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가족무대(Familien Bühne)를 통한 새로운 가족정체성의 탐구 -박근형의 작품을 중심으로-

The Quest of family-identification and parafamily in Familien Bühne -with the theater of Park Gun-Hyung-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9, v.0 no.21, pp.279-313
https://doi.org/10.18856/jpn.2009..21.008
김기란 (연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is dissertation intends to examine the multicultural situation in Korea with the theater of Park Gun-Hyung from 1989 to 2009. Park Gun-Hyung is worth noticing as the most outstanding play writer and theater director. Though many critics have been judged his works as rediscovery of everyday life, I intend to notice them as the family narrative. Family is the basic factor in everyday life, which is revealed through the family relations ; that is, everyday life consist of family relations. This is the reason why I regard his works as the family narrative. Family narrative is the strategy to come out individual identification in society. This is the point I will notice in his work. To examine the multicultural situation in the korean society, we must his ten-year-work which have been questioned family identification in the korean society. For about ten years, Park Gun-Hyung has built strange parafamily in the stage to inquiry what is the meaning of family in our times and the construction process of strange parafamily is performed as the Familien Bühne in the stage. Deconstruction of the traditional family -ideology and construction of new family identification is the important process in the Familien Bühne. Analysing his Familien Bühne in the theater text, I can consider family identification problem and multicultural situation in korean society.

keywords
multiculturalism, culture-identification, family- identification, Park Gun-Hyung, family narrative, Familien Bühne, parafamily, family romance, romantic love, maternity myth, memory, cultural memory, traditional family-ideology, 다문화주의, 문화정체성, 가족정체성, 박근형, 가족 서사, 가족무대(Familien Bühne), 유사가족, 가족로망스, 낭만적 사랑, 오인의 매커니즘, 모성 신화, 기억, 문화적 기억, 전통적 가족이데올로기, multiculturalism, culture-identification, family- identification, Park Gun-Hyung, family narrative, Familien Bühne, parafamily, family romance, romantic love, maternity myth, memory, cultural memory, traditional family-ideology

참고문헌

1.

박근형, ꡔ박근형희곡집 1ꡕ, 연극과 인간, 2007.

2.

박근형 작․연출의 공연

3.

권명아, ꡔ가족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ꡕ, 책세상, 2000.

4.

김미도, 「셰익스피어와 탈식민주의에 대한 단상」, ꡔ연극평론ꡕ, 한국연극평론가협회, 2008년 여름호, 102-4쪽.

5.

김비환, 「한국사회의 문화적 다양화와 사회 통합」,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지역연구소 주최 심포지움 발표문, 2007.

6.

김수정, 「문화 연구에서 ‘정체성’의 문제-정체성 개념의 전제와 비판적 문화시각의 개입」, ꡔ커뮤니케이션학 연구ꡕ, 2005.

7.

김완균, 「다문화주의 시대의 문화상호적 문학텍스트 분석」, ꡔ독일어문학ꡕ제40집, 2008, 27쪽.

8.

김형기, 「다문화 시대 속의 한국연극」, ꡔ연극평론ꡕ, 한국연극평론가협회, 2008년 여름호, 5쪽.

9.

양승국, 「역사극의 가능성과 존재 형식에 대한 소고」, ꡔ한국극예술연구ꡕ제25집, 극예술학회, 2007.

10.

윤호병, 「문화적 기억 : 正體性과 多空性」, ꡔ영미문화ꡕ제2권 1호, 2002, 7쪽.

11.

이상길․안지현, 「다문화주의와 미디어/문화연구」, ꡔ한국언론학보ꡕ제51권, 2007, 75쪽.

12.

이진아, 「탈식민주의 연구방법론 재검토-탈식민지적 상황에서의 한국 연극의 자기재현」, ꡔ현대 문학의 연구ꡕ제34호, 한국문학연구학회, 2008.

13.

이진아, 「한국연극에 있어서 폭력의 문제」, ꡔ연극평론ꡕ, 한국연극평론가협회, 2008년 가을호, 190쪽.

14.

이진오, 「문화충돌 현상의 서사성에 대한 철학적 예비고찰」, ꡔ철학사상ꡕ, 2008, 348쪽.

15.

최영주, 「박근형의 <청춘예찬>에서의 현실주의 상상력과 일상의 재현」, ꡔ한국연극학ꡕ제28호, 한국연극학회, 2006.

16.

최성희, 「‘민족’을 횡단하는 연극-연극의 문화상호주의와 탈민족주의를 생각한다」, ꡔ연극평론ꡕ, 한국연극평론가협회, 2008년 여름호, 95-101쪽.

17.

최성환, 「다문화주의 개념과 전망」, ꡔ철학탐구ꡕ제24집, 2008, 292쪽.

18.

홍경자, 「세계화 시대의 문화정체성 문제」, ꡔ해석학 연구ꡕ제18집, 2006, 174-5쪽.

19.

앤소니 기든스, 배은경․황정미 역, ꡔ현대 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친밀성의 구조 변동ꡕ, 새물결, 2003.

20.

알라이다 아스만, 변학수 외 역, ꡔ기억의 공간ꡕ, 경북대 출판부, 2003.

21.

헬렌 길버트․조앤 톰킨스, 문경연 역, ꡔ포스트 콜로니얼 드라마ꡕ, 소명출판, 2006.

22.

린 헌트, 조한욱 역, ꡔ프랑스 혁명의 가족로망스ꡕ, 새물결, 1999.

23.

팀 에덴서, 박성일 역, ꡔ대중문화와 일상, 그리고 민족정체성ꡕ, 이후, 2008.

24.

Christoph Wulf & Jörg Zirfas, “Die performative Bildung von Gemeinschaften-zur Hervorbringung des Sozialen in Ritualen und Ritualisierungen”, Berlin : Paragrana, 2001, pp.96-7.

25.

Erika-Fischer Lichte, Ästhetik des Performativen, Frankfurt a. M.: Suhrkamp.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