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반공’의 감각과 불온의 정치학 - 박정희 체제 하의 ‘반공영화’를 읽는 방법론에 대한 고찰

A Sense of Anti-Communism and The politics of ‘Buron(不穩)’ - A Study on How to Read the Anti-Communism Film under the Park’s Regime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5, v.21 no.2, pp.451-487
https://doi.org/10.18856/jpn.2015.21.2.014
유승진 (연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박정희 체제 아래서 생산된 반공영화를 분석하는 방법론을 모색함과 동시에 반공영화의 텍스트성(textuality)에 주목하여 반공체제의 정치학을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분석 대상은 <5인의 해병>, <돌아오지 않는 해병>, <남과 북>, <7인의 여포로>이며, 텍스트가 드러내 보이는 역사성을 분석하기 위해 당대적 맥락에서 영화가 함의하는 바가 무엇이었는지, <7인의 여포로>가 불온한 텍스트로 발견된 과정은 어떠했는지를 밝히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4.19/5.16’ 이후의 담론지형 아래서 ‘반공’은 4.19로 표출된 ‘개인’과 ‘자유’라는 가치와 대립하거나 양립 불가능한 기표는 아니었으며, 반공영화 또한 정권의 프로파간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었다. 반공영화는 전쟁을 낭만화할 수 없는 개인을 전면에 드러냄으로써 체제 대립을 근본적으로 문제 삼는 텍스트이자 불온함을 생산하고 관리하는 반공체제의 근원적 폭력성을 드러내는 장소로서 기능하기도 했다. 특히, <7인의 여포로>가 불온한 텍스트로서 발견되는 과정은 검열장 내부의 논리를 초과한 해석의 권위가 체제를 구성하는 논리로서 작용하는 지점을 직접적으로 사유할 수 있게 해주는데, 본고는 <남과 북>과 <7인의 여포로>에 대한 검열 자료를 통해 불온한 텍스트가 생산되는 국면을 분석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keywords
anti-communism, anti-communism film, Park’s Regime, ‘Buron(不穩)’, censorship, Five Marines, The Marines Who Never Returned, The North and South, Seven Women P.O.W., Lee Manhee., 반공주의, 반공영화, 반공법, 불온, 불온의 정치학, 검열, <5인의 해병>, <돌아오지 않는 해병>, <남과 북>, <7인의 여포로>, 이만희

Abstract

This study aims at seeking methodology to analyze anti-communist films under the President Park Chung-hee’s regime and revealing the politics of the anti-communist system by focusing on the textuality of anti-communist films. The analyzed films here are Five Marines, The Marines Who Never Returned, The North and South, and Seven Women P.O.W. In order to analyze historicality revealed by the texts, what these films imply in the contexts of the age and the process how Seven Women P.O.W. had been discovered as a ‘Buronhan(rebellious,不穩) text’ are focused in this article. Under the discourses after 4.19 Revolution and 5.16 Coup, anti-communism was neither contrary to nor compatible with values such as ‘individual’ and ‘freedom’, and anti-communist films were not limited to the propaganda of the regime. The anti-communist films functioned as the place to expose fundamental violence of the anti-communist system, which was a text problematizing essentially the antagonism between the systems, and producing and managing agitation, by revealing an individual who cannot romanticize war. Especially, the process how Seven Women P.O.W. had been discovered as a rebellious text, makes us think directly of the point that the authority of interpretation exceeding logic inside the censorship operates as the logic to constitute the system. Therefore, this article concentrates on the aspects that the seditious texts were produced through the censoring sources on The North and South and Seven Women P.O.W.

keywords
anti-communism, anti-communism film, Park’s Regime, ‘Buron(不穩)’, censorship, Five Marines, The Marines Who Never Returned, The North and South, Seven Women P.O.W., Lee Manhee., 반공주의, 반공영화, 반공법, 불온, 불온의 정치학, 검열, <5인의 해병>, <돌아오지 않는 해병>, <남과 북>, <7인의 여포로>, 이만희

참고문헌

1.

경향신문

2.

동아일보

3.

서울신문

4.

조선일보

5.

한국일보

6.

한국영상자료원, 영화천재 이만희 , 한국영상자료원, 2006.

7.

한국영상자료원, 신문으로 본 한국영화 1958~1961 , 한국영상자료원, 2005.

8.

한국영상자료원, 신문으로 본 한국영화 1962~1964 , 한국영상자료원, 2006.

9.

한국영상자료원, 신문으로 본 한국영화 1965~1966 , 한국영상자료원, 2007.

10.

김기덕, 5인의 해병 , 1961.

11.

김기덕, 남과 북 , 1964.

12.

이만희, 돌아오지 않는 해병 , 1963.

13.

김승옥, 서울, 1964년 겨울 , 이상문학상 수상작품 대표작품집 김승옥 , 문학사상사, 1986.

14.

최인훈, 作家所感 - 風聞, 새벽 , 1960.11,

15.

검열연구회, 식민지 검열 제도, 텍스트, 실천 , 소명출판, 2011.

16.

권보드래, 천정환, 1960년을 묻다 , 천년의 상상, 2012.

17.

김지미, 박정희 시대의 ‘민족’담론과 이만희 영화의 ‘민족’ 표상 , 한국현대문학연구 제41호, 2013, 533-567쪽.

18.

박유희, 문예영화와 검열 유현목 영화의 정체성 구성과정에 대한 일고찰 , 영상예술연구 제17호, 영상예술학회, 2010, 173-212쪽.

19.

박유희, 박정희 정권기 영화 검열과 감성 재현의 역학 , 역사비평 제99권, 2012,42-90쪽.

20.

신형기, 혁신담론과 대중의 위치 , 현대문학의 연구 제47호, 한국문학연구학회,2012,263-295쪽.

21.

유승진, <자유만세>를 중심으로 본 미군정기 조선영화계의 ‘탈식민화’ 과정 ,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2.

윤충로, 강정구, 분단과 지배이데올로기의 형성·내면화 , 사회과학연구 제5호,1998, 273-294쪽.

23.

이승희, 흥행장의 정치경제학과 폭력의 구조, 1945~1961 , 이순진, 이승희 편저, 한국영화와 민주주의 , 선인, 2011, 37-80쪽.

24.

이인규, 1970년대 반공영화 생산과 소비에 관한 연구 ; 정책적 동인에 따른 재현 방식의 변화 ,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25.

이하나, 1960년대 문화영화의 선전 전략 , 한국근현대사연구 제52집, 한국근현대사학회, 2010, 145-180쪽.

26.

이하나, 1950~60년대 반공주의 담론과 감성 정치 , 사회와 역사 제95집, 한국사회사학회, 2012a, 201-241쪽.

27.

이하나, 반공주의의 감성 기획, ‘반공영화’의 딜레마 1950~60년대 ‘반공영화’ 논쟁을 중심으로 , 동방학지 제159집, 2012b, 53-94쪽.

28.

임유경, 1960년대 ‘불온’의 문화 정치와 문학의 불화 ,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14.

29.

임지현, 김용우 엮음, 대중독재 : 강제와 동의 사이에서 , 책세상, 2004.

30.

임지현, 대중독재2 : 정치 종교와 헤게모니 , 책세상, 2005.

31.

장문석, 이상록 엮음, 근대의 경계에서 독재를 읽다 , 그린비, 2006.

32.

장세진, 원한, 노스텔지어, 과학 , 사이 제17호, 도서출판 역락, 2014, 141-180쪽.

33.

정영권, 한국 반공영화의 제도화 연구 : 1949~1968 전쟁영화와의 접합과정을 중심으로 ,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34.

한기형, 식민지 검열장의 성격과 근대 텍스트 , 검열연구회, 식민지 검열 제도, 텍스트, 실천 , 소명출판, 2011.

35.

후지이 다케시, 4.19/5.16 시기의 반공체제 재편과 그 논리 , 역사문제연구 25권, 2011.

36.

미셸 푸코, 박정자 옮김,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1976년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의 강의 , 동문선, 1998.

37.

미셸 푸코, 박정자 옮김, 비정상인들 - 1974~1975년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의 강의 ,동문선, 2001

38.

미셸 푸코, 이규현 옮김, 성의 역사1 지식의 의지 , 나남출판, 2010.

39.

미셸 푸코, 오르트망 옮김, 안전, 영토, 인구 콜레주드프랑스 강의 1977~78년 , 난장, 2011.

40.

자크 데리다, 진태원 옮김, 법의 힘 , 문학과 지성사, 2004.

41.

칼 슈미트, 김효전, 정태호 옮김, 정치적인 것의 개념 , 살림, 2012.

42.

콜린 고든, 홍성민 옮김, 육체의 고백 , 권력과 지식 : 미셸 푸코와의 대담 , 나남, 1991.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