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1960년대 전혜린의 수필에 나타난 독일 체험 연구

A Study of a German Travel Piece of Joen Hye-Lin -on searching into a method of study of a travel piece with analysis of performance dramaturgy-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0, v.0 no.23, pp.67-97
https://doi.org/10.18856/jpn.2010..23.003
김기란 (동국대학교)

Abstract

Joen Hye-Lin wrote mainly essay based on the experience while studying in Germany and translated German literary works. But in spite of her career as a writer, she was excluded from the korean literary society, rather than her abnormal biography as intellectual woman has mythologized and gotten enjoyable public taste and popularity. In this article, with the support of performance dramaturgy, I examined how Joen Hye-Lin's experience of Germany was accepted to the korean public through her travel piece published in 60s and has gotten the public popularity with the concepts of persona and liminality. As a writing, travel piece can be written based on the writer's experience caused anything perceived. As a performer performs something fictive as realistic in the performance, the writer of travel piece presents her(or his) experience of unknown space in the text which is not a real space represented but a presented space. That is, simultaneously and circularly, the writer of travel piece is not an audience(seeing) but also a performer(seen) presented her(or his) experience of unknown space to the other space. From this point of view, I can analyze the Joen Hye-Lin's travel piece as the performance, which is consisted of a performative process.

keywords
writing of travel piece, Joen Hye-Lin, performance, presented space, persona, liminality, writing of travel piece, Joen Hye-Lin, performance, presented space, persona, liminality, 기행문, 전혜린, 공연, 퍼포먼스, 수행성, 연출된 공간, 전이영역, 페르소나

참고문헌

1.

전혜린,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민서출판사, 2004.

2.

김기란, 「임선규 장막극 <새벽길>의 극작법 연구」, 「해방 전 공연희곡과 상영 시나리오의 이해」, 평민사, 2006, 269-288쪽.

3.

김기란, 「집단 기억의 무대화와 수행적 과정의 작동 메커니즘」, 「드라마연구」제 30호, 한국드라마학회, 2009, 7-34쪽.

4.

김기란, 「한국 근대계몽기 신연극 형성 과정 연구」, 연세대 박사학위 논문, 2004.

5.

김복순, 「전후 여성교양의 재배치와 젠더정치」, 「여성문학연구」18호, 한국여성문학연구회, 2007, 7-60쪽.

6.

김윤철 편, 「세계연극 읽기-새로운 연극성과 비평」, 연극과 인간, 2007.

7.

김현주, 「한국 근대산문의 계보학」, 소명출판, 2004.

8.

김형기, <‘연극성’ 개념의 변형과 확장>, 한국연극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 심포지움 발표문.

9.

이덕희, 「전혜린」, 작가정신, 1998.

10.

이영란, <연기현상의 본질로서의 liminality(경계성) 연구>, 2010년 한국연극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문.

11.

박정애, 「‘여류’의 기원과 정체성-50, 60년대 여성문학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3.

12.

서은주, 「경계 밖의 문학인-‘전혜린’이라는 텍스트」, 「여성문학연구」11호, 한국여성문학연구회, 2006, 33-56쪽.

13.

손유경, 「나혜석의 구미 만유기에 나타난 여성 산책자의 시선과 지리적 상상력」, 「민족문학사연구」36호, 태학사, 2008, 170-203쪽.

14.

손종업, 「전후 세대의 글쓰기와 ‘근대성’문제」, 「高凰論集」,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4, 41-52쪽.

15.

장순란, 「한국 최초의 여성 독문학자 전혜린의 삶과 글쓰기에 대한 조명」, 「독일어문학」21집, 한국독일어문학회, 2003, 149-173쪽.

16.

장세진, 「상상된 아메리카와 1950년대 한국 문학의 자기 표상」, 연세대 박사학위 논문, 2007.

17.

천정환, 「1960년대 ‘자기계발’과 문학문화」, 「민족문학사연구」40호, 민족문학사학회, 2009, 91-133쪽.

18.

데이비드 M. 레빈, 「퍼포먼스가 실현하는 것:로버트 월슨과 트와일러 타프」, 심우성 역, 「공연과 리뷰」제39호, 현대미학사, 2002.

19.

어빙 고프만, 「자아표현과 인상관리」, 김병서 역, 경문사, 1987.

20.

어빙 고프만, 「스티그마-장애의 세계와 사회 적응」,윤선길·정기현 역, HUP, 2009.

21.

마이클 커비, 「연기와 비연기」, 김태원 편역, 「서구 현대극의 미학과 실천」, 현대미학사, 2003.

22.

빅터 터너, 「제의에서 연극으로」, 이기우·김익두 역, 현대미학사, 1996.

23.

吉見俊哉, 「都市のドラマトウルギー」, 弘文堂, 1987.

24.

Erving Goffman, Encounters, New York : University of California, 1961.

25.

Erika Fischer-Lichte und Christoph Wulf(Hr.), Paragrana-Internationale Zeitschrift für Historische Anthropologie, Band 1-10, Berlin : Akademie Verlag, 1991-2001.

26.

Erika Fischer-Lichte, Ästhetik des Performativen, München : Suhrkamp, 2004.

27.

Christopher Balme, “Metaphors of spectacle”, Erika Fischer-Lichte(Hs.), Wahrnehmung und Medialität, Tübingen und Basel : A. Francke Verlag, 2009.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