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TV 드라마 <마왕>의 추리 서사적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 Detective Narrative in TV Drama <The Devil>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8, v.0 no.20, pp.135-168
https://doi.org/10.18856/jpn.2008..20.005
문선영 (한림대)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TV 드라마 <마왕>은 추리 서사 요소와 특징을 지닌 드라마이다. <마왕>은 구조, 인물형, 소재적 차원 등에서의 변화를 활용하여 독특한 장르 드라마를 시도 했다고 보인다. 이는 연속극 형태 안에서 추리 서사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수수께끼 플롯과 복수플롯의 이중구조를 활용함으로써 흥미, 긴장감을 유지한 점에서 살펴 볼 수 있다. <마왕>은 살인 사건을 중심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범인을 검거하는 과정을 풀어가는 수수께끼 플롯이 중심을 이룬다. 그러나 ‘범인이 누구인가’에 초점을 둔 문제해결 방식에 그치지 않고 ‘사건의 동기, 과정’ 에 중심을 둔다. 여기서 종결되지 않는 사건, 증폭되는 의문, 문제해결 지연이 반복된다. 이와 같은 반복은 복수플롯이라는 또 다른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작품은 전통적 추리 서사에서 요구하는 인물의 역할 범주를 이탈하여 변화된 인물형을 보여 주고 있다. 형사, 범인의 선악 대립 구도를 깨뜨리고 관계의 역전을 통해 고정적 역할에서 벗어나게 해주고 있다. 결국 대립적 인물이 동일화 되는 과정을 통해 선과 악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이는 ‘싸이코 메트리’ 라는 독특한 소재 활용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마왕>에서 사건해결과 관련하여 ‘싸이코 메트리’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작품에서 실질적으로 사건의 단서를 추리, 분석하는 인물은 싸이코 메트러이다. 싸이코 메트러가 제공하는 정보들은 의문을 증폭시키기도 하고, 예측결과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게도 한다. 이 점은 보다 다양한 예측 결과들의 가능성을 열어둠으로써 호기심을 자극하고 긴장감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선악 자체에 대한 진지한 질문을 던짐으로써 추리장르의 일반적인 특징인 오락성, 대중적 흥미 유발이라는 차원을 넘어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시도를 보여 주고 있다. 이는 텔레비전 드라마에서의 장르 개발측면에서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 할 수 있으며, 다양화 된 드라마의 가능성을 열어 둔 시도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추리서사, 이중구조, 수수께끼 플롯, 복수플롯, TV 드라마, 마왕, 싸이코 메트리, Detective Narrative, Dual structures, the condensed water pole, TV drama, psycho maul tree, memory

Abstract

TV drama <The Devil> is the ratiocination style drama which changes a traditional ratiocination format. As the drama which applies the rule which is official the existing investigation pole is tracking, explanation and event solution of the criminal one many sides applied the change from structure, the person style and subject matter dimension etc. and attempted the style drama of a more different dimension, is visible. <The Devil> solves a problem in the center of homicide accident and arrests the criminal the process which releases and is a ratiocination pole of riddle structure. But it pointed who is the criminal not the process and method. From here the event which happens chain, the doubt which is amplified, the problem solving delay is repeated. Also this work is disconnected and role category of the person which demands from traditional ratiocination narration the person style which changes is to seem. The process where the opposing person is identified finally leads and proposes a doubt about the line and evil. With the subject matter which is unique `psycho maul trees ' is this combines and raises the distinction characteristic of the different ratiocination pole. From relates with an event solution and `psycho maul trees ' major role. The psycho maul sprouts to read and the afterimage in the criminal case which solves a problem with end is delivered, in the watching person the gap between of the hero and the viewer originates because being presented time. Therefore with asking the question which is sincere about good and evil oneself, the entertainment which is a feature which ratiocination style is general, goes over the dimension which is a popular interest mortar indication curiosity the insect family hour height is to seem reading. This will be able to give meaning which is affirmative from the style development side from teleplay, puts the questionable matter will be possibility from the point which is a reading to open the possibility of the drama which had become diversification.

keywords
추리서사, 이중구조, 수수께끼 플롯, 복수플롯, TV 드라마, 마왕, 싸이코 메트리, Detective Narrative, Dual structures, the condensed water pole, TV drama, psycho maul tree, memory

참고문헌

1.

김남훈, 「<마왕> 미궁으로 인도하는 Keyword」, 드라마틱 20호, 페이퍼하우스, 2007, 40~45쪽.

2.

김소은, 「TV 드라마 <마왕>의 쇼트 및 시점 구성 방식 연구」, 한국극예술연구 27집, 한국극예술학회, 2008, 341~382쪽.

3.

도정일, 「20세기의 오이디푸스」, 문학동네 1997, 가을, 454~465쪽.

4.

박광자, 「패터누써의 추리문학론」, 뷔히너와 현대문학 , 한국뷔히너학회, 1989, 209~219쪽.

5.

백대윤, 「한국추리서사의 문화론적 연구」, 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4~187쪽.

6.

이정옥, 「1950~60년대 추리소설의 구조 분석」, 현대문학이론연구 , 현대문학이론학회, 2001, 183~202쪽.

7.

이정옥, 「추리소설과 게임의 플롯」, 현대소설의 플롯의 시학 , 한굿소설학회 편, 태학사, 1999, 197~217쪽.

8.

왕치현, 「기억, 현재 그리고 모델- 프리쉬의 드라마 <안도라>의 구조」,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한국브레히트학회, 2007, 226~245쪽.

9.

정항균, 「추리소설의 경계 변천 고찰(1)」, 뷔휘너와 현대문학 26집, 2006, 167~201쪽.

10.

대중문학연구회(편),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 국학자료원, 1997.

11.

B. 아스무트, 송전 역, 드라마 분석론 , 서문당, 2000.

12.

이브 뢰테르, 김경현 역, 추리소설 , 문학과지성사, 2000.

13.

윤석진, 김삼순과 장준혁의 드라마 공방전 , 북마크, 2007.

14.

슬라보예 지젝, 김소연․유재희 역, 삐딱하게 보기 , 시각과언어, 1995.

15.

정항균, 무네모시네의 부활 , 뿌리와이파리, 2005.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