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심훈 영화비평의 전문성과 보편성 지향의 의미

The Specialty and the Universality of Shim Hoon’s Film Criticism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2, v.0 no.28, pp.71-97
https://doi.org/10.18856/jpn.2012..28.003
전우형 (건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식민지 조선에서 영화비평의 첫 장면을 구성하고 있는 심훈의 영화비평을 통해 당대 영화비평의 특성과 그의 비평적 태도를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심훈의 영화비평은 그 자체로 영화비평이기도 하면서 영화비평에 대한 메타비평의 성격을 지니고 있어 흥미롭다. 심훈의 영화비평에서 눈여겨 볼만한 것은 ‘객관적 준거를 통한 전문화와 보편적 해석을 통한 대중 지향’의 성격이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영화비평을 통해 드러나는 그의 이러한 관점은 비록 낮은 수준이고 영화비평 초기의 작은 부분에 불과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그의 일관된 태도는 영화비평의 시작을 주도했던 문인들의 행태에 대해 대타적으로 정립된 것이라 일종의 저항적 기표로 읽힐 가능성이 있다. 다른 예술에 대한 간섭이 절대적으로 자유로웠던 문인들의 자의적 비평에 맞서 심훈은 영화를 구성하는 객관적 준거를 통한 전문적 비평을 제안한다. 아물러 영화 <아리랑>의 흥행 성공으로 조선영화의 관객대중이 형성되는 시점과 연동하여 비평으로 하여금 조선영화와 관객을 매개하는 역할을 기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조선영화 발전의 토대를 구축할 것을 당부한다. 영화비평을 둘러싼 그의 이러한 태도는 문학과 영화, 영화와 현실 사이에 내재하는 간극에 대한 비교적 날카로운 인식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며, 따라서 문단이라는 권위의식의 역학을 문제시하고 조선영화의 후진성을 극복하려는 노력과 연동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
Shim Hoon, Film criticism, specialism, universalism, resistant signifier, discrepancy, literature/film hierarchy, 심훈, 영화비평, 전문성, 보편성, 저항적 기표, 간극, 문학과 영화의 위계서열화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is at stake in Shim-Hoon’s film criticism that constitutes the first scene of “Film Criticism”. Shim’s “Film Criticism” is a film criticism in itself and serves as a meta-criticism on film criticism at the same time. What are striking about his film criticism are its specialty based on the objective evidences and its audience-oriented interpretation with universal validity. Indeed, Shim’s film criticism can be interpreted as a “resistant signifier” defying that of the contemporary literati who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inauguration of Chosun film criticism. Critiquing the arbitrary film criticism of the literati and their license to intervene in the other kinds of art than their own, Shim proposed a criticism specific to the objective constitutes of the medium of film. With the success of the film “Arirang” triggering the formation of the mass audience in Chosun film industry, the film criticism was supposed to mediate between the Chosun film and the audience, which is crucial to the development of the Chosun film. Through his criticism based on his acute awareness of the discrepancy between literature and film, film and the reality, Shim tried to problematize an assumed hierarchy between literature and film and redress the inferior status of the latter.

keywords
Shim Hoon, Film criticism, specialism, universalism, resistant signifier, discrepancy, literature/film hierarchy, 심훈, 영화비평, 전문성, 보편성, 저항적 기표, 간극, 문학과 영화의 위계서열화

참고문헌

1.

조선일보 ,

2.

동아일보 ,

3.

문예공론 ,

4.

별건곤 ,

5.

삼천리

6.

심훈문학전집 1,2,3, 탐구당, 1966.

7.

김경연, .1930년대 농촌ㆍ민족ㆍ소설로의 회유(回遊) - 심훈의 상록수 론., 한국문학논총 48, 한국문학회, 2008, 193~223쪽.

8.

박정희, .영화감독 심훈(沈勳)의 소설 <상록수> 연구., 현대문학연구 21, 2007, 109~141쪽.

9.

이진경, .수행적 민족성 - 1930년대 식민지 한국에서의 문화와 계급., 한국문학연구 28, 한국문학연구소, 2005, 31~71쪽.

10.

전우형, .‘영화 <무정>의 밤’에 비친 기묘한 풍경의 원근법., 문학의 오늘 , 2012 여름호, 300~304쪽.

11.

조연정, .1920-30년대 대중들의 영화체험과 문인들의 영화체험., 한국현대문학연구 14, 2003, 199~240쪽.

12.

조혜정, .심훈의 영화적 지향성과 현실인식 연구:<탈춤>, <먼동이 틀 때>, <상록수>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31, 한국영화학회, 2007, 163~195쪽.

13.

,

14.

한기형, .습작기(1919~1920)의 심훈:신자료 소개와 관련하여., 민족문학사연구 22, 민족문학사학회, 2003, 190~223쪽.

15.

한기형, .21세기(世紀) 인문학(人文學)의 창신(創新)과 대학(大學):서사의 로칼리티, 소실된 동아시아 -심훈의 중국체험과 동방의 애인 -., 대동문화연구 63, 대동문화연구원, 2008, 425~447쪽.

16.

Ranciere, J., 주형일 역, 미학 안의 불편함 , 인간사랑, 2008.

17.

Shiner, L., 김정란 역, 예술의 탄생 , 민음사, 2007.

18.

Singer, Ben, 이위정 역, 멜로드라마와 모더니티 , 문학동네, 2009.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