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북한 문화이론의 주요개념에 대한 고찰

Betrachtung über die wichtigen Begriffe der nordkoreanischen Kulturtheorien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9, v.0 no.22, pp.315-344
https://doi.org/10.18856/jpn.2009..22.011
이춘길 (안양대)

초록

북한에서는 해방 직후 일찍부터 출판, 신문, 방송과 연극, 영화, 음악, 문학 등 모든 문화예술 부문들이 인민대중들을 사회주의적으로 교양하고 당과 대중을 연결하는 정치적 무기이며, 경제건설의 과업에 근로대중을 조직 동원하는 선전 선동적 매체라는 점을 강조하고 적극 활용하였다. 북한이 문화예술 전반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문화예술이 대중으로 하여금 지배체제에 자발적으로 동의하게 만드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 문화이론의 전체적 구성은 북한 특유의 지배이데올로기인 주체사상에 기초한 주체적 문화개념에 의해 그 체계과 내용이 규정된다. 본고에서는 북한 문화이론 체계의 기본 토대로서 북한의 주체적 문화개념과 그 이론적 구현인 민족문화론과 계급문화론 등을 고찰하였다. 더불어 북한 문화이론의 실천적 지침이라고 할수 있는 문화혁명론과 최근의 문화적 동향을 살펴보았다.

keywords
Nordkorea, Kultur, Kulturtheorie, Volkskultur, Klassenkultur, Kulturrevolution, 북한, 문화, 문화이론, 민족문화, 계급문화, 문화혁명

Abstract

In Nordkorea wurden alle Kultur- und Kunstbereiche wie z.B. Publikation, Zeitung, Sendung, Theaterstück, Film, Musik, Literatur usw. bereits direkt nach der Befreiung Koreas von Japan als politische Waffe, die die Völker sozialisch bildet und die Partei und die Völker verbindet, sowie als starke propagandistische Medien, die die Arbeiterklasse zu den Aufgaben des Wirtschaftsbaus veranlassen, betont und engagiert angewendet. Der Grund dafür, dass Nordkorea große Interesse an allen Kultur- und Kunstbereichen zeigt, liegt darin, dass Nordkorea sehr gut weiß, dass die Völker durch die Kultur und Kunst freiwillig dem Herrschaftssystem zustimmen. Die Form und der Inhalt der gesamte Konstruktion der nordkoreanischen Kulturtheorien werden durch die subjektiven Kulturbegriffe, die auf die nordkoreanische einzigartige hegemoniale Ideologie, d.h. Juche-Ideologie basieren, festgelegt. In diesem Aufsatz wurden als ideologische Grundlage für die nordkoreanischen Kulturtheorien der subjektive Kulturbegriff in Nordkorea und dessen theoretische Realisierung d.h. Theorien der Volkskultur bzw. Klassenkultur betrachtet. Außerdem wurden die Kulturrevolutionstheorie, die als praktische Leitlinien der nordkoreanischen Kulturtheorien angesehen werden, und die heutigen kulturellen Tendenzen dargestellt.

keywords
Nordkorea, Kultur, Kulturtheorie, Volkskultur, Klassenkultur, Kulturrevolution, 북한, 문화, 문화이론, 민족문화, 계급문화, 문화혁명

참고문헌

1.

강상현 외, 대중매체의 이해와 활용 한나래, 2002.

2.

권영민 외, 「북한 문화예술 연구의 방향」 문화발전연구소, 1990.

3.

김문환, 분단조국과 통일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4.

김일성, 저작선집 조선노동당출판사.

5.

김재용, 북한문학의 역사적 이해 문학과지성사, 1994

6.

김재현, 사상, 기술, 문화의 3대혁명 수행경험 조선노동당출판사, 1986

7.

김정본, 미학개론 사회과학출판사, 1991.

8.

김정일, 음악예술론 조선노동당출판사, 1992.

9.

김정일, 주요 논문집 통일원, 1993.

10.

김정일, 주체문학론 조선노동당출판사, 1992.

11.

김정일, 주체혁명위업의 완성을 위하여 , 조선노동당출판사, 1973

12.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09.

13.

문화체육부, 「김정일 문예관 연구」 1996.

14.

문화체육부, 북한의 문화예술 총람 1993.

15.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편, 북한주민의 일상생활과 대중문화 오름, 2003.

16.

박승덕, 사회주의문화건설이론 사회과학출판사 편, 조국, 1989.

17.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문학예술사전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5.

18.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주체사상에 기초한 문예이론 사회과학출판사, 1975

19.

사회과학원 주체문학연구소 외, 문학예술사전 상 중 하,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3-1993.

20.

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 철학사전 힘, 1988.

21.

사회과학출판사 편, 항일혁명문학예술 갈무지, 1989.

22.

이온죽 외, 남북한사회통합론 삶과꿈. 1997.

23.

이우영, 남북한 문화정책 비교연구 민족통일연구원, 1994.

24.

이우영, 북한 정치사회화에서 전통문화의 역할 민족통일연구원, 1993.

25.

이현주, 북한음악과 주체철학 민속원, 2006.

26.

조선중앙통신사, 조선중앙연감 1949-1990년.

27.

한중모ㆍ정성무, 주체의 문예이론 연구 사회과학출판사, 1983년.

28.

잡지 조선영화 문예출판사.

29.

잡지 조선예술 문예출판사.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