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1950년대 장덕조의 라디오소설 연구 -<장미는 슬프다>를 중심으로-

A Study on Jang Deok-jo's Radio Novel in the 1950s - Focusing on “The Roses are Sad”-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9, v.0 no.22, pp.249-282
https://doi.org/10.18856/jpn.2009..22.009
최미진 (부산대학교)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taking a closer look at the background for the creation and the codification mode of the radio novel "The Roses are Sad" written by Jang, Deok-jo. The radio novel of 53 episodes aired every day at 6:30 p.m. for 15 minutes between December 1, 1956 and January 26, 1957 on the <Serial Story> program, and Actress Choi, Eun-hui played reading. Encouraged by the emergence of a new private broadcaster and supported by the initiatives of new broadcasting leadership, the Seoul Central Broadcasting Station first introduced <Serial Novel> Program in the mid-1950s. The first edition of the program "The Roses are Sad" was a prime-time radio show. Even though radio novels at that time were still incomplete as a stand-alone art, "The Roses are Sad" showed some distinctive radio novel formats. For example, the programs used more speaking lines to add more spices to the one-person reading and to arouse listeners' imagination, reduced the number of characters to help listeners to distinguish characters based only on radio actor's voice and easily follow the flow and situation of the story, and cast a persuasive narrator to familiarize listeners with the messages. Its efforts to convey accurate messages served as both an advantage and a limitation. The narrative style of this radio novel featured the grammar patterns of romance stories and contemporary incidents of that time, which were very familiar to listers. Based on this narrative style, it was trying to make the issue of the remarriage of widows with children a public discourse. Love, conflicts and death of the character Roh, Baek-mi called listers' attention to the controversial issue of widows' remarriage. Dominant power at that time strengthened motherhood ideology to disallow their remarriage and this novel conveyed this to listeners as a primary code. There were some minor codes as well. The conflicts in Roh Baek-mi's love repeatedly unfolded, leaving room for consideration, and other negotiable codes proposed by supporting characters could be seen as the necessity to change the predominant code. In addition, if listeners embraced Roh, Baek-mi's death as a paradoxical survival tactic, they could find a hidden defiant code.

keywords
Jang, Deok-jo, radio novels, "The Roses are Sad", Seoul Central Broadcasting Station, <Serial Story> program, widows, remarriage, encode, 장덕조, 『장미는 슬프다』, 라디오소설(라디오 장편소설), 서울중앙방송국(HLKA), <연속소설> 프로그램, 미망인, 재혼, 코드화

참고문헌

1.

장덕조, 장미는 슬프다 , 희망출판사, 1957.

2.

장덕조, 「미망인의 연애문제」, 여원 제2권 제3호, 1956.6.

3.

최요안, 「방송문예의 특색」, 경향신문 , 1951.11.18.

4.

방송 제1권 제2호, 1956년 10월호.

5.

조선일보 , 동아일보 , 한국일보 , 서울신문 (1954~1957)

6.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http://www.kmdb.or.kr

7.

김양선, 「일제말기 여성작가들의 친일담론 연구」, 어문연구 제33집 제3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257~278쪽.

8.

김은경, 「1950년대 가족론과 여성」, 숙명여대 박사학위논문, 2007.

9.

김종욱, 「한국전쟁과 여성의 존재양상」, 한국근대문학의 연구 제5권 제1호, 한국근대문학회, 2004, 229~252쪽.

10.

남금희, 「1950년대 장덕조 신문소설 연구- 대구매일신문 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제20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03, 305~324쪽.

11.

마샬 맥루한, 박정규 옮김, 미디어의 이해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2.

서재길, 「일제 식민지기 라디오방송과 ‘식민지 근대성’」, 사이 창간호,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6, 181~214쪽.

13.

서재길, 「한국 근대 방송문예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7.

14.

서재길, 「 방송지우 와 일제말기 방송소설」, 민족문학사연구 제22호, 민족문학사학회, 2003, 387~408쪽.

15.

송민경, 「일제하 방송소설 연구」,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2003.

16.

윤현자, 「생존전략으로서의 여성의 죽음:공범관계론으로 잉게보르크 바하만 다시 읽기」,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1999.

17.

이강언ㆍ조두섭, 대구ㆍ경북 근대문인 연구 , 태학사, 1999.

18.

이선옥, 친일문학의 내적 논리 , 역락, 2004.

19.

일레인 볼드윈 외, 문화코드, 어떻게 읽을 것인가? , 한울, 2009.

20.

임종국, 친일문학론 , 평화출판사, 1966.

21.

임호영 편역, 스튜어트 홀의 문화이론 , 한나래, 1996.

22.

장은미, 「1950년대 한국 신문의 제도화와 남성의 재공간화 과정」, 서강대 박사학위논문, 2006.

23.

조 리, 「장덕조 소설 연구」, 전북대 박사학위논문, 2007.

24.

최미진, 「1950년대 신문소설에 나타난 아프레걸」, 대중서사연구 제18호, 대중서사학회, 2007, 119~153쪽.

25.

최미진, 「1950년대 장덕조 소설에 나타난 연애와 결혼 - 다정도 병이련가 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제37집, 현대문학이론연구, 2009, 139~163쪽.

26.

최미진, 「한국 라디오서사의 갈래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40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8, 169~193쪽.

27.

한국방송공사 엮음, 한국방송사 , 한국방송공사, 1977.

28.

한명환, 「1950년대 지역신문에 나타난 여성담론 양상연구-영남지역 신문소설의 ‘여성주체’ 개념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제47호, 어문연구학회, 2005, 397~422쪽.

29.

한원영, 한국현대신문연재소설연구 하권, 국학자료원, 1999.

30.

함태영, 「방송과 친일의 만남」, 민족문학사연구 제21호, 민족문학사학회, 2002, 299~313쪽.

31.

Vincent Mclnerney, Writing for Radio, Manchester and New York;Manchester UP, 2001.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