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A Study on the Maternal Image of the Korean Movies of 2000s ―Focusing on “마더(Mother)” and “피에타(Pieta)”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3, v.0 no.30, pp.397-428
https://doi.org/10.18856/jpn.2013..30.012
이성준 (제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five pieces of Korean movies including “올가미(The Hole)”, “오로라 공주(Aurora Princes)”, “세븐 데이즈(Seven Days)”, “마더(Mother)”, and “피에타(Pieta)” dubbed as ‘mother discourse’ of 2000s to see how and why the maternal image has changed. Its focus is given to “마더(Mother)” and “피에타(Pieta)”. Father does not exist in the ‘mother movies’ of 2000s. This is not only the reality of modern Korean society, but also an aspect of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in general. The absence of fathers has imposed responsibilities on mothers to protect their children. Mothers have changed as they undertook the roles of fathers. The quoted five movies reflect such changed image of maternity. In addition, in the wake of the ‘only-child’ complex, the mothers even make themselves a revelation of negative animus. “마더(Mother)” is a good example. This movie shows that the blind love of the mother results in tragic catastrophe. In the movie having factors of incest, the mother becomes a witch or a murderer. In this respect, “Mother” calls for our retrospection on mothers while it shows the changed image of maternity in lineage of the ‘mother movies’ of 2000s. “피에타(Pieta)” reveals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a mother. The movie belongs to the category of ‘mother movies’ in a sense that the mother shows a negative image of maternity by destroying the devil in revenge of her son. On the contrary, the movie has a different status as it reveals an affectionate and positive image of the mother, presenting a new paradigm for pursuing the matter of human salvation through the ‘mother discourse.’

keywords
“마더(mother)”, “피에타(pieta)”, ‘Mother Movies’, maternity, changed maternity image, absence of fathers, multi-dimensional, animus, religious ceremony, scapegoat, human salvation, <마더>, <피에타>, ‘어머니 영화’, 모성, 모성상의 변화, 아버지의 부재, 다면성, 아니무스, 제의, 희생양, 인간 구원

참고문헌

1.

DVD <올가미>(김성홍 감독), 태원, 2001.

2.

DVD <오로라 공주>(방은진 감독), 시네마서비스, 2006.

3.

DVD <세븐 데이즈>(원신연 감독), KD MEDIA, 2010.

4.

DVD <마더>(봉준호 감독), CJ E&N, 2012.

5.

DVD <피에타>(김기덕 감독), KD MEDIA, 2013.

6.

권택영 엮음, 민승기․이미선․권택영 역, 자크 라캉 욕망이론 , 문예출판사, 2009.

7.

김상환․홍준기 엮음, 라캉의 재발견 , 창비, 2002.

8.

김용수, 자크 라캉 , 살림, 2008.

9.

대중서사장르연구회, 대중서사 장르의 모든 것 3 : 추리물 , 이론과 실천, 2011.

10.

비판사회학회 엮음, 산업사회의 이해 : 노동세계의 탐구 , 한울아카데미, 2012.

11.

신창식, 「미켈란젤로 피에타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2.

신철하, 「서사적 욕망과 형식―「마더」와 정신분석」, 어문논집 63, 민족어문학회, 2011, 391~413쪽.

13.

전문희, 「<마더> : 모성의 괴기함 또는 신성함」, 한국인문학연구 31, 한중인문학회, 2010, 268~292쪽.

14.

대한성서공회, 공동번역 성서(카톨릭용) , 대한성서공회, 1977.

15.

A. 새뮤얼․B. 쇼터․F. 플라우트, 민혜숙 역, 융분석비평사전 , 동문선, 2000.

16.

C. G. 융, 한국융연구원 C. G. 융 저작 번역위원회 역, 융 기본 저작집 2 : 원형과 무의식 , 솔, 2002.

17.

C. G. 융, 한국융연구원 C. G. 융 저작 번역위원회 역, 융 기본 저작집 8 : 영웅과 어머니 원형 , 솔, 2006.

18.

르네 지라르, 김진식․박무호 역, 폭력과 성스러움 , 민음사, 2000.

19.

리처드 도킨스, 홍영남․이상임 역, 이기적 유전자 , 을유문화사, 2010.

20.

브루스 핑크, 맹정현 역, 라캉과 정신의학 , 민음사, 2002.

21.

세라 블래퍼 허디, 황희선 역, 어머니의 탄생 : 모성, 여성, 그리고 가족의 기원과 진화 , 사이언스북스, 2010.

22.

숀 호머, 김서영 역, 라캉 읽기 , 은행나무, 2006.

23.

스티븐 B. 폴터, 송종용 역, 모든 인간관계의 핵심요소 아버지 , 씨앗을 뿌리는 사람, 2007.

24.

스티븐 B. 폴터, 김지양 역, 어머니는 누구인가 , 글로세움, 2010.

25.

제러미 홈즈, 이경숙 역, 존 볼비와 애착이론 , 학지사, 2005.

26.

제베데이 바르부, 임철규 역, 역사심리학 , 창작과비평사, 1983.

27.

프로이트, 김재혁․권세훈 역, 꼬마 한스와 도라 : 프로이트 전집 10 , 열린책들, 1997.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