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1950~60년대 라디오 연속극의 매체 전이 경향

The Media transition Trends of a serial radio drama in the 1950~60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3, v.0 no.29, pp.7-34
https://doi.org/10.18856/jpn.2013..29.001
문선영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e cinematization of radio serial drama painter active in the 1950,60s. This paper is a radio serial drama of a movie about the cultural background. And changing aspects of the cleanup. Two way radio, movies in the medium position. Radio serial drama of cinematization that began in the late 1950s scenario shortages. The radio drama is original. Therefore the film associates need a radio soap opera in film production. In addition, a radio serial drama of cinematization , even the broadcast. Radio drama, the public interest, but I thought it was. And it could be a high response. However, radio serial drama, this increases the radio serial drama of cinematization was central to the melo genre. This causes negative consequences for the status. Also on this point blame for the poetry of lines increases. especially since the 1960s because of the serial drama produced by the commercial stations, countries should increase even further. This is slow for the controversial weed. This is the impact of the dissemination of literary and movie and television receivers. The radio, movies, the two mediums are mutually affectedIn in the 195.60s. This is one of the features of popular culture in this period.

keywords
media transformation, serial drama, radio, movie, melodrama, 매체 전이, 방송극, 연속극, 라디오, 영화, 멜로

참고문헌

1.

방송 1956~1965

2.

동아일보 ,

3.

조선일보 ,

4.

한국일보 ,

5.

경향신문

6.

고선희, 「1960년대 매체 전환의 한 양상 한운사의 방송극과 영화」, 대중서사연구 19호, 대중서사학회, 2008.

7.

김보형, 「전후 라디오 연속극의 생산과 성별질서의 재현」,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9.

8.

문선영, 「1950~60년대 라디오 방송극과 청취자의 위상」, 한국극예술연구 35집, 한국극예술학회, 2012.

9.

문선영, 「한국 라디오 드라마의 형성과 장르 특성」,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2011

10.

박선영, 「한국 코미디영화 형성연구」, 중앙대학교 박사논문, 2011.

11.

박유희, 「1960년대 문예영화에 나타난 매체전환의 구조와 의미」, 현대소설연구 32, 현대소설학회, 2006.

12.

백문임, 「1950년대 후반 ‘문예’로서 시나리오의 의미」, 매혹과 혼돈의 시대 , 소도, 2003.

13.

백미숙, 「라디오의 사회문화사」, 한국의 미디어 사회문화사 , 한국언론재단, 2007.

14.

백미숙, 「텔레비전의 사회문화사」, 한국의 미디어 사회문홧 , 한국언론재단, 2007.

15.

변재란, 「한국영화사에서 여성 관객의 영화 관람연구」, 중앙대학교 박사논문, 2000.

16.

서재길, 「한국 근대 방송문예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2007.

17.

오영미, 「한운사 시나리오 연구」, 비교문화연구 12권,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08.

18.

윤석진, 한국 멜로드라마의 근대적 상상력 , 푸른사상, 2004.

19.

이길성, 「가족 드라마 형성과정과 제양상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논문, 2006.

20.

이범경, 한국방송사 , 범우사, 1994.

21.

이영미, 「1950년대 대중적 극예술로서의 신파성의 재생산과 해체」, 한국문학연구 34집, 동국대한국문학연구소, 2008.

22.

이영미, 「1950년대 방송극」, 대중서사연구 17호, 대중서사학회, 2007.

23.

임종수, 「1960~70년대 텔레비전 붐 현상과 텔레비전 도입의 맥락」, 한국언론학보 48권 2호, 2004,

24.

임종수, 「한국 방송의 기원」, 한국언론학보 48권 6호, 한국언론학회, 2004.

25.

조항제, 한국 방송의 역사와 전망 , 한울아카데미, 2005.

26.

주창윤, 「1960년대 전후 라디오 문화의 형성과정」, 한국방송의 사회문화사 , 한울, 2011.

27.

최미진, 「1950년대 후반 라디오연속극의 영화화 경향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49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0.

28.

최미진, 「한국 라디오서사의 갈래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2권 3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8.

29.

한국방송공사, 한국방송사 , 대한공론사, 1977.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