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한국 ‘기계비평’의 역사와 현황 그리고 전망

The History, Status and Prospectives of ‘Machine Critics’ in Korea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6, v.22 no.1, pp.145-180
https://doi.org/10.18856/jpn.2016.22.1.004
강부원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Machine Critics’ is not the only critical methods to deal with mechanical knowledge. ‘Machine Critics’ is a practical effort to understand the human life and culture associated with the machine in a comprehensive way. With the advent of instrumental humans(“Homo Faber”) and the machine is indispensable to human existence itself was a background. In the light of modern society in general knowledge that comes by the result of complex interactions of humanities revival and Industrial Revolution is a key organizing principle of human reason to understand the mechanical modernity. Moreover, when the State and the Capital secured the machine and look back on the history of representation and working actively used in modern state governance and the principles governing mechanisms, it is also the reason for the liberation of the mechanical problems that can not be postponed anymore.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and ‘Technology Philosophy’ is still poor, and poverty. ‘Machine Critics’ is also not yet fully caught criticism field position. ‘Machine Critics’ was the first attempt by the Lee Youngjun in the mid-2000s. The critically inherited the flow of ‘Machine Critics’ is enabled in Korea since the 1990s ‘Cultural Studies’. ‘Cultural Studies’ and ‘Machine Critics’ is expected to share the practical critique modernity and social change. On the other hand, ‘Machine Critics’ is a feature that points directly targeted machine and tr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life, culture and politics and philosophy associated with it at the same time to deal with professionally. ‘Machine Critics’ cracks in the old traditions of Korea are separated by academics field that the ‘Human Arts’ and ‘Science and Technology’. Elimination of barriers between discipline system and who will emerge as potential knowledge to pursue consilience and fusion. However, ‘Machine Critics’ performance are still sporadic and is associated with heterogeneously observed. Research papers and lectures, publications are a general aspect of its advanced process and appear in a different format and order of the existing studies are awarded to the attention of the media and academia. ‘Machine Critics’ is a claim to a bridge between the Humanities and Engineering and it is also a new challenge to overcome even the existing convergence limit.

keywords
Machine Critics, Cultural Studies, Science, Technology, Techne, Humanities, Technical Objects, Convergence, 기계비평, 문화연구, 과학, 기술, 테크네, 인문학, 기술적 대상들, 융복합

참고문헌

1.

강부원, 『식민지 시기 비행기 표상과 기술지배로서의 신체제』,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2009.

2.

강부원, 「매뉴얼과 전쟁기계 - 기술지배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진보평론』 66호, 2015 겨울호, 224~239쪽.

3.

김근배, 『황우석 신화와 대한민국 과학』, 역사비평사, 2007.

4.

김재희, 「질베르 시몽동에서 기술과 존재」, 『철학과 현상학 연구』 제56집, 한국현상학회, 2013, 175~206쪽.

5.

김재희, 「포스트휴먼 사회를 상상하기 위한 하나의 청사진: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정치학」, 『범한철학』 제72집, 범한철학회, 2014, 387~414쪽.

6.

김태호, 「과학기술을 말하기 두려운 시민에게」, 『시민사회신문』, 2014.10.28.

7.

송성수, 「과학기술과 인문학의 공생을 위하여」, 『과학기술정책』 158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10~16쪽.

8.

송성수 외,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연계확대 정책방안』, 한국과학기술학회, 2007.

9.

송성수 외, 『욕망하는 테크놀로지 –과학기술자들 ‘기술’을 성찰하다』, 동아시아, 2009.

10.

오영진, 「질주의 코기토, 폴 비릴리오의 사상에 대하여」, 『한양대 미래문화연구소여름 심포지움』, 한양대 미래문화연구소, 2009, 86~112쪽.

11.

오영진, 「교양교육으로서 기계비평의 가능성」, 『쿨투라』 2015 가을호, 작가, 43~51쪽.

12.

오용득, 「과학주의자와 인문학주의자의 통약 불가능한 대화의 실질적 의미」, 『서강인문논총』 제36호,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31~63쪽.

13.

이광석 외, 『불순한 테크놀로지』, 논형, 2014.

14.

이기상, 「존재 역운으로서의 기술 - 사이버 시대에서의 인간의 사명」, 『하이데거 철학과 동양사상』, 한국하이데거학회, 2001, 308~355쪽.

15.

이영준, 『기계비평–한 인문학자의 기계문명 산책』, 현실문화연구, 2006.

16.

이영준, 『페가서스 10000마일 - 이영준의 본격 항해 어드벤처 대양횡단 기계비평서』, 워크룸, 2012.

17.

이영준, 『이미지비평–깻잎머리에서 인공위성까지』, 눈빛, 2008.

18.

이영준, 『기계산책자–비평가 이영준, 기계들의 도시를 걷다』, 이음, 2012.

19.

이영준 ‧조춘만, 『조춘만의 중공업』, 워크룸프레스, 2014.

20.

이영희, 「한국 과학기술사회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 『경제와사회』 제100호, 비판사회학회, 2013, 251~272쪽.

21.

임소연, 「STS의 문화적 실천으로서의 기계비평」, 『과학기술학연구』 12, 한국과학기술학회, 2012, 209~214쪽.

22.

임태훈, 『우애의 미디올로지 –잉여력과 로우테크(low-teck)로 구상하는 미디어 운동』, 갈무리, 2012.

23.

임태훈, 『검색되지 않을 자유』, 알마, 2014.

24.

정광수 외, 『과학기술과 문화예술』, 한국학술정보, 2010.

25.

천정환, 「‘문화론적 연구’의 현실 인식과 전망」, 『상허학보』 19, 상허학회, 2009, 10~36쪽.

26.

홍성욱, 『생산력과 문화로서의 과학 기술』, 문학과지성사, 1999.

27.

홍성욱, 「인문학적 사유의 창조성과 실용성」, 『동향과 전망』 제44호, 한국사회과학연구소, 2000, 212~231쪽.

28.

C. P. 스노우, 『두 문화』, 오영환 역, 사이언스북스, 2001.

29.

안토니오 네그리 ‧마이클 하트, 『공통체 - 자본과 국가 너머의 세상』, 정남영 ‧윤영광 역, 사월의책, 2014.

30.

엘리안 스트로스베르, 『예술과 과학』, 김승윤 역, 을유문화사, 2002.

31.

질베르 시몽동,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 양식에 대하여』, 김재희 역, 그린비, 2011.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