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조선 사회주의 영화담론의 전개

Socialist Film Theory of Colonial Korea (1927-1935)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6, v.22 no.1, pp.227-264
https://doi.org/10.18856/jpn.2016.22.1.006
백문임 (연세대학교)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Socialist film movement of Ko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with the focus on its discursive practice between 1927 and 1935. The first socialist film discourse appeared when the Korean cinema saw its first renaissance after the big hit of Arirang(Na Un-kyu, 1926), and when a series of filmmakers and criticsorganizedanAllianceof Emerging Film Artists[Shinheungyesulgadongmaeng](1929)criticizing the unprogressive impact of Americanism on Korean popular culture. This discursive movement with its filmic productions experienced transformation in tandem with the reconstruction of KAPF in 1930 as well as with the definitive dissolution of socialist cultural movement in 1935 by the colonial government. This paper analyzes the transformation by articulating three discursive stages of socialist film movement: the inquiry into the propagandistic characteristics of film(1927-30), the debate on the ‘tendency film[Kyeonghyangyeonghwa]’ related to the concept of ‘people’ in socialist cultural movement(1930-1931), and the pursue of survival strategy in the face of global fascism and the development of talkie technology(1932-1935).

keywords
사회주의 영화, 신흥영화예술가동맹, 카프(KAPF), 프로파간다, 미국영화, 경향영화, 시나리오, 영화소설, 대중, Socialist film movement, Alliance of Emerging Film Artists [Shinheungyesulgadongmaeng], KAPF, Propaganda, Americanization, Tendency Film[Kyeonghyangyeonghwa], Scenario, cinéroman, People

참고문헌

1.

백문임, 『임화의 영화』, 소명출판, 2015.

2.

변재란, 「1930년대 전후 프롤레타리아 영화활동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3.

이영일, 『한국영화전사』(개정판), 도서출판 소도, 2004.

4.

이효인 외, 「카프 영화인 서광제의 전향 논리 연구」, 『한민족문화연구』30, 2009, 239-268쪽.

5.

이효인, 「일제하 카프 영화인의 전향 논리 연구: 서광제, 박완식을 중심으로」, 『영화연구』45, 2010, 385-421쪽.

6.

이효인, 「찬영회 연구」, 『영화연구』53, 2012, 243-268쪽.

7.

이효인, 「카프영화와 프로키노의 전개과정 비교연구」, 『한민족문화연구』41, 2012, 447-479쪽.

8.

이효인, 「카프의 김유영과 프로키노 사사겐주(佐々元十) 비교연구: 프롤레타리아 영화운동론을 중심으로」, 『영화연구』57, 2013, 323-360쪽.

9.

전평국, 「초창기 한국영화 비평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5(6), 2005, 193-208쪽.

10.

정충실, 「프로키노 영사회 관람공간의 성격과 〈연돌실 페로(煙突室ペロー)>」, 『대중서사연구』19-1, 2013, 231-259쪽.

11.

하승우, 「1920년대 후반~1930년대 초반 조선영화 비평사 재검토」, 『ComparativeKorean Studies』22권 2호, 2014, 37-58쪽.

12.

岩岐昶, 『映畵と資本主義』, 往來社, 1931.

대중서사연구