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여순사건과 4월혁명, 혹은 김승옥 문학의 시공간 정치학 - 반공과 자유주의의 길항 관계를 중심으로-

The Yosun Incident and April Revolution, or Spatiotemporal Politics of Kim Seung-ok's Novels - Focused on Antagonistic Relationships Between anticommunism and liberalism -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9, v.0 no.22, pp.7-32
https://doi.org/10.18856/jpn.2009..22.001
김미란 (성균관대학교)

Abstract

In the childhood, Kim Seung-ok had lived in Suncheon and Yeosu, and when he grew to be a novelist, he often chose these small towns for his novels' literary places by representing them in the specific direction. In this paper, I tried to explain the discursive effects of his literary choices. In the concrete, I wanted to investigate the conflicts or antagonistic relationships between the signifying method oppressed by the censorship and anticommunism and his own method as he wished to persue. For this purpose, I took the con/text-reading method because this is a effective Methodological approach to explore author's spatiotemporal politics. And to conclude, I insisted that Yeosu and Suncheon had been political places because of the Yosun Incident before the appearances of Kim Seung-ok' novels. It means he replaced the politically signified Suncheon and Yeosu with the literary places. But this is the narrative strategy to remove the history and ideology. That's why it's the outcome of compromise of the censorship and anticommunism.

keywords
반공, 검열, 자유주의, 여순사건, 한국전쟁, 4월혁명, 여수, 순천, 고향, 시공간 정치학, anticommunism, the Yosun Incident, censorship, liberalism, April Revolution, Yeosu, Suncheon, Spatiotemporal Politics

참고문헌

1.

김승옥, 김승옥 소설전집 1-3, 문학동네, 1995.

2.

김승옥, 뜬세상에 살기에 , 지식산업사, 1977.

3.

비평작업

4.

자유공론

5.

「문학작품의 심의」, 서울신문 , 1967.5.23., 8면.

6.

강웅식, 「전체주의적 반공주의와 순수‧참여논쟁」, 상허학보 제15집, 2005.8., 311-325쪽.

7.

김낙원, 여수향토사 , 여수문화원, 1962.

8.

김낙원, 여수향토사 , 여수시교육청, 1953.

9.

김동리, 「형제」, 백민 , 제5권 제2호, 1949.3.

10.

김득중, ‘빨갱이’의 탄생-여순사건과 반공 국가의 형성 , 선인, 2009.

11.

김미란, 김승옥 문학의 개인화 전략과 젠더 ,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2006.

12.

김사림 편저, 일선기자의 고백 , 모던출판사, 1949.

13.

김진기 외, 반공주의와 한국문학의 근대적 동학1 , 한울아카데미, 2008.

14.

김치수, 「소설에서 나타난 반공의식」, 자유공론 제19호, 1967.10., 194-201쪽.

15.

김치수, 김치수 깊이 읽기 , 문학과지성사, 2000.

16.

김현 외 3인, 「좌담:4‧19와 한국문학」, 사상계 제204호, 1970.4.

17.

김현, 「60년대 문학의 배경과 성과」, 김현문학전집7 , 문학과지성사, 1992.

18.

김훈, 문학기행 , 한국일보사, 1987.

19.

백문임 외, 르네상스인 김승옥 , 앨피, 2005.

20.

삐에르 부르디외, 정일준 옮김, 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 , 새물결, 1995.

21.

설국환, 「반란 국토를 보고 와서」, 신천지 제3권 제10호, 1948.11‧12합본호., 146-156쪽.

22.

순천시사편찬위원회 편, 순천시사:정치‧사회편 , 순천시사편찬위원회, 1997.

23.

유임하, 「마음의 검열관, 반공주의와 작가의 자기 검열-김승옥의 경우」, 상허학보 제15집, 2005.8., 129-155쪽.

24.

유종호, 「감수성의 혁명-김승옥」, 유종호전집1:비순수의 선언 , 민음사, 1995.

25.

이봉범, 「반공주의와 검열 그리고 문학」, 상허학보 제15집, 2005.8., 49-98쪽.

26.

임종명, 「여순 ‘반란’ 재현을 통한 대한민국의 형상화」, 역사비평 통권64호, 2003.가을., 304-334쪽.

27.

임종명, 「여순사건의 재현과 공간」, 한국사학보 제19호, 2005.3., 151-185쪽.

28.

임종명, 「여순사건의 재현과 폭력」, 한국근현대사연구 제32집, 2005.봄., 103-132쪽.

29.

전국문화단체총동맹 편, 반란과 민족의 각오 , 문진문화사, 1949.

30.

전남일보 광주전남현대사 기획위원회, 광주전남현대사2 , 실천문학사, 1991.

31.

전병순, 절망 뒤에 오는 것 , 국제문화사, 1963.

32.

전흥남, 「 절망 뒤에 오는 것 에 나타난 ‘여순사건’의 수용양상과 의미」, 국어국문학 제127권, 2000.12., 339-421쪽.

33.

전흥남‧이대규, 「“남도작가”의 소설에 나타난 고향탐색과 공간화 전략」, 어문연구 제52집, 2006.12.

34.

좌담, 「4월혁명과 60년대를 다시 생각한다」, 최원식‧임규찬 엮음, 4월혁명과 한국문학 , 창작과비평사, 2002.

35.

홍한표, 「전남반란사건의 전모」, 신천지 제3권 제10호, 1948.11‧12합본호., 158-166쪽.

36.

Mary Louise Pratt, Imperial Eyes:Travel Writing and Transculturation, London:Routledge, 1992.김승옥, 김승옥 소설전집 1-3, 문학동네, 1995.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