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악극, 헐리우드를 만나다-1950년대 한국 대중영화의 혼종성에 드러나는 식민성과 탈식민적 근대성의 문제들-

Akkŭk Meets Hollywood - The Problems of Colonial Legacy and Post-colonial Modernity in 1950’s South Korean Popular Film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3, v.0 no.29, pp.35-72
https://doi.org/10.18856/jpn.2013..29.002
김청강 (한양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blems of colonial legacy and post-colonial modernity in South Korean popular film in the process of making “national film” in post-colonial South Korea. The nation-building was not only a political process but also a process which is much involved with people’s emotions and imagination. Popular films in South Korea took great importance in visually imagining what “nation” is. Thus, male elites selectively chose or constructed the national film category in order to establish what the essense of national film. Often times, these elites discourse defined post-colonial “national” as anti-Japanism, Orientalistic beauty of Korea or the art films. Other films that do not has such quality were regarded as “low-brow” culture. Thus, this paper analyzes how these elites’ discourses excluded the akkŭk-based popular film, when they obviously displayed the traces of colonial popular culture. Despite the fact that many 1950s’ South Korean films were made based on these colonial performances, and received very well by common people, elite discourses strongly blamed these films’ inappropriateness as a national culture. Therefore, this paper will discuss the way in which colonial performances are embeded in postcolonial film, and Hollywood film techniques frame these old culture as a new and modern Korean culture by appropriating Japanese “war-time” entertainment culture into American’s. Through this analysis, I argue that the popularity of 1950s akkŭk-based Korean films reveal the unceasing power of colonial modernity in post-colonial Korean society and culture, and its different reception by elites and common people,which complicates the post-colonial South Korean cultural space.

keywords
1950년대 대한민국, 악극, 헐리우드, 민족영화, 내셔널 씨네마, 탈식민, 식민성, 문화담론, 일색일소, 일제 잔재, 태평양전쟁, 한국전쟁, 1950s’ South Korea, akkŭk, Hollywood, national cinema, post-colonial modernity, colonial legacy, cultural discourse, purification movement, colonialism, war-time Japan, Korean War

참고문헌

1.

경향신문 ,

2.

조선일보 ,

3.

동아일보 ,

4.

한국일보

5.

명랑 ,

6.

신영화 ,

7.

국제 영화 ,

8.

영화세계

9.

영화인 다큐멘타리, <대중향연에서 무대로>, 한국영상자료원.

10.

영화인 다큐멘타리, 이경희 편, 한국영상자료원.

11.

<백만장자가 되려면>,

12.

<청춘 쌍곡선>,

13.

<미망인>,

14.

<순애보>,

15.

<자유부인>,

16.

<지옥화>,

17.

<울려고 내가 왔던가>,

18.

<자유결혼>,

19.

<여사장>,

20.

<운명의 손>

21.

<눈나리는 밤>

22.

<홀쭉이와 뚱뚱이 논산훈련소 가다>, 검열대본.

23.

<홀쭉이와 뚱뚱이의 사람팔자 알 수 없다>, 검열대본

24.

<항구의 일야> 검열 대본

25.

<탈선 춘향전>, 검열대본

26.

<인생대학 일년생>, 오리지날

27.

<가는 봄 오는 봄>, 녹음대본

28.

강옥희, 이순진, 이승희, 이영미, 식민지 시대 대중예술인 사전 소도, 2006.

29.

영화진흥공사, 한국영화자료편람 , 1976.

30.

김만수 외, 일제 강점기 유성 음반기 속의 대중 희극 , 태학사, 1997.

31.

김려실, 투사하는 제국, 투영하는 식민지: 1901-1945년의 한국영화사를 되짚다 삼인, 2006.

32.

김수용, 나의 사랑, 씨네마 한겨레, 2006.

33.

김석민, 한국 연예인 반공 운동사 , 예술문화 진흥 위원회 출판부, 1989.

34.

김의경, 유인경 편, 박노홍의 대중연예사 1 , 연극과 인간, 2008.

35.

김종욱 편저 한국영화총서 , 국학자료원, 2002.

36.

김호연, 한국 근대 악극 연구 , 민속원, 2009.

37.

배삼룡, 한 어릿광대의 눈물젖은 웃음 , 다른우리, 1999.

38.

안진수 외, 매혹과 혼돈의 시대 , 소도 2003.

39.

오영숙, 1950년대, 한국영화와 문화담론 , 소명출판, 2007.

40.

유민영, 한국 근대 연극사 ,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6.

41.

유민영, 한국연극운동사 , 태학사, 2001.

42.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소도, 2005.

43.

이임하, 아프레걸 사상계를 읽다 ,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9.

44.

한국영상자료원, 고려영화협회와 영화신체재 , 한국영상자료원, 2007.

45.

Anderson, Benedict, 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Verso, 2006.

46.

Bordwell, David, Staiger, Janet and Tompson, Kristin ed., The Classical Hollywood Cinema: Film Style and Mode of Production to 1960,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5.

47.

Bourdieu, Pierre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48.

Fisher, Eddie, Been There, Done That, Tomas Dunne Books, 1999.

49.

Gerow, Aaron, “Narrating the Nation-ality of a Cinema: the Case of Japanese Prewar Film,” in The Culture of Japanese Fascism, Duke University Press, 2009.

50.

Hansen, Miriam Babel and Babylon: Spectatorhsip in American Silent Film,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51.

Hijort, Mette ed., Cinema and Nation, Routledge, 2000.

52.

Hirano, Kyoko Mr. Smith Goes to Tokyo: under the American Occupation, 1945-1952, Smithsonian Institution, 1992.

53.

Jenkins, Henry What Made Pistachio Nuts? Early Sound Comedy and the Vaudeville Aesthetic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2.

54.

Jort, Mette H. & Mackenzif, Scoot ed. Cinema & Nation, Routledge, 2000.

55.

Karnick, Kristine Brunosovska and Jenkins, Henry ed., Classical Hollywood Comedy, Routledge: New York, 1995.

56.

Kitamura, Hiroshi Screening Enlightenment: Hollywood and the Cultural Reconstruction of Defeated Japan, Cornell University Press, 2010.

57.

Robertson, Jennifer Takarazuka: Sexual Politics and Popular Culture in Modern Japa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

58.

Sawamura, Sadoko My Asakusa: coming of age in pre-war Tokyo, Tuttle Publishing, 2000.

59.

Silverberg, Miriam Erotic Grotesque Nonsense: The Mass Culture of Japanese Modern Tim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7.

60.

Woo, Jung-en Race to the Swift: State and Finance in Korean Industrializa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1.

61.

김려실, 「조선을 ‘조센’하기」, 영화연구 34호, 2007, 95-123쪽.

62.

김소연, 「전후 한국의 영화담론에서 ‘리얼리즘’의 의미에 관하여」, 매혹과 혼돈의 시대 , 소도, 2003.

63.

김소연, 「오발탄은 어떻게 한국 최고의 리얼리즘 영화가 되었나」, 영화 언어 , 2004년 봄호.

64.

김영희, 「일제강점기 ‘레뷰춤’ 연구」, 한국무용사학 9호, 2008.

65.

김청강, 「현대 한국의 영화 재건 논리와 코미디 영화의 정치적 함의 (1945-60)」, 진단학보 112호, 2011, 27-59쪽.

66.

김한상, 「냉전체제와 내셔널 시네마의 혼종적 원천: <죽엄의 상자> 등 김기영의 미공보원(USIS) 문화영화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47호, 2011, 87-111쪽.

67.

문재철, 「식민지 조선영화에 있어 근대성에의 욕망과 초민족적 경향에 대한 연구」, 영화연구 45호, 2010, 79-98쪽.

68.

박노홍, 「한국 악극사1-8」, 한국 연극 , 1979.

69.

박선영, 한국 코미디영화 형성과정 연구 ,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70.

백문임, 「1950년대 후반 ‘문예’로서 시나리오의 의미」, 매혹과 혼돈의 시대: 50년대의 한국영화 , 소도, 2002.

71.

백현미, 「1950년대 여성국극의 성정치성」, 대중서사연구 18호, 2007, 153-182쪽.

72.

유선영, 「식민지 대중가요의 잡종화: 민족주의 기획의 탈식민성과 식민성」, 언론과사회 가을 10권, 2002, 7-57쪽.

73.

이규성, 「한국 악극의 수용과정과 경연 활동에 관한 연구」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

74.

이영미, 「1950년대 대중가요의 아시아적 이국성과 국제성 욕망」, 상허학보 34집, 2012, 315-357쪽.

75.

이순진, 「한국 영화연구의 현 단계」, 대중서사연구 , 2004, 187-224쪽.

76.

이순진, 「식민지 시대 조선영화 남성스타에 대한 연구: 나운규와 김일해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34호, 2007, 3-18쪽.

77.

이순진, 「식민지 경험과 해방 직후의 영화 만들기 -최인규와 윤봉춘의 경우를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14호, 2005.

78.

이호걸, 신파연구 ,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7.

79.

이호걸, 「1950년대 사극영화와 과거재현의 의미」, 매혹과 혼돈의 시대: 50년대의 한국영화 소도, 2003.

80.

이화진, 「식민지 영화의 내셔널리티와 ‘향토색’- 1930년대 후반 조선영화 담론 연구」, 상허학보 13, 상허학회, 2004, 363-388쪽.

81.

이화진, 「노스텔지아의 흥행사 - 1950년대 악극의 전성과 퇴조에 관하여」, 대중서사연구 17, 2007.

82.

이화진, 「 한국영화전사 , 그 이후 -최근 식민지 말기 영화 연구의 성과와 한계」, 사이間SAI , 2011, 239-261쪽.

83.

정종화, 「한국영화 성장기의 토대에 대한 연구: 동란기 한국영화 제작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84.

조영정, 「미국영화에 대한 양가적 태도」, 매혹과 혼돈의 시대 , 소도, 2003.

85.

조혜정, 「미군정기 영화정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8.

86.

Chatterjee, Partha, “Whose Imagined Community?” in Empire and Nation: Selected Essay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

87.

Chǒng, Hye-sǔng “Toward a Strategic Cinephilia: A Transnational Detournement of Hollywood Melodrama,” in Nancy Abelmann ed., South Korean Golden Age Melodrama: Genre, Gender and National Cinema,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005.

88.

Chung, Jonghwa “The Technical Advancement of Cinematic Style in Korean Cinema:From Madame Freedom to The Female Boss,” in Han Hyung-mo: The Alchemist of Popular Genres, Korean Film Archive, 2007.

89.

Dyer, Richard “Entertainment as Utopia,” in Rick Altman and Paul Kegan ed., Genre:The Musical, London: Routledge, 1981.

90.

Eisenstein, Sergei, “A Dialectic Approach to Film Form,” in Film Form, London, 1949.

91.

Gunning, Tom “An Aesthetic of Astonishment: Early Film and the (In)Credulous Spectator,” in Linda Williams, Viewing Positions: Ways of Seeing Film, Rutgers University Press, 1997.

92.

Hansen, Miriam “Early Cinema, Late Cinema: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in Linda Williams eds., Viewing Positions, Rutgers University Press, 1997.

93.

Higson, Andrew, “The Concept of National Cinema,” Screen, Vol.30. No. 4, 1989.

94.

Kim, Charles R. Unlikely Revolutionaries: South Korea’s first generation and the student protests of 1960, Ph.D Disseration, Columbia University, 2007.

95.

Kim, Chung-Kang, South Korean Golden-Age Comedy Film: Industry, Genre, and Popular Culture, University of Illinois Ph.D dissertation, 2010.

96.

Oh, Se-mi Consuming the Modern: the Everyday of Colonial Seoul, 1915-1937, Ph.D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2008.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