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大東亞’와 스파이 -김내성 장편소설 「태풍」을 통해 본 ‘대동아’의 심상지리와 ‘조선’-

‘The Greater East Asia (大東亞)’ and Spy - Imaginative geography of ‘the Greater East Asia’ and ‘Joseon’ from the viewpoint of Typhoon, a full-length novel written by Nae-seong Kim -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9, v.0 no.22, pp.211-247
https://doi.org/10.18856/jpn.2009..22.008
정종현 (동국대)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마인』에만 집중되었던 식민지 시기 김내성 소설에 대한 연구 관행을 반성하고, 중일전쟁 이후의 탐정소설인 「백가면」(1937), 『마인』(1939), 「태풍」(1942 -43), 「매국노」(1943-44)의 일련의 대중소설을 하나의 계열체로 간주하며 검토하였다. 식민지 후반기에 유행하였던 스파이 담론과 일본 제국의 이데올로기였던 대동아공영권론에 부응하는 김내성의 스파이-탐정소설은 식민자에 대한 모방과 새로운 주체 형성의 욕망이 투영된 대중 서사이다. 특히 본 연구가 중점적으로 분석한 「태풍」은 『매일신보』(1942.11.21~1943.5.2)에 연재된 후 1944년 단행본으로 간행되어 초판 8천여부가 한 달여만에 매진된 인기 대중소설이었다. 이 소설의 내용은 식민지 조선만이 아니라 영국, 프랑스, 인도, 중국 상해 등의 세계 도처를 배경으로 조선인(일본인), 중국인, 서구인 등의 다채로운 인물이 등장 신무기를 둘러싼 첩보전을 벌이는 이야기이다. 이 소설을 통해서 전쟁이 확대시킨 지정학적 상상력과 대동아 전쟁의 이념이 추리라는 대중서사의 코드를 통해서 어떻게 대중과 접속하게 되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진주만 공습, 싱가폴 함락 등으로 이어지는 이른바 ‘緖戰의 승리’의 열기 속에서 창작된 이 소설은 ‘대동아’의 이념을 그대로 재현한다는 점에서 ‘친일적’이라고 비판받아야 마땅하지만, 동시에 ‘대동아’의 중심, 세계 재편의 물리력의 핵심에 조선과 조선인 과학자를 배치함으로써 조선을 새로운 세계의 주체로 기입하고자 하는 식민지인의 식민주체로의 신생의 욕망을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식민지 말기 한국문학의 제국적 주체 형성의 문법을 공유하고 있다. 해방 이후 김내성은 연애소설의 대가로 새로운 명성을 획득했지만, 『청춘극장』(1949)을 비롯한 잡지 『아리랑』 소재의 「붉은 나비」(1955)에 이르기까지 식민지를 배경으로 하는 스파이 탐정소설의 영향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keywords
Nae-seong Kim, Typhoon, spy (discourses), detective, counterintelligence, the Greater East Asia, imaginative geography, detective techniques, imperial subject, gender, 김내성, 「태풍」, 스파이(담론), 탐정, 방첩, 대동아, 심상지리, 추리기법, 제국적 주체, 젠더정치학

Abstract

This study sought to turn from a conventional practice of literary researches into Nae-seong Kim, a Korean modern novelist, which focused only on A Haunted Man , a typical and famous one of his novels written during period of colonized Korea under the rule of imperial Japan. In addition, this study also sought to review his popular novels such as White Mask (1937), A Haunted Man (1939), Typhoon (1942 ~43) and Traitor (1943~44), which are recognized as a series of detective novels written by Kim after the Sino-Japanese War. Kim's spy-detective novels complied with discourses about spy and those about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大東亞共榮圈) as ideology of imperial Japan, which were widely popularized and propagandized in the late of colonial period. His spy-detective novels are recognized as popular epic works that sought to make a model of colonizer and project desires to form a new subject. In particular, Typhoon , one of Kim's novels, as analyzed intensively in this study, was originally serialized in the Korea Daily News(每日新報) (Nov. 21, 1942 to May 2, 1943) and was published as a separate volume in 1944. Then, Typhoon was ranked as such a popular novel as about total 8,000 volumes of its first edition were sold out just in one month after the first publication. Indeed, this novel deserves re-highlighting in the sense that it contains a pile of major characteristics revealed by Kim's detective novels, and also witnesses an aspect of popular novel readers' consciousness in the late of colonial period. But it has been not analyzed or addressed at all in previous studies. The Typhoon has its major framework of epic novel that depicts intelligence war for latest weapons among countries with the appearance of various national characters(Korean, Japanese, Chinese and Western) against a background of worldwide locations like United Kingdom, France, India and Shanghai(China) beyond the boundary of colonized Korea. It indicates how the geopolitical imagination expanded by war and the ideology of the Greater East Asian War could meet the popular tastes with ‘detective’, a code of popular epic literature. This novel was created under the influence of triumph called ‘the victory of early war’ involving Japan's attack on Pearl Harbor and surrender of Singapore. So it deserves criticism for ‘pro-Japanese novel’ in the sense that it reproduces the imperial Japanese ideology of ‘the Greater East Asia’, but it shares a literary rule of composition for creation of subjective personality revealed by Korean modern literature in the late colonial period, because it boldly deploys Korea and Korean scientists in a core of ‘the Greater East Asia’ and physical power for reorganizing world order and thereby reveals a desire for colonized men as subjects of colonized country to take the initiative to build up Korea as a subjective member of new world. After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Nae-seong Kim successfully took a new reputation as a master of Korean modern romance. However, his early spy-detective novels against a background of colonized Korea still had influenced his follow-up epic works such as Story of the Youth and Red Butterfly (1955) based on Arirang .

keywords
Nae-seong Kim, Typhoon, spy (discourses), detective, counterintelligence, the Greater East Asia, imaginative geography, detective techniques, imperial subject, gender, 김내성, 「태풍」, 스파이(담론), 탐정, 방첩, 대동아, 심상지리, 추리기법, 제국적 주체, 젠더정치학

참고문헌

1.

김내성, 「백가면」, 소년 1937. 6~1938. 5.

2.

김내성, 「백가면」, 평범사, 1951.

3.

김내성, 「종로의 범종」, 한일비교문화연구센터, 일본잡지 모던일본과 조선 1939 , 어문학사, 2007,

4.

김내성, 「태풍」, 매일신보 , 1942.11.21-1943.5.2.

5.

김내성, 「매국노」, 신시대 , 1943.7-1944.4.

6.

김내성, 청춘극장 , 청운사, 1949-1952.

7.

권명아, 역사적 파시즘-제국의 판타지와 젠더 정치 , 책세상, 2005.

8.

김종수, 「김내성 소년탐정소설의 ‘바다’ 표상」, 대중서사연구 21, 2009.6, 129-156쪽.

9.

김창식, 「추리소설 형성기의 동향과 김내성의 마인 」, 대중문학연구회편,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 국학자료원, 1997.

10.

김현주, 「김내성 후기소설 <애인>에 나타난 욕망과 윤리」, 대중서사연구 21, 2009.6, 203-236쪽.

11.

윤정한, 「김내성 탐정소설 연구-<마인>을 중심으로」, 문예비평연구 4집, 1999.

12.

이건지, 「일본의 추리소설-反문학적 형식」, 대중문학연구회편,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 국학자료원, 1997.

13.

이영미, 「추리와 연애, 과학과 윤리-장편소설로 본 김내성의 작품세계」, 대중서사연구 21, 2009.6, 7-50쪽.

14.

이정옥, 1930년대 한국 대중소설의 이해 , 국학자료원, 2000.

15.

이호걸, 「김내성의 <청춘극장>과 한국액션영화」, 대중서사연구 21, 2009.6, 157-202쪽.

16.

정종현, 「미국 헤게모니하 한국문화재편의 젠더정치학」, 한국문학연구 , 2008.12, 149-195쪽.

17.

정혜영, 「김내성과 탐정문학-일제시 창작 작품에 대한 서지학적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20집, 2006, 405-433쪽.

18.

정혜영, 「소년 탐정소설의 두 가지 존재 양상」, 한국현대문학연구 27, 2009.4, 63-87쪽.

19.

정혜영, 「방첩소설 <매국노>와 식민지 탐정문학의 운명」, 한국현대문학연구 24, 2008.4, 275-302쪽.

20.

조성면, 대중문학과 정전에 대한 반역 , 소명출판, 2002,.

21.

최승연, 「‘근대적 지식인 되기’를 향한 욕망의 서사」, 대중서사연구 21, 2009.6, 87-128쪽.

22.

최애순, 「1930년대 탐정의 의미 규명과 탐정소설의 특성 연구」, 동양학 42집, 2007.8, 23-43쪽.

23.

최애순, 「30년대 모험탐정소설과 김내성 백가면 의 관계 연구」, 동양학44집, 2008.6, 1-26쪽.

24.

최애순, 「이론과 창작의 조응, 탐정소설가 김내성의 갈등」, 대중서사연구 21, 2009.6, 51-86쪽.

25.

高橋修, 「‘探偵小說’が隱蔽するもの-黑岩淚香 無慘 から內」田魯庵譯 罪と罰 へ」, 中山昭彦‧島村輝‧飯田祐子‧高橋修‧吉田司雄編, 文學の闇/近代の「沈黙」 , 世織書房, 2003.

26.

小林英夫, 日中戰爭と汪兆銘 , 吉川弘文館, 2003.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