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1920~30년대 대중잡지『별건곤』의 역사 담론 연구-역사적 사건과 인물의 재현 방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history discourse of 1920~1930s modern popular magazine 『Byeolgeongon』 : About representation method of historical events and figure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4, v.20 no.1, pp.79-111
https://doi.org/10.18856/jpn.2014.20.1.003
정가람 (연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취미와 실익’을 표방했던 『별건곤』의 매체적 특성상 이에 관한 전반적인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1920년대 대중 독자들을 포섭하기 위한 서사 전략의 일환인 역사적 인물의 설정과 이를 통한 대중 기억과 담론의 재구성이라는 측면에서 『별건곤』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별건곤』이 표방하고 있는 ‘취미’나 오락 담론은 단순히 쾌락이나 유흥이 아니라 근대 계몽기부터 이어져 온 계몽 및 대중적 앎의 확산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근대적 취미를 증진시킨다는 것은 당대의 조선인을 근대적 인간형으로 거듭나게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계몽의 탈각으로는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별건곤』의 취미 담론 역시 일종의 민족 담론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공적 담론으로서의 계몽과 의식의 각성이라는 역할을 수행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글쓰기를 통해 구현된 역사 담론 속에서 『별건곤』이 어떤 역사적 사실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에 따라 어떤 역사적 인물을 호명하고 있는지를 고찰할 것이다. 당대 조선의 대중들이 민족의 지표로 삼아야 할 인물로 누구를 선택했는가 하는 측면뿐만 아니라 이러한 인물들을 호명함에 있어서 어떤 서사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별건곤』은 「드면錄」이라는 역사적 사실과 허구의 접점을 통해 독자들의 역사 기억을 새롭게 재구성하고, 지향해야 할 희망적 미래를 위한 필요조건을 제시하면서 민족의식의 고취라는 대의에 이르고 있다. 『별건곤』이 민중을 위한 대중잡지로서 민족정신의 고양을 위한 효과적 역사 담론을 펼치기 위한 서사 전략의 한 수단으로 활용했음을 확인케 하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keywords
『별건곤』, 취미, 대중 독자, 계몽, 의식의 각성, 역사적 인물, 역사 담론, 『Byelogeongon(별건곤)』, hobbies and practical benefits, public reader, enlightenment, the awakening of consciousness, historical discourse, historical figures

Abstract

There is a lack of general discussion about 『Byeolgeongon』, it because 『Byeol- geongon』 had advocated to hobbies and practical benefits. So it has significant meanings in terms of history as part of the narrative strategies and reconstruction of public memory to subsume for the 1920s public readers. It does not mean that simply pleasure or entertainment. It means that the spread of the Enlightenment and the public awareness in ‘hobbies’ or entertainment discourse of the 『Byeolgeongon』. To improve modern hobbies is not get rid of enlightenment. Rather, it means that the contemporary Korean reborn. As it were, the hobby discourse of byeolgeongon has a kind of nation discourse. This is called enlightenment and awakening of consciousness contributes to the role. I look at the history discourse to clarify. It because we can confirm select who to be indicators. As well as when it called these historical events and figures, we can found a narrative strategy.

keywords
『별건곤』, 취미, 대중 독자, 계몽, 의식의 각성, 역사적 인물, 역사 담론, 『Byelogeongon(별건곤)』, hobbies and practical benefits, public reader, enlightenment, the awakening of consciousness, historical discourse, historical figures

참고문헌

1.

개벽 영인본, 박이정출판사.

2.

별건곤 영인본, 도서출판 역락.

3.

공임순, 한국 근대 역사소설의 장르론적 연구 , 서강대 박사논문, 2000.

4.

권채린, 「‘산책’을 둘러싼 대중 담화의 지형도:대중잡지 <별건곤>의 경우」, 어문연구 40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2, 245~272쪽.

5.

권태환, 일제 식민통치와 사회구조의 변화 , 정신문화연구원, 1990.

6.

김정인, 「일제강점기 저항담론의 분화구 개벽 , 내일을 여는 역사 , 서해문집, 2005.

7.

김진량, 「근대 잡지 별건곤 의 “취미 담론”과 글쓰기의 특성」, 어문학 88호, 한국어문학회, 2005, 331~352쪽.

8.

김태웅, 「일제 강점기 김진구의 활동과 내선일체론」, 역사연구 13호, 역사학연구소, 2003, 19~102쪽.

9.

김희정, 「 별건곤 을 중심으로 본 신여성의 복장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2권2호, 복식문화학회, 2004, 211~223쪽.

10.

대중문학연구회, 대중문학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평민사, 1995.

11.

박숙자, 「1920년대 사생활의 공론화와 젠더화: 별건곤 에 나타난 비밀코드와 여성의 기호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17호, 한국근대문학회, 2006, 179~198쪽.

12.

박숙자, 「괴기에서 넌센스까지:1920년대 취미독물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재현 양상- 별건곤 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14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5, 163~195쪽.

13.

송명진, 「1920년대 과학소설 수용 양상 연구:영주생(影洲生)의 80만년 후의 사회 를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10호, 대중서사학회, 2003, 119~141쪽.

14.

안희정, 일제강점기 별건곤 에 나타난 신여성론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11.

15.

오선영, 「대중소설의 유행과 장르 분화- 별건곤 게재 소설을 중심으로」, 문창어문논집 46호, 부산대 문창어문학회, 2009, 119~144쪽.

16.

유석환, 「식민지시기 근대소설의 발흥과 천도교 매체의 역할」, 대동문화연구 73호,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소, 2011, 231~257쪽.

17.

이숙, 한국 대체역사소설 연구 , 전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

18.

이경돈, 「 별건곤 과 근대 취미독물」, 대동문화연구 46호,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소, 2004, 249~287쪽.

19.

이상우, 「식민지시대 김옥균의 문화적 재현과 그 의미-식민지시대 김옥균의 극적 재현방식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58집, 한민족어문학회, 2012, 327~386쪽.

20.

이승윤, 「근대 대중지의 ‘역사’ 수용 방식과 글쓰기 전략」, 한국문학논총 56호, 한국문학회, 2010, 5~35쪽.

21.

이희정, 「식민지 시기 글쓰기의 전략과 개벽 」, 한중인문학연구 31호, 한중인문학회, 2010, 165~188쪽.

22.

전미경, 「1920~1930년대 “남편”을 통해 본 가족의 변화 - 신여성 과 별건곤 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9권, 한민족문화학회, 2009, 405~438쪽.

23.

전미경, 「1920~30년대 가정탐방기를 통해 본 신가정」, 가족과 문화 19권 4호, 한국가족학회, 2007, 103~130쪽.

24.

전지은, 「≪별건곤≫의 영화담론 연구」, 한국언어문화 42호, 한국언어문화학회, 2010, 385~410쪽.

25.

전혜진, 「≪별건곤≫에서 드러난 도시 부르주아 문화와 휴양지 표상」, 한국언어문화 46호, 한국언어문화학회, 2010, 5~31쪽.

26.

조미희, 「≪별건곤≫의 직업관련 기사와 그 특성」, 한국언어문화 41호, 한국언어문화학회, 2010, 33~58쪽.

27.

천정환, 근대의 책읽기-독자의 탄생과 한국 근대문학 , 푸른역사, 2003.

28.

천정환・이용남, 「근대적 대중문화의 발전과 취미」, 민족문학사연구 30호, 민족문학사학회, 2006, 227~265쪽.

29.

최수일, 개벽 연구 , 소명출판, 2008.

30.

이에나가 유코, 「 개벽 과 별건곤 을 통해 본 한국인의 한국 자랑」, 인문과학연구 33호,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2012, 1~34쪽.

31.

홀거 코르탈스, 「문화학적 고찰의 대상으로서 대체역사소설」, 독일문학 90호, 한국독어독문학회, 2004, 311~325쪽.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