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미학적으로 접근한 대중예술의 진정성 문제 : 대중예술에서 진정성의 미학을 향하여

An approach to the “authenticity” in the discourse of the popular arts from the aesthetic point of view: Toward an aesthetics of the authentic in the popular art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0, v.0 no.23, pp.277-306
https://doi.org/10.18856/jpn.2010..23.010
박성봉 (경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대중음악을 포함해 대중예술 전반에 걸친 가치평가의 문제는 결국 좋은 예술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전통적인 미학적 논의의 연장선상에 있다. 특히 진정성 논의는 그 핵심적인 의미영역이다. 대중음악이 여타의 다른 음악 카테고리들과 경계를 설정하고 스스로를 하나의 독립적인 장으로서 구성하기 시작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치평가의 문제에서 전통적인 미학적 논의와 구별되는 별도의 미학을 구성할 필요는 없다. 그보다는 전통적인 미학적 논의의 지평을 넓혀 다양한 경계의 음악들이 저마다 자신의 고유한 성격을 훼손함이 없이 논의에 생산적으로 융합되어 공통의 미학적 개념들을 풍요롭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중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진정성은 대중예술과 고급예술을 아우르는 미학적으로 의미 있는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대중음악을 포함한 대중예술에서 진정성 개념은 미학적 차원에서 보다는 주도적인 매체화의 방식이 다른 것으로 전이될 때 등장하는 일종의 상징적 가치로서 작용하는 경향이 있다. 다시 말해 그 무게중심이 진정성의 유무에 관한 차이보다 매체화와 이를 통한 감각방식의 차이에 놓여진다. 이런 경향을 염두에 두고 이 논문은 진정성의 유무에 관한 논의의 핵심적인 측면들로서 일상적 자아/최선의 자아, 존재감, 자연스러움, 총체성에 접근하면서 전통적인 미학의 연장선상에서 대중예술에서 진정성의 미학을 향한 하나의 제안이다.

keywords
the popular arts, authenticity, ordinary self/the best self, self-manifestation of existence, naturalness, totality, the popular arts, authenticity, ordinary self/the best self, self-manifestation of existence, naturalness, totality, 대중예술, 진정성, 일상적 자아/최선의 자아, 존재감, 자연스러움, 총체성

Abstract

The problem around what is a good work of popular art including popular music is after all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question whether a work of art is good or bad in the traditional aesthetic discourse. Especially the question of autheticity is the key area of meaning in the problem of value judgements. It is a fact that popular music has differentiated from other categories of music and constructed its own characteristic and function as a cultural sphere.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popular music should develop its own theory of aesthetic judgement completely different from other categories of music. What is worth emphasizing here is that we secure and enrich common aesthetics for both generic and specific area of experiences in the various categories of music by contriving as effective a system of vocabularies as possible within the proper adaptability. In this context the concept of authenticity is significant in its productivity as it embraces not only high brow art but the popular arts in general.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concept of authenticity in the popular arts, especially in the pop-discourse operates as a kind of symbolic value in the process of change from the dominant way of medialization rather than on the aesthetic dimension. In other words, the main theoretical import of the concept is not the reference of the difference in real existence of authenticity but the difference in the way of medializations of the popular arts and in their sensual perception and appropriation. As a response from the aesthetic point of view to this tendency this paper is a proposal toward an aesthetics of the authentic in the popular arts by extending such traditional aesthetic discourses as ordinary self/the best self, self- manifestation of existence, naturalness, totality.

keywords
the popular arts, authenticity, ordinary self/the best self, self-manifestation of existence, naturalness, totality, the popular arts, authenticity, ordinary self/the best self, self-manifestation of existence, naturalness, totality, 대중예술, 진정성, 일상적 자아/최선의 자아, 존재감, 자연스러움, 총체성

참고문헌

1.

김곰치, 「버스안 음악감상」, 「한겨레신문」, 2000.02.11.

2.

석지명, 「본래의 슬픔을 봐야」, 「중앙일보」, 1998.03.09.

3.

김수영, 「시여 침을 뱉어라」, 민음사, 1975.

4.

김지하, 「미학강의: 예감에 가득 찬 숲 그늘」, 1999, 실천문학.

5.

롱기누스, 김명복 역, 「롱기누스의 숭고미 이론」, 연세대학교출판부, 2002.

6.

롤랑 바르트, 조광희 외 역, 「카메라 루시다」, 열화당, 1998.

7.

말틴 하이데거, 오병남ㆍ민형원 역, 「예술작품의 근원」, 경문사, 1986.

8.

매슈 아아놀드, 이가형 역, 「교양과 무질서」, 박영사, 1974.

9.

먼로 C. 비어슬리, 이성훈ㆍ안원현 역, 「미학사」, 이론과 실천, 1994.

10.

박성봉, 「대중예술의 미학」, 동연출판사, 1995.

11.

발터 벤야민, 차봉희 역, 「현대사회와 예술」, 문학과 지성사, 1980.

12.

비트겐슈타인, 서광선ㆍ정대현 역, 「비트겐슈타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3.

13.

송화숙, 「대중음악에서의 진정성 개념」, 「대중서사연구」제21호, 2009, 345-370쪽.

14.

수잔 손택, 이민아 역, 「해석에 반대한다」, 이후, 2002.

15.

알프레드 아인슈타인, 강해근 역, 「위대한 음악가, 그 위대성」, 음악세계, 2002.

16.

에리히 아우얼바하, 김우창ㆍ유종호 역, 「미메시스 고대ㆍ중세편 - 서구문학에 나타난 현실묘사」, 민음사, 1987.

17.

요한 페터 에커만, 박영구 역, 「괴테와의 대화」, 푸른숲, 2001.

18.

이인화, 「한국형 디지털 스토리텔링: 리니지2」, 살림, 2005.

19.

장 보드리야르, 김홍중 역, 「모조와 모조물」, 권택영 편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화」, 문예출판사, 1992, 101-125쪽.

20.

잭 콘필드, 이균형 역, 「 깨달음 이후 빨랫감」, 한문화, 2009.

21.

존 스토리, 박모 역,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현실문화연구, 1999.

22.

지그문트 프로이트, 김석희 역, 「문명 속의 불만」, 열린책들, 2003.

23.

톨스토이, 이철 역, 「예술이란 무엇인가」, 범우사, 2008.

24.

피터 브룩, 김선 역, 「빈 공간」, 청하, 1995.

25.

H.D. 소로우, 황문수 역, 「시민의 반항」, 범우사, 1990.

26.

Adorno T.W. "On Popular Music", in Studies in Philosophy and Social Science, vol.IX, No.1, 1941, pp.17-48.

27.

Erlmann, Veit "The Aesthetics of the Global Imagination: Reflections on World Music in the 1990s", in Public Culture, Spring, 1996, pp.467-487.

28.

Fiedler, Leslie A. What Was Literature?: Class culture and Mass society, New York: Simon & Schuster, 1982.

29.

Frith, Simon "Toward an aesthetic of popular music", in: R. Leppert & S. McClary (eds.) Music and Socie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pp.133-150.

30.

Frith, Simon "The Real Thing - Bruce Springsteen", in Simon Frith, Music for Pleasure: Essays in the Sociology of Pop, Cambridge: Polity Press, 1988, pp.94-101.

31.

Gabrielsson, Alf "Intense Emotional Experience of Music"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sic Perception and Cognition, 1989, pp.371-376.

32.

Longinus "On the Sublime" in Alexander Sesonske (ed.) What Is Art, New York, Oxford Univ. Press, 1965, pp.76-79.

33.

Maslow, A.H.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Princeton: Van Nostrand, 1968.

34.

Plato, "Greater Hippias", in Alexander Sesonske (ed.) What Is Art, New York, Oxford Univ. Press, 1965, pp.11-25.

35.

Plato, "Ion", in Alexander Sesonske (ed.) What Is Art, New York, Oxford Univ. Press, 1965, pp.3-11.

36.

Sesonske, Alexander (ed.) What Is Art, New York, Oxford Univ. Press, 1965.

37.

Stolpe, Jan 역, Den Anonyma Skriften Om den Stora Stilen, Uppsala Universitet, 1989.

38.

Suter, Ronald, Six Answers to the Problem of Tast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79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