미스, 이영아 외 역, 『예술영화』, 「옥스퍼드 세계영화사」, 열린책들, 2005.

28.

해리 하르투니언, 「역사의 요동」, 휴머니스트, 2006.

29.

홍소인, 『문예영화에서의 남성성 연구: 1966-1969년까지의 한국영화를 중심으로』,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석사논문, 2003.

30.

Miriam Bratu Hansen, “The Mass Production of the Senses: Classical Cinema as Vernacular Modernism,” Modernism/modernity, vol. 6, no. 2 (April 1999), pp. 59-77.

31.

Steve Neal, “Art Cinema as Institution,” Screen, vol. 22, no. 1, 1981, pp. 11-39.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